검색 상세

자아성장을 위한 성찰중심의 현대시 교육 연구 : 윤동주와 김수영의 시적 공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focused on Self-Contemplation on Self-Growth: Centering on Literary Space in Poetry of Yoon Dong-ju and Kim Soo-young

초록

사람은 누구나 사회·문화적, 시대적인 상황 맥락 안에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세계가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기 마련이다. 선조들은 맥락 안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의 결과물들을 가지고 끊임없이 이야기를 만들어 민족이 공유할 수 있는 정신과 문화, 전통을 전승하였고, 현대의 우리는 그 영향을 받으며 살고 있다. 무엇보다, 수많은 경험들 중 의미구성을 통하여 맥락화된 유의미한 경험은 이야기를 형성하며 인간의 마음을 동하게 만든다. 같은 선상에서 문학도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다양한 맥락과 자신의 고유한 삶의 맥락이 연계될 때 학습자가 학습에 더욱 흥미를 느낄 것이라고 본다. 본고는 성장통을 겪고 있는 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기성찰을 기반으로 한 현대시 교육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중에서도 개별 작품의 지식에 대한 파편성과, 지식과 학습자의 삶이 분리된 현재의 학습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시적공간을 맥락 형성의 매개물로 제시하였다. 주로 자신에 대해 깊이 고민하며 더욱 발전된 자아로 나아가기 위한 성찰과정을 시에 녹여내려 노력했던 윤동주와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시적공간인 방과 거리를 소재로 삼았다. 작품 속에서 ‘방’은 자기성찰과 비판의 공간으로 시적화자가 개인의 성장을 위해 보냈던 곳이라면, ‘거리’는 개인의 차원에서 벗어나 타인과 공동체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인식의 확장을 가져오는 장소로 표현되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시를 통해 시인의 성찰적 사고를 경험한 학습자는 자신이 처한 어느 공간이든지 타인과 공동체 연대의식으로의 인식 확장을 가져올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인식의 확장은 학습자의 다양한 경험들이 의미구성을 통해 유의미한 경험으로 재구성될 수 있으며 재구성된 경험은 학습자 고유의 삶의 맥락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맥락은 이야기를 만들 수 있는 인지적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맥락을 중심으로 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본고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저마다의 고유한 삶의 맥락을 중요하게 보았으며, 삶과 학습의 연계를 위해 시인의 성찰과정 경험을 통한 자신만의 성장 이야기를 만드는 프로젝트 수업을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여기에 질문을 통한 토론수업을 통해 시인의 성찰과정을 단계적으로 밟아나가며 학습자 고유의 맥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였다. 여기서 형성된 학습자의 고유한 맥락은 자신만의 성장 이야기를 만들 수 있도록 하며, 삶의 총체적인 안목을 기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서 현재를 지나 미래까지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의 연속성에 주목하였다. 이는 윤동주의 삶에서부터 시작하여 김수영의 삶으로 이어져 학습자의 삶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과거로부터 시작하여 연속된 시간은 분절된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삶에 공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시대를 초월한 과거와 현재의 공통된 상황맥락을 파악하고 내면화 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을 성찰하고 공동체 연대의식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타인과 협력하며 삶에 대한 통찰력과 주체성을 가지고 총체적으로 인생을 잘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 교수·학습의 목표이다. 본고는 현실적으로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성찰적 사고를 할 수 있는 현대시 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지식과 태도의 통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맥락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여 시인의 성찰과정 경험하기를 통한 자신의 성장 이야기를 완성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시적공간의 의미와 확장적 기능을 활용하여 작품과 학습자의 삶을 연계하고, 각 작품마다 분절되어있는 지식내용을 연계한 교수·학습 방안을 통해 학습자의 자발적인 성찰활동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

Everyone is bound to live in the situational context of society, culture, and times, where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the world interact. Our ancestors constantly created stories with the results of interactions within the context and passed on the spirit, culture, and traditions that the people can share, and today, we are living under the influence of it. Above all, meaningful experiences contextualized through semantic composition among the numerous experiences form stories and move the human mind. On the same line, literature will also give learners more interest in learning when the various context of the time when the work was created and the context of their own life are linked.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modern poetry education methods based on self-contemp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learners who are experiencing growing pains. Most of all, it presented literary space in poetry as a medium for contextual form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fragmentation of knowledge in individual works and the current learning situation in which knowledge and the life of learners are separated. It was mainly based on the room and the street, literary space in poetry that appeared in the poems of Yoon Dong-ju and Kim Soo-young, who thought deeply about themselves and tried to incorporate reflective thinking into poems to move toward a more developed self. In the works, "Room" is expressed as a space of self-contemplation and criticism, where the poetic speaker spent for personal growth, while "Street" is expressed as a place that brings about an expansion of awareness to move away from the individual level and look back on others and communiti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the poets’ reflective thinking through poetry will be able to expand their awareness to collective consciousness with others in any space they are in. The expansion of this awareness allows learners' diverse experiences to be reconstructed into meaningful experiences through semantic composition, and the reconstructed experiences enable the learners to form their own life context. This context can be a cognitive resource that can create a story, and learners can create their own stories centering on the context. This paper considered each person's unique life context important for effective learning and presented a project class that creates their own growth stories through the poets’ experiences in the reflective thinking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link life and learning. On top of that, the class was designed to form a unique context for learners by gradually taking steps in the poets’ reflective thinking in class discussions using questions. The unique context of the learners formed in this enables them to create their own growth stories and to develop a holistic view of life. In addition, attention was paid to the continuity of time that can be viewed from the past, through the present, to the future. It starts from the life of Yoon Dong-ju to the life of Kim Soo-young, extending to the life of the learners and continuous time, starting from the past, can be shared in the life of the learners, not divided. This means that learners can reflect on themselves and form collective consciousness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internalizing the situational context which is common in the past and the present beyond the times. Through this, the goal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o help learners to live a well-rounded life with identity and insight into life, cooperating with others. This paper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knowledge and attitude in order to implement modern poetry education in which learners can independently think reflectively in reality, and for this, the role of context is importan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omplete the stories of their own growth through realizing this and the poets’ experiences in the reflective thinking.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link the works with the life of learners by using the meaning and extended functions of literary space in poetry, and to encourage them to voluntarily engage in reflection activities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inking knowledge contents segmented in each work.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