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K-MOOC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만족도, 인지된 성취도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achievement and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of K-MOOC learners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 환경에서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원격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비정규 원격수업의 하나인 K-MOOC의 학업성취에 디지털 리터러시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 학습만족도, 인지된 성취도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가? 2.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3. K-MOOC 학습자의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 소재 A 여대에서 개설한 19개의 K-MOOC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25개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한 뒤, 다중회귀분석과 다중매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이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MOOC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된 성취도를 예측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입력(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은 인지된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고, 결과적으로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총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개별적인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사회적 실재감은 유의하지 않고 인지적 실재감만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지적 실재감의 매개효과가 강하게 나타나 총합의 매개효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지된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습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인지적 실재감만이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수업 환경에서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성취도 등 학업 성취에 디지털 리터러시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원격수업 학습만족도, 인지된 성취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낸 인지적 실재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MOOC, one of the non-regular distance educatio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alternative in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digital literacy level and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achievement and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pecific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Do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2. Do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perceived achievement? 3. Does K-MOOC learners' cognitive and social prese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took 19 K-MOOC courses opened at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and a total of 325 response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follow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based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put method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level,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put method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K-MOOC learners' digital literacy level,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predict perceived achieve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achieve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m of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was significant, but when examining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nly cognitive presenc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This is interpreted as having a strong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and affec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otal sum.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digital literacy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similarly, only cognitive pres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has a grea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such as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a distance education, and it was argu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cognitive reality that showed mediating effec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