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메시지 유형과 양식이 재난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이슈를 중심으로

Effects of message types and modalities on behavior intention in disaster prevention : A focus on Covid-19

초록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의 예방을 위한 메시지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메시지 유형과 양식에 따라 정서적·인지적 반응과 규범이 어떠한 차이와 영향력을 나타내는지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재난 대응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변형을 시도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SPSS 26.0, SPSS PROCESS macro Ver 4.0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일원변량분석(ANOVA)으로 메시지에 대한 조작점검과 실험집단별 평균 차이를,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으로는 메시지 유형과 양식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를 분석했다. SPSS PROCESS macro 모델 4번, 6번, 7번 등을 이용해 매개효과, 매개효과 경로, 조절효과 등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내러티브 메시지가 규범, 부정적 감정과 심리적 거리감,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쳐 메시지 전달력을 강화시켜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시지 효과에 있어 메시지 유형을 경유해 인식된 주관적 규범이 주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규범은 메시지 유형과 행동의도, 인지적 반응, 정서적 반응을 매개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예방 관련 메시지 프레이밍에 있어 정서적·인지적 반응의 매개 역할을 우선 검증하였다. 부정적 감정, 심리적 거리감과 위험인식은 메시지 유형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독립적으로도 영향을 미쳤고, 상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부정적 감정의 경우 심리적 거리감과 위험인식에는 불안이 영향을 미쳤고, 예방행동의도에는 공포가, 회피행동의도에는 공포와 불안이, 처벌행동의도에는 분노와 우울이, 사회참여 행동의도에는 분노가 유의미했다. 인지적 반응도 정서적 반응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거리감(사회)은 공포, 우울, 무기력에 영향을 미쳤고, 위험인식(사회)은 행동의도(회피)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구체적인 정서적, 인지적 반응마다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메시지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내러티브 메시지는 주관적 규범이 정서적·인지적 반응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기여했다. 따라서 내러티브 메시지 내에 주관적 규범을 내용적으로 반영하여 일반 수용자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비내러티브 메시지의 영향력도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장기적인 재난 상황 등에서는 수치나 통계적으로 명확히 제시되는 재난정보 전달이 오히려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하여 메시지 전략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셋째,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메시지 유형이 부정적 감정(분노, 우울), 심리적 거리감(사회), 위험인식(개인), 행동의도(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비내러티브 메시지보다 내러티브 메시지에서 더 높게 인지되어, 규범이 재난 예방 설득 효과에 주요변인으로 메시지의 전달력을 강화해 줄 것으로 예측된다. 즉, 주관적 규범이 제대로 인식되도록 메시지를 구성한다면,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예방수칙 설득에 메시지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메시지 유형이 행동의도로 가는 과정에서 주관적 규범을 1차적으로 거칠 경우 결과적으로 ‘주관적 규범→심리적 거리감→부정적 감정’ 경로를 확인하였다. 넷째, ‘메시지 유형→주관적 규범→인지적 반응→정서적 반응의 매개효과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을 제안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예비연구에서 확인한 ‘규범→정서적 반응→인지적 반응’의 경로가 실험연구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검증되어 온 ‘정서→인지’ 경로의 실험연구를 통한 재입증은 후속 연구로 미루고자 한다. 끝으로, 메시지 유형이 행동의도(예방,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위험인식과 도덕적 규범이 매개변수로 작용할 경우 메시지 양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메시지 전달 시 메시지 양식을 선별해 전달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메시지를 통해 코로나19 예방 관련 행동의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정서적·인지적 반응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정서-인지 중심의 재난 메시지 효과를 규범-인지-정서의 영역으로 확장시켰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방역당국이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의 예방과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해 국민들을 설득하는 데 활용하는 메시지에 있어 거리두기와 같은 규범적 차원을 넘어 수용자의 심리적 거리감과 위험인식, 부정적 감정과 같은 요소들의 세부적인 요소들을 면밀히 파악하여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ways to vary disaster response communication models, by (i) exploring the impact of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in the processes of message types and modalities influencing behavior intention when disaster prevention messages such as those concerning Covid-19 are delivered, and (ii) investigating the role of norms in these processes. This study scrutinizes the impact of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of message recipients, the norms, and the effects of the norms depending on different message types(narrative-type message vs. non-narrative message) and modalities(text, webtoon, video). For verification, this study uses the software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Ver. 4.0. Using ANOVA, this study performs manipulation checks on messages and variance among group means. Also, by conducting a two-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variance among the main variables depending on message type and modality is analyz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Models 4, 6, and 7, verifications are also made on the mediating effect, mediating effect path, and moderating effect of the variables studied. The analysis results verify that narrative-type messages enhance delivery capacity, affecting norms, negative sentiment, psychological distance, and risk percep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norms perceived through message types can serve as a key variable in message effect. Subjective norms mediated message types, behavior intention, cognitive response, and emotional response. Ground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in message framing related to Covid-19 prevention is verified. Negative sentiment, psychological distance, and risk perception independently affect the process by which message type influences behavior intention. They are also mutually dependent. As to negative sentiment, anxiety affects psychological distance and risk perception. As to prevention behavior intention, fea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voidance behavior intention, fear and anxie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unishment behavior intention, anxiety and depress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ocial participation behavior intention, anger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gnitive response also affects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 intention. social risk perception influences anxiety, depression, and lethargy, and it also influences behavior intention(avoidanc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messaging strategies which consider the findings that different variables affect specific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Second, narrative messages were found to contribute to the effect of subjective norms on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 and behavior intention. Hence, a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on delivery approaches to general recipients that substantively reflect subjective norm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observed the impact of non-narrative messages. Particularly in the situation of a long-term disaster such as the Covd-19 pandemic, it is worth noting that the delivery of disaster information which contains numbers or statistically explicit figures may be more effective. Third, subjective norms were found to exert a mediating effect on the process by which message type influences negative sentiment(anxiety, depression), social distance, personal risk perception, and behavior intention(avoidance). Besides, greater perception was observed in narrative messages than non-narrative messages, which leads to an expectation that norms, as a key variable, will strengthen the delivery capacity of messages. Thus, it implies that the effectiveness of message would be greater to persuade recipients to follow prevention rules such as social distancing from the aspect of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if the message ensures that subjective norms are perceived by the recipient in a more proper manner. However, when a message type passed through subjective norms of recipients first prior to the stage of behavior intention, eventually, the following path was found: ‘subjective norms → psychological distance → negative sentiment’. Last, the final model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message types → subjective norms → cognitive response → emotional response’ pa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und that the ‘norms → emotional response → cognitive response’ path that was observed from a preliminary resear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erimental research seeking to re-verify the ‘sentiment → cognition’ path that has been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is left for future research. Fourth, in the process of message type affecting avoidance behavior intention, a moderating effect of message modalities wh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ethical norms serve as mediating variables was found. This result suggests approaches that selectively choose message modalities in message delivery. This research verifies that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ffecting the process of the perception of recipients of Covid-19 prevention-related behavior intention upon the receipt of messages.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stretches the framing effect of disaster reporting that is centered on sentiment-cognition to the realm of norms-cognition-sentiment. In the case of disease control authorities sending messages aiming at the prevention of the spread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this research implies that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needed that carefully consider elements such as psychological distance, risk perception, negative sentiment of recipients, going one step further than messages with normative aspects like social distanc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