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현대시에 나타난 동물성의 수사학 연구 : 박남수, 전봉건, 김종삼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hetoric of Animalit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 Focusing on The Poems of Park Nam-soo, Jeon Bong-gun, and Kim Jong-sam

초록 (요약문)

이 논문은 박남수, 전봉건, 김종삼 시에 나타나는 동물 이미지와 테마, 상징 등 동물성의 수사학적 양태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현대시에 드러나는 인간과 비인간 동물의 관계 및 양자 간의 이원론적 경계에 관한 문제의식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물과 관련한 고정관념과 그러한 동물 이미저리가 어떻게 수사학적으로 형상화되는지를 연구한 스티브 베이커Steve Baker의 ‘동물성의 수사학(rhetoric of animality)’ 논의를 체계화하여 관련 시편들을 연구하였다. ‘부정적 이미지’는 인간/동물의 고정적인 정체성을 불안정하게 만듦으로써 기존의 동물과 관련한 고정관념을 뒤흔들 수 있는 표상 전략이다. 동물 표상이 ‘열린 몸’으로서 불안정한 정체성을 구축할 때, 이는 탈인간중심주의적 저항성을 갖는다. 박남수, 전봉건, 김종삼은 모두 월남한 전후 모더니스트 시인으로서 ‘동물성’은 이들 시의 핵심적인 축을 이룬다. 이들이 활동한 시기는 한국 전쟁 이후 폐허 공간에서 기존의 휴머니즘이 무너지고 ‘인간 상실’ 및 그것의 극복이 시의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다. 기존의 휴머니즘 체계에서 ‘인간’은 자연・동물과 이분법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개념이다. 따라서 전후 모더니즘이 모색한 ‘새로운 휴머니즘’은 인간성 회복이 아니라 인간중심성 극복의 양상으로 나타나며, 동물과의 관계에서 반성적 성찰을 이끈다. 따라서 세 시인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동물성의 수사학적 양태를 밝히는 것은 현대시에서 동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의미 있는 문제의식을 탐구한다는 의의가 있다. 박남수 텍스트의 시적 주체는 이방인 정체성이 두드러진다. 이는 동물 표상에서 특히 ‘언어’와 관련한 인식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언어의 문제는 오랫동안 ‘동물성’과 관련이 있었는데, 고대 그리스인들이 그리스어를 하지 못하는 이방인들을 동물의 소리를 내는 ‘야만인’(barbarian)이라고 불렀다는 데서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박남수는 다수의 시에서 동물의 ‘소리’에 주목하며 이를 인간의 ‘말’과 대조한다. 그의 시에서 “글자”, “언어”는 인간적인 것을, 말이 되지 못한 “소리”, “노래”는 동물적인 것으로서 새, 벌레 등 동물의 울음소리를 통해 형상화된다. 이는 그의 시론인 “불립문자”를 동물적 의사소통 방식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박남수 시의 핵심적인 축이 된다. 관계 양상에서는 인간/동물이 대조를 통해 확연하게 구분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구분은 문명 비판, 인간 세계에 대한 시인의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긍정적 이미지를 통한 동물 예찬과, 부정적 이미지를 통한 동물 멸시의 재전유가 나타나는데, 각각의 경우에 시적 주체와 동물의 관계 및 거리에 차이가 있다. 전자의 경우 신화화된 동물과 시적 주체와의 거리는 멀어지고, 후자의 경우 유사성을 바탕으로 “버러지”, “벌레의 울음소리” 같은 멸시적 표현을 재전유함으로써 가까운 거리를 형성한다. 이처럼 비인간 동물에 비유됨으로써 기존의 이분 체계 중 시적 주체가 동물의 영역에 위치하게 될 때 기존의 경계를 넘는 저항성이 나타난다. 전봉건의 시에서 전쟁으로 인해 무너진 인간성, 그로 인한 인간의 ‘동물화’는 불구화된 신체를 통해 나타난다. 수나우라 테일러는 “동물을 연상시키는 인간들(유색인종, 여성, 퀴어, 빈민 그리고 장애인 등)”은 “인간 이하less human의 존재나 비인간non-human으로 간주”된다고 말한다. 전봉건 시의 인간은 불구화됨으로써 동물을 연상시키며, 나아가 이러한 불구성은 동물 표상을 통해 제시된다. 대표적으로 부상당한 오른 손을 “새”에 비유하는 세 편의 시가 있다. ‘손’이 인간성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부위라는 점에서 이는 인간성의 훼손을 의미하며 자연스레 동물에 비유된다. 인간-동물의 관계 양상에서 전봉건 시의 특징적인 점은 폐허 공간에서 기존의 이분법적 체계가 무너져 있다는 것이다. 화자는 꿈속에서 “동물원”의 “공작새”가 되거나, “어린 당나귀”를 등에 업는 등의 기존의 고정된 위치에 대한 전복이 나타난다. 또한 그의 시에서 인간의 신체는 고유성을 가진 유기체가 아니기 때문에 “몸”이 아닌 “뼈”, “살”, “피” 등으로 부위화되며 따라서 동물의 것과 구분되지 않는다. 또한 “넓적다리 같은 베이컨”과 같이 ‘고기’에 비유되거나, “0157584”와 같이 숫자로 불리는 ‘몰개성화”된 존재로 묘사되며 동물과 관련한 억압적인 시스템을 환기한다. 이처럼 전봉건의 시에서 기존의 휴머니즘 체계는 전쟁이라는 거대한 폭압 앞에서 무너져 있으며 이때 인간과 동물은 모두 한 마리의 동등한 동물이 된다. 김종삼 시의 동물 표상은 시적 공간과 시적 주체의 탈인간성과 관련이 있다. 먼저 인간으로서 시적 주체의 정체성은 생략되어 있다. 그로 인해 더욱 강조되어 드러나는 것은 동물과 ‘동물’로 여겨진 존재들의 사건화되지 않은 죽음들이다. 이처럼 김종삼의 시는 현실 세계에서 사소하게 치부되는 존재들의 모습을 전경화한다. 자동차 바퀴에 깔려 죽은 “두꺼비”, 장터에서 팔려다니는 “염소”, “학살”당한 민간인 등이 그러하다. 이때 ‘인간’인 화자의 감정이나 주변 풍경들은 최소화되어 있다. 따라서 김종삼의 시적 공간에서는 기존 체계에서 중심에 있던 존재들은 삭제되고, 주변으로 밀려난 존재들이 중심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를 전복한다. 김종삼이 지속적으로 형상화하는 이상적 공간에도 탈인간적 조건들이 나타난다. 김종삼 시에서 ‘인간’ 개념은 동물로 표상되는 수많은 타자들을 포함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인식된다. 시인에게 ‘인간됨’은 “시련”이자 “추함”이므로 이상적 공간에는 ‘인간’이 부재한다. 이곳에는 동물들이 존재하고, ‘동물’과 가까운 이들로 여겨지는 어린이, 노인, 여성과 같이 주변적 존재들만이 이 공간에 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하위주체들 간의 연대적 관계가 제시된다는 것이 김종삼 시가 가지는 해방의 가능성일 것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동물성은 근대적 개념의 ‘인간’ 주체에 포함되지 못한 여러 타자를 포괄한다는 점에서 인종, 계급, 젠더, 장애 등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현대시의 동물성의 수사학적 양상과 이를 통한 탈인간중심주의적 저항성을 살펴보는 것은 기존의 남성-비장애인-이성애자-지배자로서의 인간 주체를 해체할 수 있는 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텍스트 읽기의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밝힌다는 의의가 있다. 본고가 연구 대상으로 삼고 있는 텍스트들의 발표 시기의 동물에 대한 종차별적 상황은 2021년 현재와 자못 차이가 있으며, 또한 동물과 관련한 윤리 논쟁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이전이라는 점에서 해당 시편들에 종차별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의식이나 동물해방적 인식이 반영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만 세 시인이 동물성을 형상화하는 데 있어서 공통적으로 인간중심성 비판을 바탕으로, 동물과의 유사성을 발견하거나(박남수), 동물과 인간의 자리를 바꾸어보고(전봉건), 상호 간의 연대를 제시하는(김종삼) 등의 양상을 통해 기존의 인간/동물 이원론에 질문하고 저항하는 상상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의 분석은 이후 현대시에서 형상화될 동물성 및 동물 해방적 상상력을 제시하는 데 좋은 발판이 될 수 있다. 인류에게 새롭게 주어진 과제인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의 재정립과 나아가 타자와 관련한 감수성 및 상상력을 밝히기 위해, 앞으로의 문학 텍스트 연구는 동물 해방 비평, 비거니즘적 읽기 및, 동물 관점의 비평(animal-standpoint criticism)과 같은 방법론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현대시의 동물성의 수사학적 특징과 맥락을 구명하고자 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후 시편들에 나타나는 동물성의 수사학을 새롭게 연구할 수 있는 지평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ore

초록 (요약문)

A Study on The Rhetoric of Animalit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Focusing on The Poems of Park Nam-soo, Jeon Bong-gun, and Kim Jong-sam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hetoric of animality, such as animal imagery, themes, and symbols, that appears in the poems of Park Nam-soo, Jeon Bong-gun, and Kim Jong-sam. In this study, I explore the duality between human and non-human-animal manifested in the modern Korean poetry. To this end, this study takes Steve Baker's discussion of “rhetoric of animality” to be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in order to examine the stereotypes of animals and to show the ways in which animals are represented pictorially or rhetorically in the culture. 'Negative images' are strategic representations that challenge stereotypes of animals by destabilizing the fixed identity of humans/animals. When an animal representation establishes an unstable identity as an 'open body', it has resistance to anthropocentrism. Park Nam-soo, Jeon Bong-gun, and Kim Jong-sam, all post-war modernist poets who came from North Korea, take on animality as the key subject of their poems. After the existing humanism collapsed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the main theme of the Korean poetry was about "the loss of humanity" and the way of overcoming it. In the existing system of humanism, the concept of 'human' implies the dualism between nature and animals. By contrast, "new humanism" of post-war modernism does not pursue a recovery of humanity, but rather aims to overcome anthropocentric view, which culminates in the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s. By revealing the rhetorical aspects of animality in the text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poe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s perceived in the modern Korean poetry. In Park Nam-soo's text, the poetic subject appears as a stranger. This brings into relief when he repeatedly presents animal representations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language'. The problem of Language has long been related to 'animality': The ancient Greeks called strangers who do not speak Greek 'barbarians', namely those who makes animal sounds. Park Nam-soo in a number of his poems focuses on the 'sounds' of animals and contrasts it with human 'words'. In his poem, 'Letters' and 'Language' denote the human, and 'Sound' and 'Song' the animal, which are embodied through the cries of animals such as birds and insects. The emphasis on the latter in communication forms the core of his poetic theory 'Bulipmunja (不立文字)' that claims non-dependence on words and letters. In his poems,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humans and animals, which, however, is based on his critical view on civilization and the human world. The poetic subject can be in the place of animality by appropriating the negative terms such as "scum" and "bug's crying". Thus, it has resistance that crosses the existing boundaries. In Jeon Bong-gun's text, the humanity collapsed from the war and the 'animalization' of humans are represented by the crippled bodies. As Sunaura Taylor says, "people of color, women, queers, the poor, and the disabled", namely those who are reminiscent of animals, are "considered as less-human or non-human". Being crippled, humans in Jeon Bong-gun's poem are also reminiscent of animals and are even presented by animal representations. Most prominently, there are three poems comparing the injured right hand to a 'bird'. Considering that the hand symbolizes the core of humanity, this is compared to a damage to humanity and thus to a rediscovery of animality. In my view, Jeon Bong-gun's poem has as its salient feature the collapse of the dualism between human and animal as it appears in the ruins in his text. In his poem, the human body is not an organism, and therefore it can be divided into 'bone', 'flesh' and 'blood' just like animal body. For instance, the human body is compared to 'meat' as it is described as "bacon like a wide leg". Furthermore, the human body remains deindividualized, being called by a number, such as "0157584". All these descriptions of human body calls into question the oppressive relation between human and animal. To sum up, in Jeon Bong-gun's poem, the existing humanism system collapses in the wake of the tragedy of war and humans and animals all become nothing but an animal. Animal representations in Kim Jong-sam's text are related to the post-humanity of the poetic space and the poetic subject. First, the identity of the poetic subject as a human being remains unrecognized in his text. Instead, what is highlighted is the deaths of animals and of that which is treated as 'animals'. In this way, Kim Jong-sam foregrounds in his poems the appearances of beings that are regarded as trivial in the real world. This is the case when we consider "a toad" crushed to death by car wheels, "goats" sold in the marketplace, and civilians who were "slaughtered". Here, the descriptions of the emotions of the 'human' speaker and surrounding landscapes are minimized. Likewise, in Kim Jong-sam's poetic space, the existingsystem is subverted and beings that were once marginalized and suppressed now relocate themselves as central. Post-human conditions are also essential to the poetic space that he constructs in his text. In Kim Jong-sam's poem, the concept of 'human' is criticized for it excludes ‘others’ represented by animals. For Kim Jong-sam, 'being human' means 'suffering' and 'being ugliness'. Therefore there is no room for 'human' in his ideal space. Only animals and marginal beings such as children, the elderly, and women who are treated as 'animals' can occupy this place. It is in this context that I find the possibility of liberation in Kim Jong-sam's texts that present a solidarity relationship between subalterns. The discussion on animal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peciesism around the time of the three poets are different from toda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have perceptions about animal rights as much as we have now. Nevertheless, the three poets, based on the criticism of anthropocentrism, clearly shows the tendency to resist the existing human/animal dualism, by discovering similarities with animals (Park Nam-soo), changing the position of animals and humans (Jeon Bong-gun), or presenting mutual solidarity (Kim Jong-sam). By investigating the rhetoric of animality in the texts by Park Nam-soo, Jeon Bong-gun, and Kim Jong-sam,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nimality and imaginations of animal liberation to be embodied in the modern poetry. In our times, it is required to reestablish human-animal relationship. Therefore, future literary text studies are expected to adopt methodologies such as animal liberation criticism, veganism reading, and animal-standpoint criticism. I hope that this study about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animalit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contributes to the contemporary debates on the rhetoric of animality in poet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