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복거일의 『파란 달 아래』에 나타난 포스트휴먼적 양상연구 : 공간과 인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thuman Aspect in Bok Geo-il's “Beneath the Blue Moon” : Focused on Space and Character

초록 (요약문)

복거일은 한국 SF의 계보를 연구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본고에서는 그의 장편소설인 『파란 달 아래』에 나타나는 포스트휴먼적 양상을 분석하고 한국 과학소설의 계보에서의 그 위치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 소설에서 드러나는 복거일의 의도는 다소 계몽적/기술 강조적이었기 때문에 『파란 달 아래』의 중심서사에는 트랜스휴먼적/기술적 포스트휴먼의 경향이 주도적이었다. 그러나 『파란 달 아래』의 주변적이고 타자적인 위치로 갈수록 기존 휴머니즘의 형상을 부정하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이 모습이 드러난다. 이는 ‘레이디 오렉스’로 대표되는 비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비인간을 주체의 자리에 올려놓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파란 달 아래』라는 하나의 소설에 한정되는 우연적인 것이 아니라 복거일의 이후 다른 단편 SF 소설에서도 확대되어 나타나는 특성이다. 즉, 『파란 달 아래』는 복거일의 소설에서의 포스트휴먼 양상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한국 SF의 비인간 주체가 강조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기존 연구에 대해 밝히며 방법론에 대해 소개한다. 본고는 방법론으로 닉 보스트롬의 트랜스휴머니즘과 브라이도티와 헤어브레히터, 그리고 해러웨이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을 선택한다. Ⅱ장에서는 『파란 달 아래』의 핵심 플롯인 장영실 기지와 김일성 혁명 기지의 통합과 월면공화국의 설립을 분석한다. Ⅱ장의 1절에서는 월면공화국의 설립의 서사가 지구 중심주의의 해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포스트휴머니즘은 과학기술이 가져온 변화 속에서 기존의 지구 중심적, 인간 중심적 담론이 더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보이는 이론이다. 월면공화국의 설립과 이에 따른 기존 구세계와 월면기지의 대립은 포스트휴먼의 반휴머니즘적, 탈인간중심적 면모와 ‘파란 달 아래’의 면모가 어떻게 교섭하는지를 나타내는 장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장에서 설명하는 중심서사에서는 동시에 우주 개척에 대한 당위성 역설과 이를 통한 계몽주의적 사상이 드러난다. 이는 지극히 고전주의적 휴머니즘의 면모이며 미래 이상향의 추구를 통해 주로 나타나며, Ⅱ장 2절에서 리명규의 서사를 중심적으로 분석하며 포스트휴머니즘 중 ‘스테로이트 계몽주의’라고도 불리는 트랜스휴머니즘의 면모와, 인공적 타자 창조를 통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기술적 포스트휴머니즘의 면모가 『파란 달 아래』의 플롯에 포함되어 있음을 밝힌다. Ⅲ장에서는 달세계에 나타난 타자적 존재들에 대해 다룬다. 『파란 달 아래』의 중심화자인 리명순은 달세계에 적응하고 핵심 플롯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변형의 양상을 보인다. 이때 변형의 다른 이름은 되기이며, 리명순은 달세계에서 포스트휴먼으로의 되기를 이룬다. 리명순의 변화는 처음에는 리명규와의 결염을 통해 이루어지나 트랜스휴머니스트적 성격을 보인 리명규와는 달리 비판적 포스트휴먼의 면모를 보인다. 이는 리명규와 다른 카르토그라피를 가지기 때문이며, 변신의 과정에서 다른 포스트휴먼과의 접촉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이후 Ⅲ장의 2절에서는 리명순의 변신에 영향을 미친 주변 적 인물인 포스트휴먼, 달의 기계 인간 레이디 오렉스와 리명순 뱃속에 있는 아기의 성격에 대해 분석한다. 레이디 오렉스는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이 제시한 비인간 주체로,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흐리는 해러웨이의 혼종적 사이보그의 형태를 띄고 있다. 레이디 오렉스는 복거일의 이후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인간 이후의 ‘기계 인류’의 원형이기도 하다. 리명순의 뱃속에 있는 아기는 소설 내에서는 아직 등장하지 않아 직접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으며 그저 막연한 기대감으로만 짧게 제시된다. 마지막 Ⅳ장에서는 한국 과학소설의 맥락에서 『파란 달 아래』의 이상향 추구와 해러웨이적 여성-사이보그의 면모가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밝힌다. 『파란 달 아래』의 이상향 추구는 기존의 계몽적이고 이분법적인 구도에서 어느정도 벗어나는 모습을 보여주며, ‘레이디 오렉스’로 대표되는 해러웨이적 여성-사이보그는 천편일률적으로 대상화되던 비인간 타자인 여성형 로봇을 인간의 사회적 네트워크로 편입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본고에서는 『파란 달 아래』의 공간과 인물의 논의에 집중하였으며 이것이 가지는 포스트휴먼적 속성과 한국 과학소설의 계보에서 가지는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 과학소설을 보다 다면적으로 읽고 복거일이 구상한 작품세계의 문화적 맥락을 파악하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 (요약문)

Bok Geo-il is one of the indispensable writers in studying the genealogy of Korean S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sthuman aspects of his full-length novel “Beneath the Blue Moon” and explores its position in the genealogy of Korean science fiction. Since Bok Geo-il's intention revealed in this novel was somewhat enlightening/technical, the tendency of transhuman/technical posthuman was led in the central narrative of “Beneath the Blue Moon”. However, as the marginal and other positions of “Beneath the Blue Moon” go, "critical posthumanism," which denies the shape of existing humanism, emerges. This appears in the form of a in-human represented by ‘Lady Orex’, and appears in the form of placing such a in-human in the place of the subject. This trend is not limited to just one novel called “Beneath the Blue Moon”, but is a characteristic that has been expanded in other short SF novels since Bok Geo-il. In other words, “Beneath the Blue Moon” can be said to show a change in the posthuman pattern in Bok Geo-il's novel,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n-human subject of Korean SF is emphasized. Chapter I of this paper reveal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existing research, and introduces the methodology. This paper selects Nick Bostrom's transhumanism, Braidotti and Herbrechter, and Haraway's critical posthumanism as methodologies. Chapter II analyzes the integration of the Jang Young-sil Base and the Kim Il-sung Revolutionary Base, the core plot of Under the Blue Mo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oon Surface Republic. Chapter II, Section 1, shows that the narrativ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oon Surface Republic has a dismantling nature of geocentricism. Posthumanism is a theory that shows that existing earth-centered and human-centered discourses are no longer valid amid changes brought about by science and technology. The establishment of the Moon Surface Republic and the resulting confrontation between the old world and the Moon surface base will be a venue for how posthuman anti-humanistic and post-humanistic aspects and “Beneath the Blue Moon” negotiate. However, in the central narrative explained in this chapter, at the same time, the paradox of justification for space exploration and the Enlightenment ideas are revealed. This is an extremely classical aspect of humanism and mainly appears through the pursuit of future utopia, and in Chapter II, Section 2, it analyzes Lee Myung-gyu's narrative and reveals that transhumanism, also called Steroid Enlightenment, and the plot of technological posthumanism to overcome human limita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artificial hitters. Chapter III deals with other beings appearing in the moon world. Lee Myung-soon, the central speaker of “Beneath the Blue Moon”, shows a pattern of 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moon world and participating in the core plot. At this time, the other name of the transformation is ‘Becoming’, and Lee Myung-soon become a posthuman in the moon world. Lee Myung-soon's change was initially made through a bond with Lee Myung-gyu, but unlike Lee Myung-gyu, who showed a transhumanistic character, he shows a critical posthuman aspect. This is because it has a different cartography from Lee Myung-gyu, and because it made contact with other posthumans dur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Later, in Chapter III, Section 2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that influenced the transformation of Lee Myung-soon, Lady Orex, the human of the moon's machine, and the baby in Lee Myung-soon's womb. Lady Orex is a in-human subject suggested by critical posthumanism and takes the form of a hybrid cyborg of Haraway that obscures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Lady Orex is also the prototype of post-human 'machine mankind' that is continuously found in works after Bok Geo-il. The baby in Lee Myung-soon's womb has not yet appeared in the novel, so it is not directly dealt with, but is presented briefly with vague expectations. Chapter IV reveals the pursuit of utopia in the context of Korean science fi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Harawayian woman-cyborg. The pursuit of utopia in Under the Blue Moon shows some deviation from the existing enlightened and dichotomous composition, and the Haraway woman-cyborg, represented by Lady Orex, shows the incorporation of non-human type robots into the human’s social network. In other words, this paper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space and characters in “Beneath the Blue Moon”, and explored the posthuman attributes of this and the meaning of the genealogy of Korean science fiction. Such an attempt could be an attempt to read Korean science fiction more broadly and grasp the cultural context of the world of works envisioned by Bok Geo-i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