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성적 실천에서의 성적 동의 경험 연구
A study of sexual consent experiences of the 20s’ sexual activity
- 주제어 (키워드) 성적 실천 , 성적동의 , 적극적 합의 , 강간죄 개정 , 성적 동의 담론 , 20대 , sexual acts , sexual consent , affirmative consent , rape without consent , discourse on sexual consent , youth gener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주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여성학협동과정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692
- UCI I804:11029-00000006669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2005년 강간죄 개정 운동 시기에는 성적 동의 개념이 활발히 논의되지 못 한 채 폐기되었다. 이후 2018년 미투(#metoo)운동과 안희정 전 지사 사건을 통해서 한국 사회는 다시 한 번 강간죄 개정에 대한 논의를 펼쳐나갈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한국 사회에 동의를 중심으로 한 성적 동의 담론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 최협의설을 기반으로 한 강간죄 역시 개정이 필요함을 논의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성적 동의는 법률적인 언어로 계속해서 설명되어왔다. 그러나 성적 실천이라는 것은 우리의 일상과 매우 밀접한 개념으로 일상에서의 성적 동의에 대한 논의는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대의 성적 실천 경험을 통해 성적 동의 개념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일상 속 성적 실천에서의 성적 동의에 관한 담론을 형성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2명의 연구 참여자를 통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이들의 10대 후반 때의 성적 실천 및 성적 동의 경험과 20대 때의 성적 실천 및 성적 동의 경험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10대 후반 때와 20대 때 모두 복합적 요인들을 통해 성적 실천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 중 10대 후반 때와 20대 때 모두 ‘언니/누나’로부터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10대 후반 때와 20대 때 모두 기독교 내 섹슈얼리티 담론을 내면화하면서 성적 실천의 통제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20대 때 페미니즘을 앎으로써 성적 주체가 되는 경험을 하는 모습으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10대 후반 때와 20대 때 성적 실천에서의 성적 동의에 관한 사회적 담론에 관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대 후반 때는 거절 중심의 성적 실천이 이루어졌다면, 20대 때에는 거절과 동의를 중심으로 한 성적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거절 중심의 성적 실천 담론 속에서 동의의 양상에 비해 거절의 양상이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거절이 제대로 수용되지 않음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다양한 방식의 거절로 이어진 것이다. 따라서 거절을 거절로 수용해야 하는 것을 보다 강조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또한 그동안 우리 사회가 암묵적 동의에 대한 담론을 가지고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간접적이고 암묵적인 거절로 바라보는 관점의 이동을 제안하고 있다. ‘암묵적 동의’의 관점의 이동은 의식적이지 않은 상황에서의 불쾌한 성적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대안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성적 실천을 하는 관계는 평등한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 평등한 관계는 활발한 성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more초록 (요약문)
The concept of sexual consent, which first appeared rape amendment movement in the 2005, was discredited without further discussion when the movement aroused. Afterward, however, through the events of #metoo movement and the sexual violence of the former Governor Ahn Hee-jung in 2018, the Korean society started actively discussing the revision of rape crimes. This led the Korean society to realize the necessity of discourse on sexual consent within the society’s agreement and discuss the revise of rape crime in existing law. In this circumstance, sexual consent has been explained in legal language. However, as the sexual practice itself is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routine, the discussion of sexual consent needs to be attentively dealt with.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form the discourse on sexual consent in daily sexual practice by examining how the twenties use the concept of sexual consent in sexual practice with experience before the twenties. For elaborat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study participants and deeply analyzed their experiences of sexual practice and sexual consent in their late teens as well as those in their twenties. As a result, interestingly, sexual practice in both periods of their late teens and twenties had been affected by complex factors. Some of the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in their late teens and twenties by their 'sister'. In addition, during these periods, they experienced control of sexual practice while internalizing the sexuality discourses within Christianity. However, after learning feminism in the twenties, they turned to be sexual subjects. In addition, it also could be confirmed that the social discourse on sexual consent in sexual practice affected them in their late teens and twenties. In the late teens, the sexual practice was mostly rejection-oriented, otherwise, in the twenties, both rejection and consent appeared. However, in the point of 'consent', it is noteworthy that patterns of rejection significantly vary compared to those of consent. It implies that in Korean society discourse on sexual practice based on rejection already prevails and that a strategic practice occurs when rejection is not properly accepted.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to more emphasize that rejection should be accepted as the rejection itself. Finally, the cases of implicit consent inherent in society was a generally implicit rejection rather than implicit consent literally.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shift of view in which the implicit consent is the implicit rejection could be confirmed. The shift of"implicit consent" will be an alternative to prevent it from leading to an unpleasant sexual practice in unconscious situations. Finally, the relationship that procedures sexual practices should aim for equal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equal relationship is communicating about sexuality active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