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적 부적응의 관계 : 고통 과잉 감내와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Emotional Maladjustment: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of Distress Over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등의 정서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고통 과잉 감내와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 고통 과잉 감내는 자신의 장기적인 관심사나 가치에 맞지 않고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방식으로 높은 수준의 고통을 참는 것을 의미한다(Lynch & Mizon, 2011). 이러한 고통 과잉 감내는 자기조절의 목표가 외재적으로 동기화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으며 이는 곧 정서적 곤란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고통 과잉 감내는 내적인 상태나 고통에 대한 의식적 자각으로부터의 회피, 즉 경험회피로 이어질 소지가 높은 바, 본 연구에서는 외재적 동기 중 하나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부적응에 이르는 경로를 고통 과잉 감내와 경험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할 것을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29세 미만의 성인 328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고통 과잉 감내 척도, 경험회피 척도, 우울 불안 스트레스 척도를 온라인 상에서 실시하고, SPSS와 SPSS PROCESS macro의 4번과 6번 Model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고통 과잉 감내가 정서적 부적응에 이르는 간접경로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마찬가지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경험회피가 정서적 부적응에 이르는 간접경로에서 완전매개효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고통 과잉 감내와 경험회피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정서적 부적응에 이르는 경로가 도출되었다. 이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라는 자기통제의 조절 기제를 사용할수록 고통에 대한 적응적인 감내력을 가지지 못하고 극단적으로 버티는 과정에서 정서적 자각이나 수용 능력이 저하되어 경험회피를 초래하고 정서적인 부적응에 이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 등의 정서적 부적응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동기로 인해 정서적 부적응을 호소하는 개인을 치료하는 데 있어, 고통의 과잉 감내 및 경험회피와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초점을 둔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istress over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emotional maladjustment. Distress overtolerance refers to enduring a high level of distress in a way that does not fit one's long-term interests and values, which eventually leads to negative consequences (Lynch & Mizon, 2011). Distress overtolerance is related to the extrinsically motivated self-regulation goal,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emotional maladjustment. Since excessive tolerance of distress may affect the avoidance from conscious awareness of internal state and emotional pain, that is, experiential avoidance,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the path from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e of the extrinsic motivations, to emotional maladjustment is sequentially mediated by distress over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For this purpose, 328 adults aged 19 to 29 were recruited nationwide and an online survey including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 the pain distress overtolerance scale, the experiential avoidance scale, and the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 were administered. Hierarchical regression and bootstrap were conducted by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models 4 and 6). As a result, a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both distress over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emotional avoidance was found. Also,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over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emotional maladjustment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lf-control mechanism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can lead to increased maladaptive distress tolerance and decreased emotional awareness or acceptance, which eventually results in emotional maladjustment.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motional maladaptation such as depression. Also,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which is focused o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istress over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was emphasized in treating individuals with complaints of emotional maladjustment caused by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otiv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