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우울과 정서조절 유연성 :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조절 변산성과 맥락 민감성을 중심으로

De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focused on emotion regulation variability and context sensitivity in social interaction situations

초록 (요약문)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was examined through emotion regulation variability and context sensitivity.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include closeness and trust, as context factor in order to focus on social relationship context among various emotion regulation contexts. For this purpose, 57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and surveyed for a week, five times a day by the exper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of social interaction situa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Also,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II.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variability was analyzed by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nd a simple regression model, an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ntext sensitivity was analyzed by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s a result, first, depressive symptoms and emotion regulation variability were not related. Second, higher depressive symptoms are related to lower context sensitivity in gene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specially expressive suppression and rumina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emotion regulation was attenuated among highly depressed people.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depressed people lack ability to regulate their emotion according to social situations.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정서조절 유연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때 정서조절 유연성은 특정 정서조절 방략을 다양한 정도로 사용하는 능력인 정서조절 변산성과, 정서조절을 상황에 맞는 정도로 사용하는 능력인 맥락 민감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우울한 개인이 정서조절 방략을 사용하는 맥락 중 사회적 관계 맥락에 초점을 두어, 친밀감과 신뢰감으로 대변되는 대인관계의 질이 정서조절 방략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참가자 57명을 대상으로 하루에 5회, 7일에 걸친 경험표집을 실시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상태적 정서조절 방략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인 수준의 우울은 경험표집 이전에 벡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울과 정서조절 변산성 간의 관계는 위계적 선형 모형과 단순회귀모형으로, 우울과 맥락 민감성 간의 관계는 위계적 선형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울은 방략 간 변산성과 방략 내 변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우울할수록 전반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정서조절, 특히 표현억제와 반추에서 맥락 민감성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즉, 우울한 사람들은 대인관계의 질이 전반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정서조절, 표현억제, 반추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사회적 상황 요인에 덜 민감하게 정서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한 사람들에게서 사회적 맥락에 맞게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이 저조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