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언론의 'KAL858기 사건' 보도에 나타나는 내용적 특성 및 프레임 연구 : 시기별, 언론사별 차이 및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frame of the report of the 'KAL858 Incident' in the domestic media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nd changes by period and media company
- 주제어 (키워드) KAL858기 , KAL기 폭파 , 보도 내용 분석 , 프레임 , 핵심주제 , 정보원 , 보도전달방식 , KAL858 , KAL explosion , Report content analysis , Frame , Core topic , News Source , Report delivery method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나은영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658
- UCI I804:11029-00000006665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KAL858기 사건’ 언론 보도에서 나타나는 내용적 특성과 프레임을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사건 발생 당시인 1987년 11월 29일부터 현재까지의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KBS, MBC의 보도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기를 세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보도량, 핵심주제, 정보원, 보도전달 방식, 형식적 프레임, 내용적 프레임을 내용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기별 보도량 분석 결과, 1987년과 1988년에 많은 보도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감소했던 보도가 2000년대 국정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회의 재조사 시점부터 다시 늘어났다. 이후 줄어들었던 보도량은 MBC의 KAL858기 추정 동체 발견과 문재인 정부의 동체 수색 발표 시점인 2020년 소폭 증가하였다. 핵심주제 분석 결과, 1시기에는 ‘수사’를 핵심주제로 가장 많이 다루었으며, 그와 함께 ‘국제정세’와 ‘북한 책임규명 및 처벌’ 항목이 많이 다루어졌다. ‘수색’ 보다 ‘수사’에 보도가 집중되었으며, 북한에 비해 정부와 대한항공에 대한 책임 규명 이슈는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2시기에는 ‘진상규명’과 ‘김현희 이슈’가 많이 다루어졌으며, 3시기에는 ‘진상규명’이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정보원 분석 결과, 대다수의 언론사가 ‘일본’을 정보원으로 가장 많이 활용 하였다. 이 외에도 ‘유가족’, ‘외무부’, ‘김현희’, ‘미국’ 등이 정보원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1시기에 ‘일본’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미국’을, 경향신문은 ‘경찰 및 검찰’을, KBS는 ‘외무부’, MBC는 ‘김현희’를 많이 활용하였다. 2시기는 언론사별로 정보원 활용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대다수의 언론사가 ‘김현희’를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경향신문과 동아일보, KBS는 ‘유가족’을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였다. 3시기는 언론사별 정보원의 활용 비중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보도전달방식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객관적 보도전달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 되었다. 시기별로 ‘객관적 보도전달방식’을 제외하고 살펴보면, 1시기에는 ‘추론적’과 ‘묘사적’ 보도전달방식을 활용한 보도가 많았던 데 비해 2시기, 3시기로 가면서 그 비중이 감소하고 ‘해설적’ 보도전달방식의 비중이 늘어났다. 프레임 분석 결과, 형식적 프레임에서는 ‘일화 프레임’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주제 프레임’이 가장 적게 활용되었다. 시기별로는 1시기에 ‘일화 프레임’이 가장 많으며, 3시기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주제 프레임’과 ‘혼합 프레임’은 3시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내용적 프레임 분석에서는 ‘사건 공시 프레임’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경향신문과 동아일보, MBC에서는 ‘인간적 흥미 프레임’을, 조선일보는 ‘비난 프레임’을, KBS는 ‘진실규명 프레임’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1시기에는 모든 언론사가 ‘사건 공시 프레임’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그와 함께 많이 활용된 프레임은 ‘비난 프레임’이었다. 2시기에는 ‘인간적 흥미 프레임’과 ‘진실규명 프레임’을, 3시기에는 ‘진실규명 프레임’을 많이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핵심주제와 내용적 프레임 간의 교차분석을 통해 특정 주제에 대한 프레임 경향을 확인하였다. 사건 해결 과정에서 ‘수색’과 ‘수사’를 보도함에 있어 ‘수색’은 ‘사건 공시 프레임’을 기반으로 보도한 데 비해 ‘수사’에서는 ‘인간적 흥미 프레임’이 주를 이루었다. 북한과 관련한 주제들에서는 ‘위기갈등 프레임’과 ‘비난 프레임’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김현희 이슈’에서는 ‘인간적 흥미 프레임’이 많이 사용된 점 또한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and frames that appear in the media reports of the 'KAL858th Incident' of the domestic media. Reports from the Kyunghyang Newspaper, Dong-A Ilbo, Chosun Ilbo, KBS, and MBC from November 29, 1987, at the time of the incident to October 17, 2021, the current research tim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sections. As analysis items, the amount of reports, core topics, sources, news delivery methods, formal frames, and content frames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mount of reports by period, many reports were made in 1987 and 1988, and the number of reports that had since declined increased again from the time of the re-investigation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s past investigation into the truth. Since then, the number of reports has decreased slightly in 2020, when MBC discovered the estimated fuselage of KAL858 and the Moon Jae In government announced the fuselage 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key topics, "investig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dealt with as a key topic in the first period, along with "international situation" and "identification and punishment of North Korea's responsibility. Reports were focused on "investigation" rather than "search," and compared to North Korea, the issue of finding responsibility for the government and Korean Air was not covered much. In the second period, "Kim Hyun-hee Issue" and "Truth Investigation" were dealt with a lot, and in the third period, "Truth Investigation" was dealt with the most. As a result of the information source analysis, most media companies used 'Japan' the most as an information source. In addition, "The bereaved famil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im Hyun-hee"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high utilization of sources. By period, "Japan" was used the most in the first period, Dong-A Ilbo and Chosun Ilbo used "the United States," Kyunghyang Newspaper used "police and prosecution," KBS use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MBC used "Kim Hyun-hee." In the second period,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source use was different for each media company, and most media companies used "Kim Hyun-hee" as an information source. Kyunghyang Shinmun, Dong-A Ilbo, and KBS used 'the bereaved family' a lot as information sources. In the 3rd period,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sources used by media companies was differ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porting method, overall, the 'objective reporting method' was used the most. By period, there were many reports using "inference" and "description" in the first period, while the proportion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commentary" increased as it went to the second and third periods. As a result of frame analysis, 'anecdotal frames' were used the most for formal frames, and 'subjective frames' were used the least. By period, "anecdotal frames" were the most common in one period, and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third period. On the other hand, 'thematic frame' and 'mixed frame' showed an increasing trend toward the third period. In the content frame analysis, the 'case disclosure frame' was used the most. Kyunghyang Shinmun, Dong-A Ilbo, and MBC used the "human interest frame," Chosun Ilbo used the "criticism frame," and KBS used the "truth finding frame" the most. At one period by period, all media companies were concentrated on the "case disclosure frame," and the frame that was widely used along with it was the "criticism frame." In the case of the second period, "human interest frame" and "truth finding frame" were used a lot,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period, "truth finding frame" was used a lot. Finally, as a result of cross-analysis between core topics and content frames, it was possible to confirm specific frame trends on specific topics in the report of the KAL858 incident. In reporting "search" and "investigation"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ase, "search" was reported based on the "case disclosure frame," while "human interest frame" was mainly used in "investigation." In North Korea-related topics, "crisis conflict frames" and "criticism frames" were widely used, and "human interest frames" were also notable in "Kim Hyun-hee issues" and "cultural issu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