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순자의 삼혹에 대한 새로운 해석

Xunzi's Sanhuo (Three Type Of Delusions) : The New Interpreatation

초록 (요약문)

이 글의 목적은 『순자』「정명」에 제시된 ‘삼혹(三惑)’을 정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삼혹은 ‘세 종류의 의혹’이라는 뜻으로, 순자가 송견, 혜시 등 당대 여러 학자의 주장을 세 종류로 분류, ‘의혹’이라 비판한 데서 유래한다. 기존 삼혹을 해석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삼혹을 대상에 대한 잘못된 인식 혹은 잘못된 언어 사용과 관련된 문제로 보는 것이다. 즉, 삼혹을 언어철학적-인식론적 문제로 보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을 대표하는 것이 그레이엄인데, 그의 해석은 삼혹을 명/실로 설명한 순자의 구절을 해석하지 않았고, 언어철학적-인식론적 문제보다는 윤리적 문제에 집중한 송견의 사례를 해석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다른 입장은 삼혹을 윤리적인 문제를 포함한다 보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을 대표하는 것이 정재현(2021)인데, 그의 해석은 어떠한 의혹이 ‘명’을 이름으로 해석하는 언어철학적-인식론적 문제인지, 아니면 ‘명’을 명분으로 해석하는 윤리적 문제인지 구분하는 데 있어 모호한 기준을 가진다는 한계를 지닌다. 두 해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나는 순자의 명실론을 다음과 같이 볼 것이다. 우선 그레이엄을 따라 명을 ‘이름’으로 일관되게 해석함으로서, 명을 이름 혹은 명분으로 나누어 생기는, 해석의 기준이 애매하다는 정재현(2021)의 문제를 회피할 것이다. 동시에 정재현(2021)의 문제 의식을 계승해, 이름을 정하는 과정(정명)에서, ‘같음과 다름’이라는 사실의 기준과 ‘귀함과 천함’이라는 규범의 기준이 동시에 작동한다 주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삼혹을 다음과 같이 해석할 것이다. 첫 번째 의혹에 대해서는 명에 청자들과 공유하지 않는 화자만의 내포적 문맥을 도입한 문제로 보았다. 나아가, 이 내포적 문맥을 명에 대한 약속 일반으로 전환해야 할 규범적 이익이 부족하다는 문제 역시 존재한다. 두 번째 의혹은 실에 대한 잘못된 파악, 즉 인지적 오류를 일으킨 문제로 보았다. 마지막 세 번째 의혹은 앞선 두 의혹과 다르게, 청자가 다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자신들의 주장을 표현한 문제로 보았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ive a new, systematic interpretation about ‘Sanhuo’(三惑), which appears at Xunzi(荀子)’s Zhengming(正名) Pian. Sanhuo means ‘three types of delusions’, which are derived from Xunzi’s criticism to his contemporaries (like Hui Shi [惠施] and Song Jian [宋鈃]), calling their arguments ‘delusion’, by classifying those into three types. Previously, there wer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interpreting Sanhuo. One approach interprets Sanhuo as a linguistic/epistemological problem related to errors at knowing objects or mistakes at linguistic expressions. Representing this position is A. Grahams’s interpretation,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his. First, he doesn’t interperate Xunzi’s explanation at Sanhuo using ‘ming’(名)/’shi’(實). Second, he has difficulty in explaining Song Jian’s arguments, which concentrate more on ethical problems than linguist or epistemological problems. Another approach thinks Sanhuo includes ethical problems. Chaehyun Chong(2021)’s interpretation is a typical example. But his interpretation also has limits, since there is no clear standard at his to divide which delusion is linguistic/epistemological problem (interpret ‘ming’ as name) or ethical problem (interpret ‘ming’ as justification). To give a new, systematic interpretation, by supplying the limitations of both interpretations, I will look at Xunzi’s ming-shi as follows. First, by consistently interpreting ‘ming’ as ‘name’ following Graham’s, we will avoid the problem of Chaehyun Chong(21)’s, which has an ambiguous standard at interpreting ming as name or justification. At the same time, inheriting the point of the Chong’s, I will argue that standard of ‘same and difference’(同異), which is related to the fact, and standard of ‘precious and lowly’(貴賤), which related to the norm, are both needed at Xunzi’s rectification of names. Through this, we will interpret ‘Sanhuo’ as follows. The first delusion has the problem of introducing a speaker’s implicit context about ‘ming’(name), which is not shared with the listeners. Furthermore, we don’t have any normative reason to accept the implicit context as a general principle. The second delusion has the problem of cognitive error at knowing objects. Unlike the previous two delusions, the third has the problem of expressing the arguments with ambiguity, which the listeners could interpret in multiple way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