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근대소설의 여성 범죄자 연구 : 192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Female Criminals appeared in Modern Korean Novels : Focusing on short stories of the 1920s

초록 (요약문)

본 논문은 1920년대 단편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범죄자의 형상화 양상을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여성 범죄자라는 새로운 근대적 인물의 출현이 갖는 소설사적 의미를 밝혔다. ‘성적 욕망’에만 주목하여 여성 범죄자의 유형을 ‘팜므파탈’로 한정하는 시각에 문제를 제기하고, 당대 여성 범죄자에 대한 사회적인 논의가 소설의 인물 창작과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는 시각 하에, 여성 범죄자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920년대에 조선 특유의 범죄로 명명된‘본부살해’와 ‘영아살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였음을 신문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원인으로는 주로 조혼의 폐풍이 지목되었으며, 그에 따라 여성 범죄자는 사회의 희생자로 이해되었다. 하지만 성적 욕망이 범죄의 원인으로 제시될 경우 여성 범죄자는 처벌 받아 마땅한 ‘독부’라고 비난 받았다. 성적 욕망의 유무에 따라 여성 범죄자를 ‘희생자’와 ‘독부’로 양분하여 이해하는 경향은 기아(棄兒), 밀매음 등의 범죄에 대한 논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1920년대 소설에서 다루어지는 여성 범죄는 본부살해뿐만 아니라 밀매음, 기아, 절도, 방화 등으로 다양하다. 신문기사에서와는 다르게 소설에서 여성 범죄자는 부조리한 사회의 희생자이면서도 처벌받아야 할 범법자이기도 한 입체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여성 범죄자의 유형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욕망에 경도된 ‘희생자-팜므파탈’전근대적 결혼 풍습, 경제 불황과 같은 사회적 문제의 희생자이면서도, 욕망을 표출하는 팜므파탈이기도 하다. 이들은 범죄의 원인으로 환경적 요인이 강조될 경우 희생자로, 성적 욕망이 강조될 경우 팜므파탈로 그려지며, 서술자는 언제나 여성의 성적 욕망이 남성을 위협할 가능성을 경계한다. 두 번째로 현실에 좌절한 ‘희생자’는 철저하게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범죄에 내몰린 희생자로 그려진다. 서술자는 희생자 여성의 비극적인 삶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여성을 억압하는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하고, 독자의 반성을 촉구한다. 이때 여성의 희생자성을 강조하기 위해 여성의 성적 욕망은 은폐된다. 세 번째로 폭력에 맞서는 ‘저항자’는 억압적인 환경에 범죄로써 적극적으로 저항한다. 서술자는 저항자의 범죄를 긍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지지지의 시선을 보낸다. 하지만 범죄의 동기가 이성을 잃을 만큼의 극심한 분노로 제시되어, 여성의 범죄는 감정적이고 우발적으로 행해진다는 당대의 통념에서 벗어나지는 못한다. 1920년대 소설의 여성 범죄가 지니는 소설사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범죄자는 개인적 욕망과 사회적 환경 사이에서 갈등하는 새로운 근대적 인물이다. ‘희생자-팜므파탈’은 전대 소설에서 부정되었던 성적 욕망을 지니며, 이들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는 여성의 성적 욕망을 해석할 수 있는 여러 방식을 제시한다. ‘희생자’는 산업자본주의 사회가 추구하는 근대성의 이면을 보여준다. ‘저항자’는 현실의 부조리에 저항하는 주체적 여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작품의 결말에서 여성 범죄자의 희생자적인 면모가 강조되는데, 이를 통해 작가들이 여성 범죄자라는 새로운 인물 유형을 탐구하는 초기 단계에서 대중에게 익숙한 ‘가련한 여인’ 모티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결말에서 불가해한 ‘팜므파탈’로 규정된 밀매음녀는 1930년대‘여성범죄자-팜므파탈’의 예비적 단계로 볼 수 있다. 당대 기생, 밀매음녀, 창부형 신여성처럼 남성과 자유롭게 성적 관계를 맺는 여성은 남성의 경계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불가해한 존재로서의 여성에 대한 두려움은 1930년대 대중소설의 ‘여성 범죄자-팜므파탈’에 대한 가혹한 처벌로 발전하여, 성적 욕망과 여성의 부정성을 동일시하는 시각을 강화하였을 것이다. 그간의 여성 범죄자 연구는 1930년대 추리소설의 팜므파탈에만 집중되어 있었기에 여성 범죄자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이 마련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의 욕망과 억압적인 환경이 대립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세 가지 인물 유형을 제시하였다. 작품 속에 내재된 남성적 시선이 여성 범죄자 인물을 규정하는 방식을 탐구하여, 당대 여성을 향한 봉건적 시선이 소설 속에 반영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1930년대 중후반부터는 여성 작가들이 여성 범죄자를 탐구한 작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작품들을 남성 작가들의 소설과 비교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1930년대에 이르러 여성의 삶에 대한 작가들의 관심이 확장된 범위와 함께, 여성 범죄에 대한 남성작가와 여성작가들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 (요약문)

This study elucidat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novels in the emergence of a new modern character as a female criminal by analyzing the symbolized pattern of female criminals that appeared in short stories of the 1920s in each type. In that sense, this study raised an issue against the view on limiting the type of female criminals to 'femme fatale', and intended to suggest a type that can understand female criminals more clearly in three-dimensional aspect, under the perspective that social discussions on female criminals at the time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characters in novels. In the 1920s, it can be verified through newspaper articles that social interest in the murder of the original husband and the murder of infants, which were named as Joseon's unique crimes, increased dramatically. The bad custom of early marriage was mainly blamed as the root cause, and accordingly, female criminals were understood as victims of society. However, if the sexual desire was presented as the cause of a crime, the female criminal was blamed as a ‘Dokbu’(a woman with a evil personality and behavior) who deserves punishment. It was also possible to apply the tendency of understanding the female criminals by dividing them into ‘victim’ and ‘Dokbu’ in discussions on crimes related to the child abandon and illicit prostitution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sexual desire. Female crimes mentioned in the novels of the 1920s are various forms including illicit prostitution, child abandon, burglary, and arson as well as the murder of the original husband. The female crimes in novels, unlike newspaper articles, are typically portrayed as a 3-dimensional character who is a victim of an irrational society and an offender to be punished. The types of female criminals a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ncludes not only a victim of social problems such as outdated marriage customs, ‘victim-femme fatale’ that is concentrated on desire, and economic recession but also a femme fatale that expresses desire. They are depicted as victims when environmental factors are emphasized as the cause of crime and as femme fatale when sexual desire is highlighted. In addition, the narrator is always wary of the likelihood that the sexual desire from female would threaten male. As the second category, the ‘victim’ who is frustrated with encountering the wall of reality is depicted as a victim who is driven to crimes due to completely environmental factors. The narrator here criticizes the irrationalities of the society that suppresses female by specifically presenting the tragic life of the victim, thereby urging the readers to repent. At this time, the sexual desire from a female is concealed to highlight the nature of a victim as a female. As for the third category, a 'resistor' fighting against violence actively resists the oppressive environment with a crime. The narrator looks at the support by positively evaluating the crimes of the resistor. However, the motive for the crime is resented through extreme anger enough to lose one’s reason, thus it does not deviate from a common notion of the time such that crimes by female are committed emotionally and accidentall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female crimes contained in novels of the 1920s is as follows. First, female criminals are new modern characters who conflict between personal desire and social environments. ‘Victim-femme fatale’ possesses sexual desire that was denied in the novels of the previous times, and the narrator's attitude toward them presents various ways to interpret the sexual desire of female. ‘Victim’ illustrates the backside of modernity pursued by a society of industrial capitalism and ‘resistor’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a subjective female resisting the irrationalities of reality. At the end of most novels, the aspect as a victim of female criminals is highlighted and this allows us to know that writers actively used the motif as a ‘pitiful female’ familiar to the public in the early stages of exploring new types of characters as female criminals. Second, an illicit prostitute, defined as the incomprehensible ‘femme fatale’ at the end, is deemed as a preliminary stage of ‘female criminal-femme fatale’ in the 1930s. Female who freely had sexual intercourse with male, such as gisaengs (Korean geisha) of the time, illicit prostitutes, and prostitute-like modern females, were the subjects of precaution and fears from male. The fear of female as an incomprehensible existence would have developed into a harsh punishment for the ‘female criminal-femme fatale’ of the popular novels in the 1930s, thereby strengthening the view of identifying sexual desire with the infidelity of female. In the meantime, the studies on the female criminals have been focused only on the femme fatale of detective novels in the 1930s, thus no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on female criminals was prepared. In this regard, this study presented three types of characters that appear in situations where the desire of female and oppressive environments conflict with each other. By exploring the way in which the masculine viewpoints imbedded in the novels define female criminals, it was verified that the viewpoints of the feudal system toward female of the time were reflected in the novel. It is able to verify the novels by female writers investigating the female criminals from the mid-to-late 1930s. If these novels are comparatively analyzed with the novels by male writers, it is expected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n female’s crimes between male and female writers will be examine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writers’ interests in the lives of female in getting close to the 1930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