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불안애착이 초기 성인기 연인관계에서의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침습적 돌봄제공행동과 정서적 대처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on Emotional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s during Early Adulthood: The Role of Intrusive Caregiving Behavior and Emotional Coping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on emotional intimacy among emerging adults in romantic relationships, and the mediating roles of intrusive caregiving behavior and emotional cop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 sample of 420 unmarried young adults currently in romantic relationship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the Mplus 7.0.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xiety had an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through intrusive caregiving behavior. Result also indicated that attachment anxiety increased emotional cutoff which led to increased intrusive caregiving behavior which, in turn, decreased emotional intimacy. These finding clarified the specific effects of maladaptive emotional coping and intrusive caregiv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emotional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 among young adult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re discussed.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with young adults who experience difficulty with emotional intimacy in romantic relationship a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연인관계에서 불안애착이 정서적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침습적 돌봄제공행동과 정서적 대처가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연인과 교제중인 만 19~35세 미혼 성인 남녀 420명의 자료를 온라인으로 수집하고 SPSS 22.0과 Mplus 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을 모형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 정서적 과민반응, 정서적 단절, 침습적 돌봄제공, 그리고 정서적 친밀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경쟁모형 비교를 통해 불안애착이 정서적 친밀감을 저해하는 과정에 침습적 돌봄제공행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불안애착은 정서적 단절과 침습적 돌봄제공행동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정서적 친밀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불안애착 특성을 가진 내담자가 호소하는 연인과의 정서적 친밀감 형성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상담적 개입의 근거가 되는 시사점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