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on Post Traumatic Growth from Romantic Breakup : The Role of Self-compass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의도적 반추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인관계에서 이별을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불안애착, 회피애착, 자기자비, 의도적 반추, 이별 후 성장 간의 상관관계 및 성차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자기자비와 의도적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인관계에서 이별을 경험한 만 19세에서 만 35세의 미혼 성인 남녀 340명을 대상의 자기보고 자료를 SPSS 22.0와 Mplus 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은 의도적 반추를 제외하고 자기자비, 이별 후 성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회피애착은 자기자비, 의도적 반추, 이별 후 성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의도적 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밝혔다. 즉,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인 사람들이 스스로에게 자비롭지 못한 태도를 보인다면 이것이 의도적 반추를 방해하여 이별 후 성장을 경험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별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의도적 반추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이별을 경험한 불안정 애착인 내담자가 성장을 경험하기 어려운 배경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상담적 개입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되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post traumatic growth from romantic breakups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compass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Results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based on a sample of 340(N=340) unmarried young adults with breakup experienc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the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mpassion, deliberate rumination, post traumatic growth from romantic breakups. Second,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both self-compass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are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pathway of influence from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post traumatic growth from romantic breakups in a full sequential mediation model. Significant pathways indicated that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decreased self-compassion, which in turn decreased deliberate rumination, ultimately resulting in decreased level of post traumatic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mplications of current findings regarding more in depth 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clients who experience difficulty with post traumatic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included in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