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서 억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 조절 목표의 조절효과 : 자기해석 양식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a Focus on Self-Construal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ith a focus on self-construal. The emotion regulation goals refer to the motives for regulation emotion, and it is divided into pro-hedonic goals, contra- hedonic goals, and instrumental goals. Specifically, pro- and contra-hedonic goals are primarily focused on momentary emotional experience, whereas instrumental goals are focused on secondary benefits that are expected to be achieved by changing the experience or emotion expression. Self-construal, which is how individuals define and make meaning of the self, can be identified into two type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dependent self-construal. Individuals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nstrue the self as connected with others, while individual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construe the self as fundamentally individual and unique. In the present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instrumental emotion regulation goals with secondary benefits can attenuate the negative effects of suppress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at this relationship would be differed by self-construal.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368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ho were recruited through online survey companies and social networking platforms for college students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from th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ERQ), the Emotion Regulation Goals(ERGS), the Psychological Well-being(PWS), th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cale(RISC), and Independent Self- Construal Scale(ISCS).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ree-way interaction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showed that contra-hedonic goals and instrumental goals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that higher levels of contra-hedonic and instrumental regulation goals attenuated the negative effects of suppress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three-way interaction of suppression, instrumental emotion regulation goal, and self-construal on psychological well- being was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정서 억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 조절 목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정서 조절 목표의 조절효과가 개인의 자기해석 양식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때 정서 조절 목표란 개인이 정서를 조절하는 이유를 의미하며, 이는 크게 친쾌락적 목표, 반쾌락적 목표, 도구적 목표로 구분된다. 친쾌락적 목표와 반쾌락적 목표는 개인의 정서적 경험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는 반면에, 도구적 목표는 정서적 경험의 변화를 통해 이차적 이득(secondary benefit)을 얻고자 하는 욕구를 내포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한편, 자기해석 양식은 개인이 자신을 지각하는 방식으로, 자기를 중요한 타인과 연결된 존재로 지각하는 양식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과 자기를 독립적인 존재로 지각하는 양식인 독립적 자기해석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차적 이득을 제공하는 도구적 목표가 정서 억제와 심리적 안녕감 간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고 보고, 특히 독립적 자기해석 양식을 지닐 수록 감소된 조절효과를 보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Eldesouky 와 English (2018)이 개발한 ‘Emotion Regulation Goals Scale’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였으며, 서울 소재 대학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설문 조사 업체를 통해 모집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 36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서 억제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관계적-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양식 척도 및 독립적 자기해석 양식 척도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SPSS 와 SPSS PROCESS macro 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및 삼원 상호작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 억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반쾌락적 목표 및 도구적 목표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정서를 억제하는 수준이 높을 때 반쾌락적 목표 또는 도구적 목표를 추구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 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정서 억제, 정서 조절 목표, 자기해석 양식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서 조절 목표에 따른 정서 억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및 자기해석 양식에 대하여 논의하고, 결과들의 함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