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제주 지역 중학생의 성인지감수성 향상을 위한 강의 시안 연구

A Study on Designing Lectures to Improve Gender Sensi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Area

초록 (요약문)

‘Nth Room Case,’ which included a number of teenage victims and perpetrators, was a mixture of many types of crimes, such as sexual violence, prostitution, sexual abuse, illegal filming, and grooming. The incident is also a heinous social crime, but underlies the issue of gender violence.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various factors for the cause of gender violence. However, attention is focused on the emergence of adolescents as sexual subjects because of an increase in sexual curiosity due to by senseless exposure to media. This is why the need for education to raise awareness about gender and sexuality is emphasiz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eenage sex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accordingly in the digital age and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it. In the National Gender Education Standard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5, attention was focused on gender sensitivity, which had been controversial for reasons such as ‘gender discrimination,’ ‘gender stereotypes,’ and ‘outdated ideas.’ This brought about the urgent need to improve gender sensitivity in school education. It has become crucial to prepare a lecture proposal accordingly. Us researchers have tried to evaluate gender sensitivity lectures that have been conducted so far in Jeju areas and propose new lectures. We have decided to check whether there are any loopholes in universal lectures or lectures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check the need for lectures or lectures appropriate for specific areas. For this,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followed. First, we listened to the demands of parents in the vicinity who raised the need for new sex education in the Jeju area where the researcher had resided at the time. Second, a lecture draft was arrang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public health teachers. Third, 2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after-school academy of Seogwipo Seonghwa Center, where collective education is possible, were selected,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s subjects for research and education. Sex education was given to them according to the lecture curriculum.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lectures, the lecture draft was adjusted and the lecture plan was finally proposed. Through the process as explained above, this study came to these conclusions. First, sex education that avoids gender stereotypes should be proceeded. Second, sex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gender and media, so it would be appropriate to the trend. Third, a standard for sex education that reflects gender sensitivity should be arranged as soon as possible.

more

초록 (요약문)

다수 청소년 피해자와 가해자가 포함된 ‘N번방 사건’은 성폭력, 성매매, 성학대, 불법촬영, 그루밍성범죄 등 다양한 형태의 범죄가 혼재되어 있었다. 그 사건은 극악무도한 사회적 범죄이기도 하지만 그 이면에는 젠더 폭력이라는 사안이 놓여 있다. 젠더 폭력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다양한 요인들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대체로 무분별한 미디어 노출 등으로 인한 성적 호기심의 증가로 청소년이 성적 주체로 등장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젠더,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다. 본 연구는 현시대에 청소년 성교육이 과연 디지털 시대에 걸맞게 적절히 이뤄지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새롭게 구성될 필요성은 없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2015년 교육부가 제시한 「국가성교육표준안」 안에 ‘성차별’, ‘성별고정관념’, ‘구시대적 발상’ 등의 이유로 논란이 된 성인지감수성에 주목하였다. 학교 교육에서 성인지감수성 향상을 위한 일이 시급해졌고, 그에 맞춘 강의 시안을 마련하는 일도 중요해졌다고 파악하고 그를 마련하고자 했다. 연구자가 그동안 교육을 펴왔던 제주지역에서의 성인지감수성 강의를 평가하고, 새로운 강의를 제안하려 하였다. 전국의 학교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강의나 강의안이 가질 수 있는 허점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특정 지역에 맞는 강의나 강의안의 필요성을 점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쳤다. 첫째, 본 연구자가 당시 거주했던 제주지역에서 새로운 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인근 학부모들의 요구를 청취하였다. 둘째, 중학생,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강의 시안을 준비하였다. 셋째, 여러 환경적 요인 가운데 집합 교육이 가능한 서귀포 성문화센터의 방과후아카데미 20여 명의 중학생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강의 시안에 맞추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강의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강의 시안을 조정하였고 최종적으로 강의안을 제안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성별고정관념을 지양하는 성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시대에 맞게 젠더와 미디어에 대한 성교육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성인지감수성을 반영한 성교육표준안이 조속히 갖춰져야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