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화하는 여성들 : 2030 탈교회 페미니스트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Ambivalent women : Focusing on de-churched 2030 feminist women
- 주제어 (키워드) 탈교회 , 페미니즘 , 온라인 페미니즘 , 페미니스트 , 2030 여성 , 주디스 버틀러 , De-churched , Feminism , Online Feminism , Feminist , 2030 Women , Judith Butler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정소이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여성학협동과정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560
- UCI I804:11029-00000006656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2030 탈교회 페미니스트 여성’들이 페미니즘을 접하고 교회와 갈등하며 탈교회 하는 과정을 살피고, 탈교회 이후 페미니즘과 갈등하는 부분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이들이 갈등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구성하는 페미니즘을 탐색한다. 이에 앞서,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의 온라인 페미니즘의 특성을 살펴보고 어떠한 특징들이 이들의 페미니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페미니즘을 접하고 교회의 젠더 폭력, 성차별적 문화, 호모포비아, 세속주의와 갈등한다. 페미니즘은 이들에게 젠더 관점과 함께 새로운 인식을 가져다 주었으며 이는 교회의 문화와 설교에 문제의식을 갖게 만든다. 이들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탈교회 하지만 탈교회 이후에 교회를 다니지 않음과 공동체에 소속되지 않음으로 죄책감과 불안감을 느낀다. 불안감과 죄책감을 해소하기 위해 진보적인 교회나 여성 목사가 재직하는 교회들을 찾아다니지만 이들은 새로운 공동체에 적응하지 못하고 교회를 떠난다. 페미니즘은 이들이 교회를 떠나는데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페미니즘은 이들이 교회와 불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둘째, 탈교회 했지만 연구참여자들은 여전히 페미니즘과 신앙 사이에서 양립을 고민한다. 교회를 떠나는 것과 신앙을 버리는 것은 이들에게 다른 문제이다. 교회는 떠났으나 여전히 남아있는 신앙 혹은 종교성은 페미니즘과 쉽게 조화하지 못한다. 이들은 페미니즘과 교회 사이를 양립 불가능 혹은 양립 가능으로 나뉘어 둘 사이의 균형을 모색한다. ‘양립 불가능하다.’는 입장은 교회와 단절 후 페미니즘만을 추구하거나 교회와 완전히 분리하지 못한 채 혼란을 겪는다. ‘양립이 가능하다.’는 입장은 교리와 교회를 분리하여 교리는 페미니즘과 조화로울 수 있지만 교회는 그렇지 못하다는 입장을 펼친다. 페미니즘과 교회 사이의 조화를 모색하는 것은 이들이 뿌리 내리고 있었던 기독교적 가치관과 새롭게 인식한 페미니즘적 가치관의 갈등과 모순을 봉합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탈교회 후 페미니즘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지만 모순이 발생하기도 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성역할과 섹슈얼리티 부분에서 기독교적 규범을 위반한다. 하지만 기독교의 청교도적 생활방식을 기준으로 삼거나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교회에서 권하는 아내상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하는 등의 모순을 보여주기도 한다. 넷째, 한편, 이들은 남아있는 신앙의 잔재 혹은 페미니즘/페미니스트 이상화로 인해 페미니즘과 불화한다. 이들은 ‘해방된 페미니스트 여성 VS 억압받는 기독교 여성’이라는 도식을 만들어 이분법적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 페미니즘의 맥락 속에서 양분화된 도식을 만들어 낸다. 이분법적 도식 아래에서 이들은 어느 영역에도 속할 수 없기에 갈등을 겪는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갈등을 겪으며 이들은 이분법을 넘어서는 페미니즘을 추구하게 된다. 이들의 경험을 통해 구성되는 페미니즘은 단절하고 싶어하던 기독교적 윤리의 영향을 받는다. 독립적이며 자율적인 주체에 기반한 이분법적 페미니즘에서 타자와의 연결과 공존,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페미니즘으로 이행한다. 이러한 이행에 기독교적 배경이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페미니즘의 담론적 공간 안에서 페미니스트가 된 ‘2030 탈교회 페미니스트 여성’들은 교회 영역에서도 페미니즘 영역에서도 갈등하고 불화한다. 하지만 이들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친 기독교적 규범과 가치관을 페미니즘과 결합시키며 자신의 삶에 기반한 페미니즘의 의미를 구성한다. 자신의 뿌리에 기반하여 페미니즘 의미를 다시 구성하기 위해 이들은 치열하게 페미니즘을 고민하며 실천한다. 이들은 소수이며 개별화되어 조직화되기 어렵기에 이들의 경험과 목소리가 주목받기란 쉽지 않지만 이들의 경험은 온라인 페미니즘의 담론 안에서 이분법적 도식으로 인해 배제되는 많은 다른 경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자신들의 고유한 경험에 기반하여 만들어가는 페미니즘의 의미 구성은 다양한 목소리로서 페미니즘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2030 de-churched feminist women" encountering feminism, conflict with the church, and de-church, and explores the conflict with feminism after the de-church. Through this, how they interpret the experiences of conflict and explore the feminism they construct through these experiences. Prior to thi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feminism after feminist reboots were examined and analyzed what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ir perception of femin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encounter feminism and then conflict with gender violence, sexist culture, homophobia, and secularism in the church. Feminism brought them a new perception along with a gender perspective, which makes them have a problematic awareness of the church's culture and preaching. Based on their awareness of the problem, they feel guilty and anxious because they do not attend church and do not belong to the church community. To relieve anxiety and guilty, they visit progressive churches or churches where female pastors work, but they leave the church without adapting to the new community. Feminism has a great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ir departure from church. Feminism can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disagree with the church. Second, although they have deviated from church, the study participants still consider compatibility between feminism and faith. Leaving church and abandoning faith are different problems for them. Although the church has left, faith or religion that still remains cannot easily harmonize with feminism. They seek a balance between feminism and the church, divided into incompatible or compatible. The position of "incompatible" is confused without pursuing feminism or complete separation from the church after being cut off from the church. The position of "compatible" separates doctrines from churches. Doctrines can be in harmony with feminism, but churches do not. The search for harmony between feminism and the church can be seen as a strategy to seal the conflict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 Christian values they were rooted in and the newly recognized feminist values. Third, research participants actively practice feminism after leaving the church, but contradictions sometimes arise. Research participants generally violate Christian norms in terms of gender role and sexuality. However, it also shows contradictions, such as actively internalizing the image of a wife recommended by the church to take power or based on the puritan lifestyle of Christianity. Fourth, on the other hand, they disagree with feminism due to the remnants of the remaining faith or feminism/feminist idealization. They tended to think dichotomously by creating a schematic of "liberated feminist women vs oppressed Christian women." Research participants create a divided schematic in the context of online feminism. Under the dichotomous schematic, they are at odds because they cannot belong to any area. Finally, through this conflict, they pursue feminism beyond the dichotomy. Feminism, constructed through their experiences, is influenced by Christian ethics that wanted to be cut off. Transition from dichotomous feminism based on independent and autonomous subjects to feminism centered on communities and coexistence with others. The Christian background influences this transition. The "2030 De-Churched Feminist Women," who have become feminists within the online feminism, conflict and disagree in both the church and feminist areas. However, they combine Christian norms and values that influenced them with feminism and constitute the meaning of feminism based on their lives. In order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feminism based on their roots, they fiercely contemplate and practice feminism. Since they are minority and difficult to individualize and organize, their experiences and voices are not easy to attract attention, but their experiences can be linked to many other experiences excluded by dichotomy within the online feminism. The composition of the meaning of feminism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can help expand the extension of feminism with various voi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