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선거구 획정 기준과 표의 가치에 관한 연구 : 한국, 미국, 영국 사례 비교 분석

Criteria for congressional redistricting and the value of a vote: Comparative analysis of cases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초록 (요약문)

This study focuses on the essential error of the system in which differences in the value(or political weight) of votes that exceed the limit imposed by the judiciary may occur due to the population criteria used for congressional redistricting. Current congressional redistricting system can engender differences in the population composition between legislative districts. In South Korea, where “citizen population” is currently used as the criteria for congressional redistricting, a difference in the value of votes exceeding twice the set number has occurred due to the different number of “citizens under the age of 18” in each legislative district during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April 2020. This analysis indicates that the equality in the value of votes emphasiz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t been observed, where the court would rule unconstitutional if the ratio of population deviation between the largest and the smallest legislative district exceeds 2:1. In addition, it indicates that ‘political equality’ that the power to control the government’s decision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has not been achieved.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s decision on the Evenwel v. Abbott,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main grounds for the plaintiff’s argument argued herein, presented three key issues: the problems of political downstream effect, of census data, and of the essential goal of “one-person, one-vote, one-value” principle. As a result of comparing South Korea’s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with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centered around these key issues with the issue of the size of the political power that each elected representatives entrusted, it was found that the issues at the practical level were not shared due to differences in representativeness aimed at the state, the current election system, and the census metho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pute over the essential goal of the “one-person, one-vote, one-value” principle is a fundamental issue implied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itself and the debate continues in South Korea, just as it is in U.S. and U.K. where “total population” and “electorate population” are each used as a criteria for congressional redistricting. Therefore, the view according to which plans to solve the dilemmatic problem of the system can be derived only when consensus on the issue in principle is preceded has been supported.

more

초록 (요약문)

본 연구는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준으로 인해 선거구별 인구의 구성이 상이해짐에 따라 동일 선거에서 행사된 표들의 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제도 내 구조적 오류에 주목한다. 공직선거법이 규정하고 있는 바에 따라 ‘국민 인구’를 선거구 획정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각 선거구 내 상이한 ‘만 18세 미만인 국민’의 수로 인해 두 배를 초과하는 표 가치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헌법재판소가 최대 선거구와 최소 선거구 사이의 인구 편차 비율이 상하 2:1을 초과하면 위헌이라고 판시함으로써 강조하였던 투표의 성과가치의 평등이 실현되지 않았으며, 정부의 결정을 통제할 권력이 고르게 분배되어야 한다는 ‘정치적 평등’ 역시 달성되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선행 연구들은 원고 측 요청의 주요 근거가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문제와 일치하였던 Evenwel v. Abbott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과 관련하여 정치적 효과의 문제, 인구조사 자료의 문제 그리고 1인 1표 1가치 원칙의 목표에 관한 문제라는 세 가지 핵심 쟁점을 제시하였다. 해당 쟁점들과 함께 선출된 선거구별 대표자가 갖는 정치 권력의 규모를 중심으로 한국의 정치·사회적 상황을 상이한 선거구 획정 기준을 사용 중인 미국(‘전체 인구’) 및 영국(‘유권자 인구’)의 경우와 비교 검토한 결과, 현실 차원에서의 쟁점들은 국가가 지향하는 대표성과 현행 선거제도, 인구조사 방식 등의 차이로 인해 공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인 1표 1가치 원칙의 본질적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한 쟁론만은 대의민주주의라는 정치체제 자체에 내포된 문제이기에 세 국가 모두에서 해결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제도의 딜레마적 구조를 해결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결국 원칙상의 쟁점에 대한 합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견해의 타당성을 재인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