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In Search of the Goddesses : A Feminist Reading of William Blake's The Four Zoas

초록 (요약문)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our central female figures in William Blake’s The Four Zoas (1807) fight against the phallogocentric religion. Since Northrop Frye, many literary critics have regarded the female force in this epic poem as an abomination Jesus Christ must drive out. However, Blake has criticized the institutional religion’s patriarchal and autocratic legalism and found the co-existence of the contraries as redemptive energy to overcome such oppressive religious ideology. In The Four Zoas, the four Goddesses, who are called the Emanations, stand for sexual differences and become the active agents of Blake’s philosophy. They are the vibrant warriors who try to defeat Urizen’s phallogocentric religion. In response to the poet’s radical rethinking of religion and sexual differences, this thesis draws on feminist theologian Mary Daly and feminist philosopher Luce Irigaray to speculate the importance of the Emanations. Both scholars agree that that feminists can realize the spiritual renovation by excavating and retrieving the lost images of Goddesses. This return of the once-slain Goddesses can help women dignify their lives as precious, empowered beings who bear the divine image. Drawing on Daly’s Beyond God the Father (1974) and Irigaray’s Sexes and Genealogies (1987), this thesis proves that The Four Zoas is a story of the four slain Goddesses who return to defeat phallogocentrism and aim for a society that embraces contraries, including sexual differences. The first Mother Goddess, Vala, embodies the avenging madwoman figure who directly threatens Urizen’s tyranny. While Vala chooses madness as her weapon, Enion and Ahania form a strong sisterhood of wisdom and prophecy. They provide trenchant criticism towards the patriarchal hypocrisy. Lastly, Enitharmon weaves new human bodies to substitute the disembodied and misogynistic logos, the Spectres. Despite the endless marginalization of the female sex, all four Goddesses actively resist the phallic religion in their respective and colorful ways. Their promise to return from death and create the utopia that celebrates all contraries happily resonates with modern feminist theological vision, making this Romantic epic a prophecy for the egalitarian world we would cultivate and anticipate.

more

초록 (요약문)

본 논문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서사시『The Four Zoas』속 여성 주인공들이 어떻게 남근이성중심주의적 종교에 맞서 싸우는지를 밝힌다. 노스롭 프라이(Northrop Frye) 이래 많은 학자들은 작품 속 여신들의 권능을 예수 그리스도가 물리쳐야 할 부정적인 요소로 읽어왔다. 하지만 블레이크는 가부장적이고 폐쇄적인 기독교 율법주의에 대단히 비판적이었고, 억압적인 종교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구원적 힘을 상반되는 가치(contraries)의 공존에서 찾는다. 따라서 그의 서사시 속에서 여신들, 즉 성차(sex differences)를 상징하는 네 명의 여성 에마네이션(Emanation)들은 유리즌(Urizen)의 종교로 대변되는 남근이성중심주의에 대항한 시인의 대변자이자 전사들이다. 종교와 성차에 대한 시인의 급진적 해석에 따라, 이 논문은 페미니스트 신학자인 메리 데일리(Mary Daly)와 페미니스트 철학자 뤼스 이리가레의 이론에 기대어 서사시 속 여신들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두 학자들은 가부장제의 억압과 남신의 신화로 대체된 여신 신화에 주목하여, 잃어버린 여신의 형상을 되찾아 페미니스트들의 영적인 혁신을 이뤄낼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한 때 스러졌던 여신의 귀환은 여성들이 스스로를 신의 형상을 담은 소중한 존재로 바라보고 자신에게 권능을 부여할 수 있게 해 준다. 데일리의 『하나님 아버지를 넘어서(Beyond God the Father)』와 이리가레의 『성과 계보(Sexes and Genealogies)』에 기대어, 본 논문은 블레이크의 서사시가 죽음을 극복하고 돌아와 성차를 회복하고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남근이성중심주의를 이겨낸다고 주장한다. 태초의 어머니신 발라(Vala)는 유리즌의 독재에 직접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복수의 여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녀가 광기를 무기로 삼는다면, 에니온(Enion)과 아헤니아(Ahania)는 지혜와 예언을 중심으로 한 자매애를 형성하며 가부장적 위선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에니탈몬(Enitharmon)은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여성혐오적 이성의 상태로 존재하는 자들(Spectres)을 대체할 새로운 인간의 육신을 직조한다. 끊임없는 여성성의 축소와 주변화에도 불구하고, 네 명의 여신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활발하게 가부장적 종교에 맞선다. 죽음 이후에도 다시 돌아와 성차를 비롯한 모든 상반되는 것들이 환영을 받는 낙원을 만들겠다는 그녀들의 약속은 현대의 페미니스트 신학의 비전과 크게 공명한다. 페미니스트의 시선에서 재해석하는 블레이크의 작품은 우리가 기대하고 가꿔가야 할 성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위한 하나의 예언서가 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