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팀 응집력 및 지각된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잡 크래프팅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Team cohesion and Perceived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work engagem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초록 (요약문)

조직 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던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세대가 급속도로 유입되고 있다. 이 세대는 자신의 일을 경력 개발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여기며 자율적인 업무 환경을 선호한다. 또한 이들은 일의 의미를 중요시하고 주도적으로 업무를 수행해 나가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기업은 새로운 세대의 급속한 유입과 사회, 환경 변화에 상응하여 조직 내 혁신과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세대의 특성과 변화에 부합하여 주도적으로 업무 경계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잡 크래프팅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잡 크래프팅의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개인 수준 요인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이며 업무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를 팀 수준과 개인 수준으로 구분하여 탐구하였다. 즉, 팀 수준 변수인 팀 응집력이 팀 구성원들 간의 공동의 목표에 대한 소속감, 애착감에 따라 개인의 직무열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 차원에서는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구체적으로 직무열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팀 수준인 팀 응집력 및 개인 수준인 지각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팀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기업, 총 67팀, 274명 종업원들의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다수준 분석(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교수준에서 팀 응집력은 개인의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수준에서의 지각된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업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모두 팀 수준의 팀 응집력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수준의 지각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도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새로운 세대의 유입과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여 조직 운영 방식과 일의 의미에 대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시도로 팀 수준 변수와 개인 수준 변수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연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잡 크래프팅의 조직 내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효과적인 잡 크래프팅을 위한 조직 운영 방법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 (요약문)

As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s generation,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organization, accelerates, new generations are rapidly flowing in. This generations regard their work as a means of career development and prefer an autonomous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value the meaning of work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taking the lead in performing tasks. Accordingly, companies are promoting innovation and change within the organization in response to the rapid influx of new generations and changes in society and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se new generation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job crafting that can actively change work boundaries is increasing. However,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of job crafting are studies on individual-level factors, and studies on factors occurring within the work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preceding variables affecting job crafting by dividing them into team level and individual level. In other words, how team cohesion, a team-level variable, affects an individual's work engagement according to the sense of belonging and attachment to the common goals was examined. At the individual level, how perceived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by members specifically affects work engagement at the individual level was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work engagement. In this study, survey data of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and operated teams, a total of 67 teams, and 274 employe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m cohe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n individual's work engagement at the level of cross-relation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t the individual level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task crafting, relational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were all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level team cohesion and work engage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igh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and work engagement was also shown. This study studied the influence of team-level variables and individual-level variables on job crafting in an attempt to reflect change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methods and meaning of work in response to the influx of new generations and changing environment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various factors that may occur within the organization of job crafting can be rais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pare an organizational operation method for effective job craft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