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신념이 코로나19 예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쿠폰 정책과 해외국가 방역완화 정책인지의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 of Health Beliefs on the Prevention Intention of COVID-19 :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consumption coupon policy and quarantine mitigation policy in overseas countries.
- 주제어 (키워드) 코로나19 , 건강신념모델 , 지각된 심각성 , 지각된 취약성 , 지각된 혜택 , 지각된 장애 , 행위단서 , 예방행동의도 , COVID-19 , health belief model , perceived severity , perceived susceptibility , perceived benefits , perceived disability , behavioral cues ,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유현재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광고홍보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437
- UCI I804:11029-00000006643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지난 2019년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2021년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확산이 지속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확진자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과 백신접종을 통해서 확진자 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로 세계 각국의 경제가 위축된 가운데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이 과정에서 정부는 내수진작을 위한 소비쿠폰 정책을 시행했다. 하지만 공교롭게 소비쿠폰 정책 추진시점과 코로나19 유행시점이 유사하다는 특징을 볼 수 있다. 백신 접종률에 따라 방역을 완화하는 국가들도 나타나고 있다. 영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 국가는 높은 백신 접종률을 기반으로 방역을 완화하고 이른바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고 있다. 메시지는 명시적 메시지와 암시적 메시지로 나뉠 수 있다. 소구하고자 하는 주장이 내용 중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고 수용자가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명시적 메시지라면 결론을 언급하지 않으면서 수용자가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모호한 메시지를 말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방역당국의 브리핑, 긴급문자 등이 명시적 메시지라면 사회 구성원들에게 일상적으로 다가오는 코로나에 대한 느낌과 뉘앙스들은 모두 암시적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정부의 소비쿠폰 정책과 해외국가의 방역완화 정책도 암시적 메시지로서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다양한 질병 예방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 건강신념모델은 건강행위를 결정할 때 개인의 주관적인 신념과 지각에 따라 예방행동이 결정된다고 설명한다. 건강신념 중 하나인 행위단서는 개인의 건강행동을 실천하도록 촉발할 수 있는 내적·외적 자극을 말한다. 암시적 메시지로서 정부의 소비쿠폰 발행정책과 해외국가의 방역완화 정책정보는 건강신념모델의 변인 하나인 행위단서로서 코로나19 예방행동에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질병 예방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해 코로나19 예방행동의도에 건강신념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 이와 함께 암시적 메시지 그리고 행위단서로서 우리나라의 소비쿠폰 정책과 해외국가의 방역완화 정책 인지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건강신념모델 중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혜택이 코로나19 예방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지각된 혜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심각성 순으로 나타났다. 행위단서로서 소비쿠폰 정책정보와 해외 방역정책 정책정보 인지가 코로나19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소비쿠폰 정책 인지정도와 소비쿠폰 정책 접촉정도가 코로나19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력이 크지는 않았다. 해외국가 방역완화 정책 인지정도와 접촉량은 코로나19 예방행동의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과 코로나19 예방행동 의도에 대한 행위단서의 조절효과 검증도 실시했는데, 소비쿠폰 정책정보의 접촉정도가 지각된 심각성과 코로나19 예방행동 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중에서 지각된 혜택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본인의 건강과 주변 지인들의 건강을 함께 지킬 수 있다는 점을 어필하는 것이 예방행동의도를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는 함의를 가진다.
more초록 (요약문)
COVID-19, which began in China in 2019, has continued to spread around the world so far in 2021. Amid repeated increase and decrease in confirmed cases in Korea,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confirmed cases through quarantine policie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vaccinations. Amid the shrinking economy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due to COVID-19 in 2020, Korea recorded a relatively high economic growth rate, in which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consumption coupon policy to boost domestic demand. Coincidentally, however, the timing of the consumption coupon policy and the COVID-19 epidemic are similar. Some countries are easing quarantine according to the vaccination rate. Countries such as the UK, Israel, and Singapore are easing quarantine based on high vaccination rates and switching to so-called "With Corona." Messages can be divided into explicit messages and implicit messages. If the claim to be sought is clearly expressed in the content and what the prisoner can immediately understand is an explicit message, it refers to an ambiguous message that the prisoner cannot immediately understand without mentioning a conclusion. If briefings and emergency texts from quarantine authorities are explicit messages in the COVID-19 situation, all of the feelings and nuances about COVID-19 that are routinely approaching to members of society can be said to be implicit messages. The government's consumption coupon policy and quarantine easing policy in foreign countries can also affect people as an implicit message. The health belief model, which is used in various disease prevention studies, explains that preventive behavior is determined by an individual's subjective beliefs and perceptions when determining health behavior. One of the health beliefs, the clue to action, refers to an internal and external stimulus that can trigger an individual to practice health behavior. As an implicit message, the government's consumption coupon issuance policy and quarantine mitigation policy information in overseas countries may have influenced the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a clue to one of the variables in the health belief model.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impact of health beliefs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s by applying health mindset models used to prevent various diseases,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Korea's consumption coupon policy and overseas countries' quarantine easing poli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benefits among health belief models influence the intention of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mong them, perceived benefit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consumption coupon policy information and overseas quarantine policy information on the intention of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s a cue-to-ac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consumption coupon policy and contact with consumption coupon policy had an effect, but it was not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contact of the overseas national quarantine easing policy were not related to the intention of COVID-19 prevention behavior. It also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ue-to-action on health beliefs and COVID-19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s, an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ntact with consumption coupon policy information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verity and COVID-19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COVID-19 prevention behavior. Among them, perceived benefits appear to have a great influence, which has the implication that appealing that one's health and the health of acquaintances around him can be protected together helps to develop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