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THE IMPACT OF GENDER ON ENVIRONMENTAL CONCER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UR IN SOUTH KOREA

초록 (요약문)

Studies reveal that there is a gender gap in people’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urs across ages and cultures – females are found to be more concerned about environmental issues and report engaging in more pro-environmental behaviour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t is believed that such differences could stem out of different gender roles and values, whether inherent, i.e. biological or socio-cultural. Because of the significant effect gender can have on environmental attitudes, it definitel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environmental policies. This thesis research focuses on gender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self-reported pro-environmental behaviours in South Korea. While simila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other countries and cultural contexts, there are few studies on gender-based environmental attitude differences in South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s in environmentalism in South Korea. Women are found to be more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 and report partaking in more pro-environmental behaviours than men. Such findings give more credence to the ecofeminist perspective, which sees women and environment as intertwine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and to what degree gender affects an individual’s environmental attitudes in order to further improve current environmental policies, as well as to make sure these policies can lead towards an environmentally just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es and effects. Korea scores very low when their climate change policy is considered (CCPI, 2019; Climate Action Tracker, 2019)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amongst the top 10 carbon emitting countries (EU, 2019). The current thesis contributes to the research of gender-environmentalism correlation, and indicates the need for addressing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concomitantly.

more

초록 (요약문)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환경문제에 관한 사람들의 인식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연령대와 여러 문화권에 걸쳐,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환경문제에 대한 염려가 더 크고, 환경친화적인 활동들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차이는 생물학적 또는 사회·문화적 성별에 따라 부여되는 역할과 강조되는 가치에서 비롯된다고 여겨지고 있다. 성별은 환경정책을 개발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구학적 변수다. 왜냐하면, 성별은 환경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한국인들이 성별에 따라 환경에 대해 다른 태도와 행동을 보이는지 검토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다양한 국가와 문화적 맥락에서 비슷한 연구가 시행되었으나, 한국에는 성별을 기준으로 환경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에 주목한 연구가 많지 않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환경보호주는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보여준다.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환경문제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으며, 더욱 적극적으로 환경친화적 행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과 환경이 서로 얽혀있다고 주장하는 에코 페미니즘 사상의 신빙성을 더해준다. 현재의 환경 정책들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는 성별이 개인의 환경에 대한 태도에 어떻게, 또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경 관련 정책들이 환경에 대한 책임과 결과물이 공정하게 분배되도록 확인해야 한다. 한국은 기후변화 정책을 고려할 때 매우 낮은 점수를 받는 동시에(CCPI, 2019; Climate Action Tracker, 2019) 10대 탄소 배출국에 속한다(EU, 2019). 본 논문은 성과 환경주의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에 기여하며 사회 및 환경 문제들을 동시에 다룰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