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정치의 지배이념 연구 : 극우적 반공주의와 민족자결적 반미주의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Dominant Ideology of Politics on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and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 주제어 (키워드) 한반도 정치 , 한국전쟁 , 민족주의 , 식민지 경험 , 반공주의 , 반미주의 , 극우적 반공주의 , 민족자결적 반미주의 , Politics on the Korean Peninsula , The Korean War , Nationalism , Experience of Colonial Period , anti-Communism , anti-Americanism ,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류석진
- 발행년도 2022
- 학위수여년월 2022.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실제 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6396
- UCI I804:11029-00000006639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초록 (요약문)
본 논문은 한반도 정치, 즉 남한과 북한정치에서 등장하였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를 분석한다. 식민지 시기부터 유신체제와 주석제가 선포되고, 본격화된 시점까지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한반도 정치에서 지배 이념이었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가 각각 ‘극우적 반공주의’와 ‘민족자결적 반미주의’로 귀결된 원인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는 비판하는 대상이 공통적으로 공산주의와 미국이더라도, 동일한 이론과 논리로 작동하지 않는다. 선행연구는 이러한 점을 간과한 채,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를 동일한 유형으로 간주하고 분석한 한계를 갖는다. 또한 한반도라는 지리적 공간과 식민지 시기라는 역사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다루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반공주의와 반미주의의 유형을 분류한 후, 한반도라는 공간과 식민지 시기의 경험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고려하여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한반도 정치에서 ‘극우적 반공주의’와 ‘민족자결적 반미주의’의 우위를 만든 원인이 한국전쟁, 민족주의, 식민지 시기의 경험임을 확인하였다. 먼저, 식민지 시기의 경험은 남한과 북한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가 특정 유형으로 발전할 역사적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식민지 경험은 해방 이후 남한의 반공주의가 극우적 성격을 강화하면서, 헤게모니를 장악한 기반이 되었다. 또한 반미주의는 식민지 시기의 경험으로 인하여, 일제 시기 사용되었던 담론과 언어 체계를 북한의 반미주의에 내면화하였다. 북한은 이 시기의 경험으로 여타 제3세계 국가나 사회주의 국가와 달리 반미주의에 인종주의적이고 옥시덴탈리즘적 요소를 더 표출하였다. 식민지 시기의 경험은 한반도 정치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가 극우적 반공주의와 민족자결적 반미주의로 귀결된 역사적 배경이자 기저효과로 기능하였다. 한국전쟁은 한반도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가 극우적이고 민족자결적으로 변모한 결정적 계기였다. 한국전쟁은 분단을 고착화시켰으며, 남한과 북한의 의식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남한은 반공주의, 특히 극우적 반공주의가 시민사회에서 동의를 얻을 정도로 강화되었고, 북한은 민족자결적 반미주의가 인민을 중심으로 표출되었다. 점령정책으로 경험한 상대방의 체제는 남한과 북한의 주민에게 상대방의 폭력성과 비민주성, 잔인함을 알게 만들었다. 남한과 북한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를 통해 강제한 이념보다 먼저 경험을 통해 이념을 체득하였다. 게다가 보복학살을 명분삼아 행해진 빨치산과 우익치안대의 학살은 남한과 북한 주민 모두에게 적대감과 증오심을 만들었다. 그리고 동시에 상대방 체제와 이념에 대한 두려움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극단적인 증오와 두려움은 남한의 극우적 반공주의와 북한의 민족자결적 반미주의가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민족주의는 남한과 북한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가 극우적 반공주의와 민족자결적 반미주의로 귀결된 담론적 요인이었다. 식민지 시기 반공주의와 민족주의가 결합한 이후, 민족주의는 한반도에서 반공주의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신탁통치 국면 이후 반탁은 민족주의와 반공주의로 간주되었고, ‘반탁=애국=민족주의=반공’이라는 논거가 확립되었다. 이제 반공을 주장하는 사람은 모두 과거에 상관없이 민족주의자이자, 애국자가 되었다. 게다가 5·16 쿠데타로 집권한 군사정권은 반공이 전제되지 않은 민족주의 담론을 반민족적 주장으로 만들면서, 극우적 반공주의의 헤게모니를 강화하였다. 박정희 정부의 주장은 반공주의를 민족주의적 주장이며, 애국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즉 반공주의가 전제되지 않은 민족주의 담론을 모두 반민족적이며, 용공적인 주장으로 만들어 남한 사회의 반공주의, 극우적 반공주의의 헤게모니를 확립하였다. 북한 역시 김일성의 유일지배체제를 완성해가는 과정에서 저항적 민족주의를 강조하였다. 이 저항적 민족주의는 반미주의와 연결되면서, 북한의 반미주의를 좌파적 반미주의에서 민족자결적 반미주의로 변모하였다. 이처럼 민족주의는 한반도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가 극우적이고 민족자결적으로 귀결되게 한 정치적 전략으로 기능하였다.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는 남한과 북한에서 상대방을 적으로 규정하였다.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는 세상을 ‘선’과 ‘악’으로 구분하고, 나와 다른 생각은 ‘박멸해야 할 악’으로 규정하였다. 마치 종교에서 나와 다른 종교관을 가진 사람을 이단 혹은 악마로 간주하고, 교화나 박멸해야 할 존재로 인식한 것처럼, 한반도의 반공주의와 반미주의는 나와 사고방식이 다를 경우 배제해도 무방하다는 사고관을 강제하였다. 이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관은 오늘날 남한과 북한 사이의 갈등뿐 아니라 사회 내부의 갈등도 분극화하였다. ‘극우적 반공주의’와 ‘민족자결적 반미주의’로 귀결된 한반도 정치에서 반공주의와 반미주의의 위험성은 지난 역사에서 남북갈등, 북미갈등을 증폭시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요원하게 하였다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두 이념은 상대방을 공존의 대상이 아닌 말살의 대상으로 만들어, 한반도와 그 내부를 갈등과 분열의 공간으로 만들었다.
more초록 (요약문)
This study analyzes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that emerged in politics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th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politics. We would like to examine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from the colony of Japanese Imperialism period to the time when the revitalizing reforms and presidency system were declared and began in earnest. This thesis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which are the dominant ideologies of politics on the Korean Peninsula, resulting in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and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criticize communism and the United States, but the theory and logic of criticizing communism and the United States differ depending on the ideolog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and analyze the types of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This the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War, Nationalism, and the Experience of Colonial Period were the reasons that created the superiority of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and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in Korean Peninsula politic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colonial period served as a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in South and North Korea into a specific type. After liberation, the colonial experience became the basis for South Korean anti-Communism to dominate hegemony while strengthening its far-right character. In addition, anti-Americanism internalized racist discourse and language systems to North Korean anti-Americanism due to colonial experiences. Unlike other third-world countries and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expressed more racist and Occidentalism’s elements in anti-Americanism due to its exper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olonial experience functioned as a historical background and base effect in which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in Korean Peninsula politics resulted in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and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Second, the Korean War was a decisive factor that transformed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into extreme right and national self-determination. The Korean War was a three-year war that fixe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South and North Korea. In South Korea, anti-Communism, especially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was strengthened to the extent that it obtained consent from civil society, and in North Korea,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expressed around the people. The opponent's system experienced by the occupation policy made the resident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ware of the opponent’s violence, undemocratic nature, and cruelty. South Korea and North Korea learned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through experience before the ideology enforced by the state through ideological state apparatus. In addition, the massacre of civilians in South and North Korea created hostility and hatred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ns. At the same time, it acted as a fear of the opponent’s system and ideology. In the end, extreme hatred and fear led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in South Korea and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to dominate hegemony. Finally, Nationalism was a discourse factor in which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in South and North Korea resulted in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and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ti-Communism and nationalism were combin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at, nationalism became a factor in strengthening the legitimacy of anti-Communism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anti-Trust movement, anti-Trust was regarded as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and the argument of ‘anti-Trust=Patriotism=Nationalism=anti-Communism’ was established. Now, all those who advocate anti-Communism have become nationalists and patriots regardless of the past. In addition, the military regime, which came to power in the May 16 coup, made the nationalist discourse, which did not presuppose anti-Communism, an anti-National argument. And based on this, the hegemony of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was strengthened. In other words, Nationalist discourse, which does not presuppose anti-Communism, was regarded as a communist and anti-Nationalist argument, strengthening the hegemony of far-right anti-Communism. North Korea also emphasized resistant nationalism while completing Kim Il-Sung’s Monolithic ruling system. Resistant nationalism transformed North Korea’s anti-Americanism from anti-Americanism of left-wing to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s such, nationalism functioned as a political strategy that resulted in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being far-right and nationally self-deterministic.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defined the other as enemie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divided the world into ‘good’ and ‘evil’ and defined other thoughts as ‘evil to be eradicated’. As if someone with a different view of religion than me was regarded as heresy or devil, and recognized as being to be edified or eradicated,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on the Korean Peninsula forced the view that it was okay to exclude if I had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his dichotomous view of thinking has polarized not only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day, but also the conflict within society. The danger of anti-Communism and anti-Americanism in Korean Peninsula politics, which resulted in ‘anti-Communism of extreme right-wing’ and ‘anti-Americanism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does not stop at amplifying inter-Korean conflicts in the history, mak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a long way. The two ideologies made the opponent an object of extinction, not an object of coexistence, making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interior a space of conflict and divi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