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퇴직자들의 평생교육 강사활동과 전환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tiree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Activities and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초록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강사들의 활동 경험을 통하여 퇴직 후에도 여전히 진행되어지고 있는 ‘과정’으로서의 경력개발과 학습의 모습을 드러내고, 그것이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역할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퇴직을 경험한 현직 평생교육 강사 3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그들의 경험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퇴직자들이 평생교육 강사라는 새로운 직업으로 도전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이전 삶의 경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퇴직 즈음에 경험한 전환학습의 전개 모습을 살펴보았고, 그들이 평생교육 강사로 정착하고 성장하는 과정과 그들 삶에서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이전 삶에서 다양한 학습과 경력 개발을 경험하였고, 이는 그들이 평생교육 강사 활동을 시작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퇴직으로 그들의 경력은 중단 되지 않았으며, 활발한 평생교육 강사 활동을 통하여 경력은 계속 개발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시행 중인 전직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진로와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이를 위한 학습의 진행이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학습 프로그램의 진행하는 교수자로 은퇴자, 퇴직자들의 적극 영입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퇴직을 전후로 딜레마적인 상황을 맞이하여, 기존 인식의 틀이 바뀌게 되는 커다란 전환을 경험하였으며, 이 전환의 경험은 평생교육 강사 활동으로 완성되었다. ‘퇴직’을 맞이한 연구 참여자들은 각각의 삶의 맥락 속에서 다른 시기에 다른 반응과 행동을 보였고, 이는 퇴직과 관련된 논의에 있어 개인의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촘촘한 분류와 세밀한 시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퇴직자 또는 퇴직 예정자가 그들이 원하는 시점에 그들에게 꼭 필요한 실질적이고, 개방적인 지원제도들을 이용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 학습과정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전환의 과정을 겪는 동안 혼자서 꿋꿋하게 고민하고, 결정하고, 실행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성적 담론과 관련해서 ‘좀 덜 친밀한 사람들’과 ‘느슨한 연대’, ‘약한 연결’의 활성화가 필요함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고령의 연구 참여자들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을 주목하고, 신뢰할 만한 온라인 사회적 관계망의 활용을 돕기 위한 평생교육분야의 관심이 필요하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평생교육 강사 활동을 통하여 퇴직으로 인하여 정지된 ‘사회적 역할’을 회복할 수 있게 되었고, 직업이 주는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평생교육 강사 활동은 스스로의 존엄을 지킬 수 있는 것이며, 사회로 향하는 새로운 통로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강사들의 어려움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평생교육 강사들의 협의체의 구성이 필요하고, 이는 그들의 교육이나 소통의 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의 경력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음은 이들의 미래에 대한 준비와 계획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이 학습한 것을 타인에게 전하는 역할인 평생교육 강사를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로 인식하고, 즐기면서 진정한 자아통합을 이루고 있었다.

more

초록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mage of career development and learning as a 'process' that is still in progress after retirement through the activity experiences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to find implications and roles it has on lifelong education. For this study, three incumbent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experienced retirement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to better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narrative inquiry. 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life experiences that have influenced retirees in the process of challenging and growing into new careers a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d by the study participants near retirement was examined, and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activities in their lives was examined through how they settled and grew a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various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in their previous lives,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m starting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activities. In addition, due to the retirement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ir careers did not stop, and their careers continued to be developed without stopping through activ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bout career and career development across all age groups along with the existing job change support program and to conduct learning for th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cruit retirees as instructors for these learning programs. This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retirees with professional competencies to develop their competencies through instructor activities, and it can be a socially effective way to utilize the competencies of human resources with professional competencie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faced a dilemma before and after retirement and experienced a great transition in which the existing framework of perception was changed, and it was completed and appeared as an instructor for lifelong education. In the face of "retirement,"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reactions and different role behaviors at different times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suggesting that discussions related to retirement should be approached closely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situations. Therefore, retirees or prospective retirees must use practical and open support systems necessary for them at the time they want. Third, a prominent feature of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of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themselves firmly thinking, making decisions, and implementing them while undergoing the transition process. Regarding rational discourse, it was also found that activation of "less intimate people," "vaguely bounded solidarity," and "weak tie" needed to be activated. To this end, focusing on the active use of SNS by study participants, atten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s needed to utilize reliable social networks. Fourt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ble to restore the 'social role' that was suspended due to retirement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activities and gained a sense of belong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given by their jobs. For the study participants,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activity is a way to protect their dignity and a new path to society. It is necessary to form a council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at can help solve the problem. And which can also be used as a forum for communication and education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Fifth, It was also known through their preparation and planning for the future that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continuing. The study participants realized true self-integration while recognizing and enjoying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se role is to convey what they had learned to others, as a task assigned to th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