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15 개정 『한국사』 교과서의 역량기반 탐구활동 분석

Analysis on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based Inquiry Activities of 『Korea History』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초록 (요약문)

최근 교육계에서는 단편적인 지식의 축적을 넘어서 실제 상황에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래 사회에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초점을 두고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을 강조하며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강조하였다. 이렇게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출판된 교과서의 탐구활동에는 각 교과의 핵심역량인 교과 역량을 표시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 교과서 탐구활동의 분석을 통해,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량기반 탐구활동이 교과서 내에 타당하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변화한 교과서 탐구활동 내에 교과 역량의 반영 양상을 살피기 위해 9종의 『한국사』 교과서 2단원에 포함한 교과서 탐구활동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교과 역량별 영역 기능분석 연구를 변형하여 분석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기준으로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탐구활동을 직접 풀고 교과 역량을 재표기 하거나 새로이 표기하는 방식으로 교과 역량의 구현 방식과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교『한국사』 교과서 탐구활동의 교과 역량은 실제 학습자가 성취할 수 있는 교과 역량과는 다르게 표기되었으며, 역사교육 학계와 교과서 집필진 사이의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초기 수준에 머물러 있는 등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섯 가지의 교과 역량 중 가장 많은 편차를 보인 3개의 교과 역량인 ‘역사정보 활용 및 의사소통’, ‘역사적 판단력과 문제해결 능력’, ‘정체성과 상호존중’을 중심으로 교과서 탐구활동의 불일치 사례를 수정하여 교과 역량을 성취할 수 있도록 교과서 탐구활동을 재구성하여, 역사과 교과 역량에 따라 필요한 활동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종합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역사과 교과 역량을 역사 교과서에 표기할 경우, 교과 역량을 적절하게 담아내는 탐구활동의 구성이 요구된다. 이때, 교과 역량이 역사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역량인지 진지하게 고민하며, 전반적으로 교과 역량의 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교과 역량을 역사 교과서에 제대로 구현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장의 역사교사가 교과 역량을 이해하고 구체적으로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예시자료의 구축을 통해 교과 역량을 교과 차원으로 의미 있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렇듯 지식의 습득이 아닌 실제 상황에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인 교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역사 수업과 역사 교과서를 개선해간다면,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역사적 사고력과 탐구력을 신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more

초록 (요약문)

Recently the ability to use knowledge in real situations beyond the accumulation of fragmentary knowledge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education world. According to this tre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learner-centered classes, emphasizing key competencies and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learners in the future society. With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this way, the inquiry activities of published textbooks showed a change in displaying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which is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of each subject. In this context, this study began with a awareness of whether competency-based inquiry activities emphasized in the revised curriculum are reasonably reflected in the textbook through the analysis of historical textbook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 exploration activities included in the second unit of nine kind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to examine the reflection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within the revised textbook exploration activities. After that, the analysis criteria were presented by modifying the study of domain function analysis by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addi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method and appropriat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subject-specific competencies were reviewed by directly solving the current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inquiry activities and re-representing or re-representing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inquiry activities was marked differently from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that actual learners can achieve and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agreement between history education academia and textbook writers were confirmed. Therefore, textbook exploration activities were reorganized to achiev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by revising inconsistent cases of textbook exploration activities, focusing on historical information utilization and communication, historical judg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mutual respect. This study was able to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by synthesizing them. When history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re indicated in history textbooks, the composition of inquiry activities that appropriately capture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s required.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whether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re a competency that require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restructure the overall category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nd properly implement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history textbook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it meaningful at the subject level by establishing related example materials so that history teachers in the field can understand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nd apply it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detail. If we improve history classes and history textbooks in the direction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apply knowledge to real situations rather than acquiring knowledge, it will ultimately help students improve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