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 양태 구문의 의미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Modal Constructions

초록/요약

이 연구는 양태 구문의 의미가 해석되는 과정을 어휘항목, 통사구조, 맥락을 토대로 설명하고 양태 구문의 의미와 시제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 글은 비교적 어휘항목의 의미가 투명하게 해석되는 양태 구문을 중심으로 구문을 구성하는 어휘항목의 속성과 어휘항목들로 형성된 통사구조를 분석하고 양태 해석에 관여하는 맥락을 검토한다. 나아가 양태 구문의 의미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시제의 결합 양상도 살펴본다.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제2장에서는 양태 체계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면서 이 글이 취할 이론적 태도를 밝힌다. 특히, 양태를 해석할 때 양태 표현의 의미론적 의미뿐만 아니라 맥락에 대한 해석이 중요하다고 보는 입장에서 양태의 의미론적 의미와 맥락에 따른 의미의 상호 관계가 강조된다. 제2장에서는 양태 구문뿐만 아니라 양태를 표현하는 어휘 형식과 문법 형식까지 대상을 확대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그 결과, 제2장은 양태 표현 일반을 일관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양태의 해석 기제를 밝히고 그에 따라 파악되는 양태 체계를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양태 구문을 구성하는 ‘어휘항목’의 속성과 어휘항목들로 형성된 ‘통사구조’에 대해 논의한다. 제3장은 제2장에서 논의한 양태의 의미 해석 과정이 통사적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장이다. 이 장에서는 모든 개별 양태 구문들의 통사구조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양태 구문이 지니고 있는 통사구조의 유형을 확인하고 어휘항목의 의미와 통사구조를 토대로 양태가 해석되는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모든 양태 구문을 다루지 않고 접속 구조와 내포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양태 구문을 양태 의미에 따라 선정하여 논의한다. 이를 통해 어휘항목의 속성과 통사구조가 보장하는 양태 구문의 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제4장에서는 맥락을 고려하여 양태가 해석되는 과정을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양태 해석이 지닌 맥락 의존성을 확인할 수 있다. 맥락은 양태의 다의성이 해석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한편 발화자의 의도에 따른 양태 표현의 다양한 용법 해석에도 관여한다. 양태의 맥락의존적 의미는 양태의 의미론적 의미가 유지되는 맥락에서 해석되지만 발화 의도에 따라 해석되는 양태 표현의 용법은 양태의 의미론적 의미가 유지되지 않는 맥락에서 해석된다. 제4장은 제2장에서 논의한 맥락에 대한 내용을 양태 구문에 적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피며 제3장에서 논의한 내용으로 설명할 수 없는 내용까지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장이 된다. 제5장은 양태 구문의 의미 해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시제와의 결합 관계’에 대한 논의로 구성된다. 양태 해석이 시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지닌다는 점을 강조하고 시제 결합 관계에 따라 양태 해석이 달라지는 양상에 대해 살핀다. 이를 위해 양태 구문 중 다의적으로 해석되는 구문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아울러 양태와 시제가 결합하면서 도출되는 반사실성의 의미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반사실성의 의미가 지닌 속성이 무엇인지 밝히는 과정에서 양태와 시제가 결합할 때 도출되는 함축 의미에 대해서도 함께 다룬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양태 구문의 의미가 해석되는 과정을 구문을 형성하는 어휘항목의 의미와 그들이 형성하는 통사구조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맥락과의 상호관계를 밝힘으로써 양태 해석의 기제 및 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시제 결합 양상에 따른 양태 해석 과정을 분석하여 양태와 시제의 관계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background of this dissertation underlies in two main arguments. First,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modal constructions can be analyzed based on lexical items, syntactic structures, and context. Second, an interrelationship exists between tense and modal constructions. To support this claim, the study investigates the properties of lexical items and the syntactic structures formed by lexical items, focusing on modal constructions where the meaning of lexical items is relatively interpreted with clarity. It also analyzes the involvement of context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se modal constructions. Lastly, the study explores the aspect of tense combinations that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modal constructions. Chapter 2 defines the current study’s theoretical stance while examining existing literature on the modality system. It emphasizes that context plays a crucial role in interpreting modal constructions and is closely interrelated with a modality’s semantic meaning. In addition to modal constructions, the study extends the discussion to lexical modality and grammatical modality to support the validity of these arguments. The chapter concludes by suggesting the modality system is derived from the interpretation mechanisms of modality I discussed in Chapter 2. Chapter 3 elaborates on the properties of ‘lexical items’ that comprise modal constructions and the ‘syntactic structures’ formed by these lexical items. Chapter 3 attempts to show how the meanings of modal constructions as discussed in Chapter 2 are compounded syntactically. The discussion proceeds by dividing the syntactic structure that forms the modal construction into conjunctive structures and embedded structures. It should be clear however, that the purpose of this chapter is not to analyze and present the syntactic structures of all individual modal constructions, but to identify the types of syntactic structures they have and to identify the process of interpreting modality based on the meaning of lexical items and syntactic structures. So Chapter 3 treats selected modal constructions based on their modal meaning and syntactic structures without having to treat all modal constructions. This process shows that the meaning of modal constructions can be derived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ir lexical items and syntactic structures. Chapter 4 investigates the role of context and the interpretation process of modal constructions. It demonstrates the dependency of modals on context for interpretation. Context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modal expressions that carry multiple meanings and it is also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 of various usages of modal expressions that adhere to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nother concept worthy to note is that while the context-dependent interpretation of modals may be equally construed as modals preserving their semantic meaning, it may not always be the case. Depending on an utterance’s intention, a modal expression can also be interpreted in contexts where it does not retain its semantic meaning. This study therefore maintains that multiple meanings of modal constructions which cannot be derived from syntactic structures are derived from various contexts. Subsequently, modal constructions serve purely pragmatic functions in instances where their interpretation is based on a speaker’s intention. To sum up, Chapter 4 develops the discussion in Chapter 2 about contexts and their application to modal constructions by examining these concepts in detail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thorough explanation of the notions introduced in Chapter 3. Chapter 5 establishes this study’s argument on combinations of tense and modality that affect the interpretation process of modal constructions. It highlights that the interpretation of modal expressions is strongly correlated with tense and examines how the interpretation of a modal express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tens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chapter narrows down its focus to modal constructions which has multiple meanings. It also tackles the nature of the meaning of counterfactuality and argues that the meaning of counterfactuality is an implicature as a consequence of the combination of modality and tense. Overall, this dissertation advances that the interpretations of modality can be systematically explained by analyzing modality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lexical items, syntactic structures, and context. Furthermore, the discussion of tense and its contribution to the interpretation process of modal constructions sheds l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ense and modal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