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상황초점 정서조절전략의 유연성과 적극성이 기대 정서 충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Flexible and Active Use of Situation-Focuse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Satisfaction of the Expected Emotion :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Efficacy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상황초점전략의 유연하고 적극적인 사용이 기대한 정서를 느끼는 정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능동적 정서조절전략 중 하나인 상황초점전략이란 행동과 생리적 반응이 활성화되기 전에 상황을 변화시킴으로써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상황초점전략은 정서가 촉발되는 상황에 대한 접근여부를 결정하는 상황선택과 원하는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상황을 변화시키는 상황수정을 포함한다. 이 때 정서조절의 효과성은 기대 정서 충족도 점수를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즉 정서조절을 목표한 정서를 추구하고 달성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보고, 개인이 이를 통해 원하는 정서를 충족한 정도를 효과성의 지표로 삼았다. 한편 정서조절은 전략 자체의 적응성도 중요하지만, 맥락에 따라 유연하게 전략을 사용하는 것 또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적극적으로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회피와 같은 소극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에서 유연성은 정서조절전략의 다양성 측면에서, 적극성은 회피전략의 사용 여부의 측면에서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전략 사용의 유연성과 적극성, 그리고 기대 정서 충족도 간의 관계를 정서적 자기 효능감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S대학교 게시판을 비롯한 인터넷 상에서 모집한 20, 30대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하루 두 번, 3일에 걸쳐 오전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정서조절 전략과 기대하는 정서를, 오후에는 실제로 사용한 전략과 경험한 정서를 측정하는 설문을 온라인상에서 실시하였다. 이때 유연한 정서조절전략 사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전략 집단, 혼합전략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전략 사용의 적극성의 측면에서 정서조절전략 사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상황선택-회피가 포함되지 않은 적극적 전략 집단과 상황선택-회피가 포함된 소극적 전략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서조절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산출한 기대 정서 충족도는 상황을 경험하고 난 이후의 정서 점수에서 상황 이전에 기대했던 정서 점수를 뺀 값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서조절 유연성을 고려하여 한 가지 전략만 사용하는 단일전략 집단과 다양한 전략을 사용한 혼합전략 집단을 살펴보았을 때, 혼합전략 집단이 기대한 정서에 근접하게 정서를 경험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달리, 단일전략 집단이 기대치에 가깝게 정서를 경험하였다. 이때 집단 간 기대 정서 충족도에서 정서적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적극적 전략과 소극적 집단 간 기대 정서 충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적극적 전략 집단은 소극적 전략 집단에 비해 기대 정서 충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기대 정서 충족도의 차이를 정서적 자기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즉 소극적 전략 집단에 비해 적극적 전략 집단에서 정서적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기대한 정서변화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상황초점전략 사용의 유연성과 적극성에 따른 기대 정서 충족도와 정서적 자기 효능감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flexible and active use of the situation-focused strategy on the satisfaction of the expected emotions was examined. Situation-focused strategy, one of ac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refers to the strategy to regulate emotions by changing the situation before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re activated. The situation-focused strategy includes situational selection, which determines whether to approach the emotion-triggering situation and situational modification, which changes the situation so that the desired emotions can be felt in the facing situation. In addition, in this stud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emotion regulation, the satisfaction of the expected emotion score was examined. Considering emotion regulation i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pursuing and achieving a goal, the degree to which the individual satisfies the desired emotion was used as an index of effectiveness of emotion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in emotion regulation, the adaptability of the strategy itself is important, but it is also known to be effective to use the strategy flexibly according to the context. It is also reported that using an active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a passive strategy such as avoidanc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lexibility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effects of activeness were examined in terms of whether or not avoidance strategies were used. Furthermore, we tried to check whether emotional self-efficacy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and activeness of strategy us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xpected emotions. For this purpose, 80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recruited on the Internet including the bulletin board of S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twice a day for 3 days. In the morning,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o be used and the expected emotion were measured, and in the afternoon, the strategy used and the emotion experienced were measured. At this time,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flexibility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a single strategy group and a mixed strategy group. In addition,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e activeness of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alysis was conducted by classifying participants into an active strategy group that did not include situational selection-avoidance and a passive strategy group that included situational selection-avoidance. As an index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emotion regulation, the satisfaction of expected emotion was derived by subtracting the expected emotional score from the emotional score after experiencing the situation. As a result, first, considering the flexibility of emotion regulation, a single strategy group and a mixed strategy group were examined.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at the mixed strategy group experienced emotions close to the expected emotions, the single strategy group experienced emotions close to the expected emotions. At this time,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expected emotion between group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expectations between the active and the passive strategy group.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active strategy group had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expectations than the passive strategy group. Also, the emotional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regulated for the difference in expected emotional satisfaction between group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self-efficacy in the active strategy group compared to the passive strategy group, the more positive the expected emotional change wa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fter discussing the role of expected emotional satisfaction and emotion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flexibility and activeness of using situational focus strategie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