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이야기 주제어 학습 : 언어 유형별 생략 현상의 대조와 응집성

The Learning of a Topic in the Spoken Korean Narratives by Chinese-and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llipsis in Typologically Contrastive Languages and Coherenc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inese- and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uld ellipt a topic and maintain coherence of a narrative text accordingly. It is generally assumed in the literature (Li & Thompson, 1976) that Chinese and English are typologically different in terms of prominence of a topic vs. a subject. It has also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at a topic is ellipted in a topic-prominent language in referring to old information, unlike in subject-oriented languages which typically disallow a null component in a senten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it would be a typological difference or a topic-comment universality that would be associated with the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if linguistic typology were to have an impact on second language learning, Chinese- and Korean-speaking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uld learn to drop a topic earlier than English-speaking learners. The Chinese-speaking participants have already learned Chinese as the first language in which topics drop for similar pragmatic motivations to Korean, as noted above, and it was thought that this typological similarities might be relate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a total of 36 subjects in their twenties in Seoul, Korea, including two experimental group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s a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oken narratives were collected in a task of describing “The Pear Story(Chafe, 1976)”. It was found that Chinese and Korean native speakers used ellipsis more frequently than English native speakers,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Chinese native speakers 47.24%, Korean native speakers 47.48%, English native speakers 33.59%). Based on the main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ypology-specific first language properties are likely to play a rol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more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제2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어권 학습자와 영어권 학습자들이 어떻게 주제어를 생략하면서 담화 상에서 응집성을 유지하는지 조사해 보았다. Li & Thompson(1976)에 따르면 중국어와 영어는 주제어의 현저성에 있어서 유형적으로 다른 언어로 분류된다. 주제어 중심 언어에서는 구정보가 재언급될 때 생략이 가능한 반면에 주어가 현저하게 드러나는 주어 중심 언어에서는 주제어의 생략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외국어 습득 과정에서 주제어 생략을 주제어-평언이라는 보편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아니면 언어 유형적인 차이로 설명할 수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언어 유형이 제2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에 따르면 중국어권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학습자가 영어권 학습자에 비해 주제어를 생략을 더 일찍 습득할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는 이미 모국어에서 한국어와 비슷한 담화적인 동기를 가지고 주제어를 생략하는 것을 습득했으므로 이러한 언어 유형적인 유사성이 한국어의 주제어 습득 시에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모국어 전이 가설의 영향을 확인해 보기 위해서 서울에 거주하는 21-25세 36명의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한국어를 배우는 영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를 실험군으로 하여 실험 참가자들이 “배 이야기” (Chafe, 1975) 영상을 보고 발화한 구어 담화 자료를 수집한 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영어권 학습자에 비해서 더 자주 주제어를 생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생략 비율은 중국어권 학습자 47.24%, 한국어 모어 화자 47.48%, 영어권 학습자 33.59%로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컸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볼 때 모국어의 유형적인 특성이 제2 외국어를 습득할 때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