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영어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효과 연구 : 읽기와 쓰기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lementary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Focused on Reading and Writing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영어 문자 언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읽기·쓰기 성취도 및 영어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토대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언어 교육 분야에서 음성 언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문자 언어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를 제공하고 나아가 원격교육 형태로 진행되는 초등 공교육 상황에서 선택 가능한 모바일 콘텐츠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ADDIE 모형에 기초하여 Axure로 프로토타입 개발 후 Unity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연구는 경기도 소재 H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학생들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사전·사후 문자 언어 능력 검사 및 영어 흥미 검사를 포함하여 6차시 분량의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다각도에서 관찰하기 위해 학생 면담 및 교사 일지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학생들의 영어 문자 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학생들의 영어 학습 흥미 향상에 영향를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언어 학습 자체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있었으나, 학습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조작상의 불편이 있었고, 하위 수준의 학생인 경우 상대적으로 큰 부담감을 느낄 수 있었음이 관찰되었다. 셋째,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수업 중 소리내어 읽기, 예상하기, 번역하기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학생 면담 및 교사 일지 분석 결과 이 전략들은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새로이 개발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였다. 읽기․쓰기 통합 지도를 위한 매개체로 인쇄 매체를 활용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원격수업 상황에서도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현장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존 영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과 구성 형태, 대상 사용자 측면에서 차별화를 두었다. 초등 5․6학년 성취기준과 연계하여 내용을 설계함으로써 초등학교의 정규 수업 시간에도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언어 교육과 초등영어교육 분야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제안한다. 첫째,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비용 대비 기술적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언어 교육이 초등 교과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다각도에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많은 주제에 관련된 콘텐츠를 개발 및 현장에서 활용하여야 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lication for learning English written languages for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valuate it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es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mobile learning by demonstrating how the contents of textual language learning mobile applications can be developed.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using the ADDIE model, Unity, and Axu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6 fifth-grade students attending H Elementary School in Kyungki-Do. Classes using the application were carried out for six-hours. Pre- and post-tests for measuring literal language proficiency and English interest were carried out during the classes as well.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Student interviews and the teacher's journal were analyzed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study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shows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nglish written language skills. Second, the applic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Students' interviews revealed that learners were interested in language learning itself using mobile devices, but the errors occurring in the application when learning prevented them from being motivated. Third, the teacher who led the classes used various strategies such as reading aloud, predicting, and translating. Student interviews and teacher's journal analysis show that these strategies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the reasons as follows. First, we newly developed and applied content available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identified its effectiveness. Unlike previous studies using print media as a medium for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in this study, a content that can be used in remote class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es to confirm that it is applicable on-site. Second, we differentiate from existing English learning applications in terms of compositional forms and target users. By designing the cont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content can be utilized during the regular class hours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ALL(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and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irst, we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minimize technical problems compared to cost when developing applica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educational effects of MALL from various angles by identifying its impact on elementary curriculum competencies. Third, content related to more topics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field based on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