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화 재매개를 통한 춤연극의 영상미학적 고찰 : 3D 다큐멘터리 영화 <Pina>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sual Aesthetic of Tanztheater through the Remediation of Movies : Focusing on the 3D documentary film <Pina>

초록/요약

본 논문은 공연 예술인 피나 바우쉬(Pina Bausch)의 춤연극(Tanztheater)이 영화로 재매개(Remediation)되는 장르 간 교차와 개입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창출되는 춤연극 영상의 미학을 논의한 연구이다. 재매개란 사물과 사물 사이 또는 사물과 인간 사이의 경계에서, 상호 간 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물리적 매개체로서 한 매체가 다른 매체를 통해 다시 거듭나는 논리이다. 즉 본 논문은 춤연극 연출가인 피나 바우쉬의 작품 중 <봄의 제전>, <카페 뮐러>, <콘탁트호프>, <보름달>을 3D 다큐멘터리 영화로 재매개한 빔 벤더스 감독의 <Pina>를 통해 춤연극의 원형이 영화로 재매개되는 과정에서 창출되는 영상미학을 재매개 논리로 고찰한 연구이다. 공연예술인 춤연극은 무대 위 공연자의 몸을 매개로 관람자에게 그 감각을 전이시킨다. 그런데 공연예술은 공연의 순간이 지나면 다시 재현될 수 없는 일회성을 지니므로 관람자의 감각과 경험을 기록하거나 묶어둘 수 없다. 이에 공연은 실황영상을 통해 공연 현장을 기록 한다. 대체로 공연실황영상은 무대 위 공연의 러닝타임을 롱 샷(Long shot)과 풀 샷(Full shot)의 앵글을 통해, 공연이 수행되는 무대 전체를 기록한다는 목적으로 찍힌다. 하지만 공연은 기록의 형태를 넘어서서, 향유(享有)되어야 하는 예술 작품이므로 미장센과 몽타주를 통한 재매개 방식을 통해 미학적으로 담겨야 한다. 더불어 공연의 전통적 특성인 현장감을 통해 감각되는 현존(現存)과 현전(現前)의 경험 역시 영상을 통해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영상화된 공연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국면하며 그 필요성이 급부상하였다. 대면성을 본질로 해오던 공연예술에 비대면 문화경험이 강제적으로 요구된 것이다. 이에 전 세계 국립 공연장과 국립 예술단체 등은 선도적으로 공연의 영상화 작업을 실행하였다. 공연의 영상화는 이미 예전부터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펜데믹으로 가속화된 공연계의 새로운 도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공연과 영상의 만남, 즉 영상으로 재매개된 공연예술의 존재방식에 주목하려는 주요한 이유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경험하는 공연 형태의 구현’이라는 예술적 과제를 영화 재매개를 통해 모색하려는 시도로부터 발생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예술 장르 간 교차와 개입에 의해 창출되는 미학을 재매개 논리로 고찰하여 결론에 이른다. <연구문제 1> 피나 바우쉬의 춤연극 공연은 3D 다큐멘터리영화 <Pina>를 통해서 어떻게 재매개 되는가? <연구문제 2> 피나 바우쉬의 춤연극 공연이 3D 다큐멘터리영화 <Pina>로 재매개될 때 나타나는 미학적 변화와 성취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첫째, <연구문제 1>을 위해 피나 바우쉬의 춤연극 미학의 고찰 및 춤연극이 영화에 재매개되는 영상도구인 미장센과 몽타주에 대한 선이해 과정을 고찰한다. 둘째, <연구문제 2>를 위해 <Pina>의 재매개 내러티브와 재매개 영상구조를 분석한다. 재매개 내러티브는 통합체의 분석을 통해, 영상구조는 계열체의 분석을 통해 춤연극이 영화 재매개 되는 교차와 개입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재매개의 논리와 방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미학과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분석틀에 의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4편(<봄의 제전>, <카페 뮐러>, <콘탁트호프>, <보름달>)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의 신체성은 대사와 신체의 표현이 동시에 표현될 때 그 전달력은 극대화된다. 4편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 작품의 내러티브는 에피소드와 에피소드 사이의 액션이 연속적인 흐름을 보이지 않는다. 4편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 작품의 시청각 이미지는 흙, 물, 자연, 빨간 드레스, 탁자와 의자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이 4편에 해당하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의 신체성, 시청각 이미지는 <Pina>에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만, 전체 내러티브 구성은 다르다. 둘째, <Pina>에서는 피나 바우쉬 춤연극 작품으로 분류된 시퀀스인 ‘봄의 제전 시퀀스’, ‘카페 뮐러 시퀀스’, ‘콘탁트호프 시퀀스’, ‘보름달 시퀀스’를 해체한 후, 재조립된 재매개 시퀀스인 ‘춤연극 무대와 신체성(하이라이트) 재매개 시퀀스’, ‘피나 바우쉬 자료 재매개 시퀀스’, ‘공간 삽입 재매개 시퀀스’, ‘인터뷰 재매개 시퀀스’가 형성되는 씬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셋째, <Pina>의 카메라는 화면잡기 방식을 사용하여 공연자의 춤연극 행위와 표정을 미학적으로 잡아냈으며, 3D 기술은 관람자로 하여금 원격의 현전감을 통해 춤연극을 경험시켰다. 넷째, <Pina>의 재매개는 비매개와 하이퍼매개가 고루 혼용하여 작동했다. 구체적으로 ‘재현’, ‘흡수’, ‘확장’, ‘개조’의 방식으로 각 씬에 나타났다. 다섯째, <Pina>의 내러티브를 관통하는 동일한 시청각 이미지의 노출을 통해 주제인 ‘생명의 순환’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Pina>로 재매개된 춤연극은 관람자들이 공연 무대에서 감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차원의 미적 경험, 즉 다양한 시점의 카메라 앵글, 공연자의 신체성과 시청각 이미지가 관람자의 감각으로 현전되는 기술적 요소 등의 미적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Pina>는 공연실황영상과는 차별화된 춤연극이 지닌 독특한 미학을 영상의 미학으로 경험시켜주는 춤연극의 새로운 장르적 사례로서 존재한다. 이상 <Pina>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술적 재매개 미학’, ‘조작적 재매개 미학’, ‘철학적 재매개 미학’의 재매개 미학의 3요소를 재매개에 필요한 미학으로서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춤연극과 같은 공연예술의 영상 재매개는 재창조․재현전․재목적화의 가능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영화 재매개를 통한 춤연극 <Pina>를 새로운 예술적 경험으로 고찰했다. 공연의 영상화를 위한 재매개 미학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공연예술의 새로운 존재방식을 성찰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aesthetics created through the intersection and intervention between art genres by analyzing how the performance art Pina Bausch's Tanztheater is remediated into a film. Remediation is a physical medium created for mutual communication at the boundary between an object and an object or between an object and human, and one medium is reborn through another medium. In other words, this paper remediated the work that mediated the life and philosophy of Pina Bausch, the director of the Tanztheater, as a video. And the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image perceived by audiences as visual aesthetic, focusing on the director Wim Wenders 3D documentary film <Pina>, and examined the aesthetic created by cross-genres and interventions as remediation logic. The Tanztheater of performing artist transfers the sense to the audiences through the body of performer on the stage. However, performing arts have a one-time nature that can not be reproduced again after the moment of performance, so the audiences’ senses and experiences can not be recorded or maintained both. Hence, performances are also recorded through live performance video. The live performance video records most of the stage running time with a bit monotonous camera angle of longshot and fullshot, and is faithful to the concept of recording the final result of performance. Furthermore, the specialized dance images and the theater videos such as NT live pursued aesthetics that outgrew from monotonous camera angles. However, the corporeality of performers and the presence of audiences from the existing performance art, which is a traditional characteristic of the performing arts, were left as a task.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recording through these videos has emerged rapidly due to the Corona 19 pandemic. The non-face-to-face cultural experience was compulsorily required for performing arts that have been face-to-face as the essence. Therefore, the national performance halls and national art organizations took the lead in performing visualized performances. These performances have been visualized for a long time ago, but it is a new leap forward in the performance industry accelerated by the global pendemic. However, the main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performance and video in this paper, that is, the way of the performance art remediated as video is the fundamental discussion that started from the meaningful reason to seek the artistic task of 'implementing the performance form experienced through a new way. Therefore, this paper concludes by setting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examining the aesthetics created by the intersection and intervention between art genres with remediation logic.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when Pina Bausch's Tanztheater performance is remediated for aesthetic purposes rather than records. Second, how is Pina Bausch's Tanztheater performance remediated through the 3D documentary film <Pina>. Third, what is the change that has appeared since the performance of Pina Bausch's dance theater performance was remediated into the 3D documentary film <Pina> and what is its aesthetic achievement. In order to solve these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of Pina Bausch's Tanztheater and the theory of mise-en-scène and montage, which are the imaging tools that remediate Tanztheater in movies. Second, <Pina> is divided into narrative and image structure, and the narrative is analyzed by macrostructure, integration, and image structure is analyzed by microstructure. Third, through the examination that gradually results in research questions 1 and 2, the aesthetic elements and the effects and possibilities of remediation in the process of remediating the Tanztheater are comprehensively presented. The comprehensive results presented by this analysis frame are as follows. First, the corporeality of Pina Bausch Tanztheater corresponding to four episodes <Le Sacre du Printemps>, <Cafe Muller>, <Kontakthof>, <Full Moon> maximizes the delivery power when the expression of the dialogue and the body is expressed at the same time. The narrative of the Pina Bausch Tanztheater, which corresponds to the four episodes, does not show a continuous flow of action between episodes and episodes. The audio-visual images of the four Pina Bausch Tanztheater works are shown in soil, water, nature, red dress, table and chair. As such, the corporeality and audio-visual images of the Pina Bausch Tanztheater, which correspond to the four episodes, are also significant in <Pina>, but the overall narrative composition is different. Second, in <Pina>, after disassembling the classified sequence as the Pina Bausch Tanztheater work, The reassembled remediation sequence was able to create the scenes. Third, the camera of <Pina> aesthetically captured the performers' Tanztheater and facial expressions using a screen-grabbing method, and the 3D technology allowed audiences to experience the Tanztheater through the sense of remote presence. Fourth, the remediation of <Pina> worked by mixing non-mediation and hyper-mediation evenly. Specifically, each scene appeared in the way of 'representation', 'absorption', 'extension', and 'renovation'. Fifth, the theme “Circle of Life” was derived through the audio-visual images penetrating the narrative of <Pina>. Therefore, the remediated Tanztheater mediated as <Pina> can provide a new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that audiences could not sense on the performance stage. In other words, the Tanztheater provides aesthetic experiences such as camera angles from various viewpoints, the corporeality of performers, and technical elements in which audio-visual images are displayed in the audiences' senses. Therefore, <Pina> exists as an example of a new art genre of Tanztheater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the unique aesthetics of Tanztheater differentiated from live performance video through the aesthetics of video. Three elements of remediation aesthetics such as “technical remediation aesthetics”, “operational remediation aesthetics”, and “philosophical remediation aesthetics” were able to be derived as aesthetics necessary for remedi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f <Pina> above. In addition, the remediation of performing arts such as Tanztheater has the possibility of re-creation, re-presentation, and re-purposing. This study considered the Tanztheater <Pina> through film remediation as a new artistic experience.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 remediation aesthetic to study the imaging of performances, and through this, to reflect on a new way of existence of technical and aesthetic performing ar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