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La Perméabilité entre littérature et Histoire : le chapitre 154 de l’Essai sur les mœurs de Voltaire

문학과 역사 간의 상호침투성: 볼테르의 『풍속론』 154장

초록/요약

Représentent l’esprit des Lumières, Voltaire est l’un des écrivains les plus lus jusqu’à nos jours. Mais l’étude sur ses œuvres historiques a commencé assez tardivement, probablement à cause du paradoxe intrinsèque de sa pensée historique. Dans ses textes, Voltaire s’oppose aux historiens de son temps qui racontent les fables incroyables, et il envisage d’écrire une nouvelle Histoire qui est convenable au niveau des lecteurs modernes. Pourtant, il est toujours contestable si ce projet est vraiment réalisé chez Voltaire, parce que ses ouvrages montrent un aspect littéraire indéniable. Dans cette problématique, nous réfléchissons dans ce mémoire sur la raison pour laquelle l’Histoire de Voltaire devient inséparable de la littérature, à travers l’analyse du chapitre 154 de l’Essai sur les mœurs qui raconte l’histoire des « réductions » au Paraguay. La lecture des textes qui parlent de ce pays nous fait voir l’émergence d’un nouveau point de vue historique au XVIIIe siècle. Depuis le début du siècle, les gens de lettres européens considèrent le Paraguay comme une utopie réalisée, et les penseurs des Lumières tentent d’analyser son système politique pour savoir si la théocratie est le régime parfait ou le despotisme sans liberté. Pour Voltaire, le Paraguay est un cas qui prouvent la nécessité d’interdire la participation politique des ecclésiastiques. Les Philosophes trouvent ainsi la valeur de l’Histoire dans sa fonction instructive : elle a pour objectif de trouver le moyen de vivre de façon plus heureuse, et de le transmettre aux lecteurs. Quelle est donc la stratégie de Voltaire pour accomplir ce but de l’Histoire ? À travers la comparaison avec Candide, dont le chapitre 14 traite le même sujet, nous trouvons d’abord la différenciation du ton chez l’auteur dans le genre de fiction et dans l’Histoire. Dans l’Essai sur les mœurs, Voltaire ne s’appuie plus sur la satire, et il compare les missionnaires jésuites aux quakers en Pennsylvanie pour prouver logiquement l’impossibilité de la théocratie. Mais il manipule souvent les faits particuliers pour renforcer ses arguments, et par conséquent son Histoire ne se distingue pas clairement de la fiction. Pour mieux comprendre ce paradoxe, nous faisons une supposition selon laquelle ce que Voltaire vise est une Histoire vraisemblable, plutôt qu’une Histoire vraie. Puisqu’il cherche la valeur de l’Histoire dans l’utilité aux lecteurs, son Histoire comporte la dimension morale et persuasive comme d’autres genres littéraires, et elle prend une forme vraisemblable pour convaincre les lecteurs. Ce point de vue distingue Voltaire de ses contemporains : plusieurs penseurs du XVIIIe siècle séparent l’ordre logique de la vraisemblance d’avec le fatras des faits historiques, mais notre historien pense qu’il faut établir un ordre cohérent aussi dans l’Histoire. De cette raison, quand il voit les faits qui semblent échapper à l’ordre, Voltaire choisit de privilégier la vraisemblance sur le vrai. Pour conclure, l’opposition de Voltaire entre la fable et l’Histoire ne signifie pas la séparation totale entre les deux genres ; ce qu’il souligne est la nécessité d’écrire une Histoire dépourvue de toute superstition, et pour cela il s’oppose à l’Histoire de son temps remplie des faits invraisemblables comme les miracles. Par ailleurs, il pense que la vraie Histoire doit permettre de trouver les principes de la nature dans la diversité des faits particuliers. C’est pourquoi l’Histoire de Voltaire montre un aspect littéraire en suivant les normes de la vraisemblance, afin qu’on puisse y retrouver le grand mouvement du progrès humain.

more

초록/요약

볼테르는 프랑스 계몽주의 정신을 대표하는 인물로 오늘날까지도 활발히 연구되는 작가이지만, 그의 역사저작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뒤늦게 시작되었다. 우리는 그 이유를 볼테르 역사의 모순성에서 찾을 수 있다. 볼테르는 기존의 미신적 역사를 타파하고 근대적 역사서술에 적합한 새로운 이론적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나, 여러 연구자는 그가 실제로는 그러한 이상을 실현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마찬가지로, 볼테르는 백과전서의 「역사」 항목에서 역사를 우화의 대칭점에 놓지만, 그의 저작들은 문학적 양상을 뚜렷이 보여준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 논문은 파라과이의 예수회 선교 사회를 다룬 볼테르의 『풍속론』154장 「파라과이에 대하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역사가 문학과 불가분할 수밖에 없는 원인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우선 1장 ‘교훈적 역사’에서는 파라과이 선교마을(réductions)을 둘러싼 주변적 담론과 볼테르의 전반적인 입장을 살펴보고, 볼테르를 비롯한 다수의 계몽주의자가 역사 연구의 의의를 사회적 유용성에서 찾았다는 점을 확인한다. 파라과이 선교사(史)는 자신들의 선교 업적을 과시하려 하였던 예수회 신부들에 의해 처음 유럽에 소개되었으나, 점차 해당 지역이 유토피아의 실현으로 여겨지면서 세속화된 관점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계몽주의자들 역시, 파라과이를 현실정치 모델의 한 예시로 보고 그를 통해 신정(神政)의 장단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정에 단호하게 반대한 볼테르의 경우, 파라과이는 정교분리의 필요성을 증명하는 사례 중 하나였다. 2장 ‘설득하는 역사’에서는 볼테르가 이러한 파라과이의 교훈을 독자에게 설득하기 위해 154장에서 취한 글쓰기 전략을 살펴본다. 같은 주제를 다룬 철학 콩트 『캉디드』와의 비교는 콩트와 역사의 서술방식 간에 명백한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역사서에서 볼테르는 콩트에서보다 훨씬 온건한 태도를 보이며 과장과 풍자를 지양하는 한편, 신정의 불가능성을 논리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유사한 상황에 있었던 펜실베이니아의 퀘이커 교도들과 예수회원들을 대비시킨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볼테르는 종종 자신의 논리를 강화하기 위해 역사적인 개별사실들을 왜곡하며, 따라서 그의 역사서술은 여전히 허구성 성격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3장 ‘사실임직한 역사’에서는 볼테르의 역사가 교훈 전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독자의 설득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고, 이를 위해 사실적이기보다는 사실임직하기를 추구하였음을 밝힌다. 볼테르에게 역사적 진리란 극도의 가능성에 지나지않기에, 역사가는 이성을 통하여 여러 사실 중 상대적으로 있을 법한 사실을 판별해야 한다. 또한 볼테르는 역사의 표현양식에서도 사실임직함의 기준을 요청하면서, 진정한 역사가는 시인과 마찬가지로 사실들을 선별하고 재배치하여 독자를 몰입시킬 수 있는 형태의 역사를 서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는 볼테르 역사관의 특수성을 드러낸다. 동시대인들이 이성으로 파악되는 사실임직함의 질서와 파편적 사실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역사의 질서가 별개라고 본 것과 달리, 그는 설령 두 질서가 불일치하더라도, 인간본성을 파악하게 해주는 역사서술에 도달하기 위하여는 지리멸렬한 사실보다 이 사실들의 재구성을 통해 얻어지는 보편성을 우선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우리는 볼테르가 역사는 우화의 반대라고 말했을 때, 이는 역사에서 기적 등의 비현실적 사건들을 몰아내기 위한 것이지, 문학과 역사의 완전한 결별을 요청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오히려 그가 꿈꾼 역사는 진보를 증명하고 설득해야 할 교육적 의무를 가지기에, 그는 역사서술 과정에서 사실 자체가 아닌 문학적 가치인 사실임직함을 기준으로 삼는다. 이로부터 우리는 그가 이성적인 질서와 역사적 실재 사이의 괴리를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흔히 합리주의의 화신으로 여겨지는 볼테르가 이성의 명확한 한계를 인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하는 동시에, 계몽주의자들이 이성을 맹신하였다는 기존의 믿음에 대한 재고의 여지를 열어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