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에 관하여 : 사르트르의 현상학적 상상력 이론과 초월적 경험론으로서의 들뢰즈의 이미지 이론에 관한 비교 연구
On Image : A Comparative Study Concerning Sartre’s Phenomenology of Imagination and Deleuze’s Transcendental Empiricism of Image
- 주제(키워드) 이미지 , 상상력 , 사르트르 , 들뢰즈 , 베르그손 , 후설 , 현상학 , 초월적 경험론 , Image , Imagination , J. P. Sartre , G. Deleuze , H. Bergson , E. Husserl , Phenomenology , Transcendental Empiricis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서동욱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철학과
- UCI I804:11029-00000006618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논문은 이미지(image)와 상상력(imagination)을 주제로 하며, ‘상상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철학에서 이미지와 상상력은 인식론적 가상 및 그러한 가상을 만들어내는 부정적인 능력으로 간주되었다. 이미지는 실재 사물의 모습을 모방한 열등한 모사물로 이해되어왔으며, 그러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상상력은 늘 우리를 착각 및 기만에 빠뜨리는 오류의 원천으로 비판되어왔다. 이미지에 관한 이와 같은 부정적 관념은 특히 데카르트에게서 명확히 드러난다. 그의 『성찰』을 이끌었던 동기는 ‘나에게 주어진 표상이 거짓일지도 모른다’는 불안, 말하자면 ‘어젯밤의 꿈과 오늘의 현실을 분간할 수 있는 어떤 징표도 없다’는 두려움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가상으로서의 이미지 관념은 더 오랜 연원을 가지는데, 우리는 이를 『국가』 제7권의 동굴의 비유(Plato’s cave)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동굴의 비유는 우리가 ‘내가 마주하는 것이 과연 실재인가?’, ‘우리는 한낱 이미지에 현혹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형식으로 표현되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들은 이와 같은 인식론적 가상으로서의 이미지 개념에 대한 어떤 반성도 없이 부정적 선입견을 간직한 채로 이미지와 상상력에 관해 논해왔다. 이와 달리 사르트르(J. P. Sartre)와 들뢰즈(G. Deleuze)는 이미지를 오류의 원천으로 배격했던 전통 철학과 상반되는 견지에서 상상적인 것의 의미를 복원하고자 한다. 이들에게서 이미지는 더 이상 플라톤적 동굴의 벽면에 어른거리는 그림자, 곧 실재를 불충분하게 모방한 모사물이 아니다. 이들은 이미지로부터 기존 철학이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숨겨진 역량을 발견하는데, 사르트르에게서 그것은 의식의 자발적 활동성이며, 들뢰즈에게서 그것은 실재의 본래적인 모습으로서의 끊임없는 운동·변화이다. 양자의 이미지 이론은 공통적으로 정적인 존재(Être)의 관념에 저항하는 가운데 각기 무(néant)와 생성(devenir)이라는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우선 사르트르와 들뢰즈에게서 이미지는 의식과 사물이라는 양 극단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후설(E. Husserl) 현상학에 바탕을 둔 사르트르에게 있어서 이미지란 사물을 모방한 사물이 아니라, 의식의 한 활동 방식인 동시에 의식의 본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 이미지는 무엇인가에 대한 의식이다. 이와 달리 베르그손(H. Bergson)의 이미지 이론을 전유한 들뢰즈에게 ‘이미지는 물질들의 총체이다.’ 이처럼 후설과 베르그손의 유산을 계승하는 이들의 이미지 이론은 표면적으로 의식과 사물이라는 양 극단에 위치한 것처럼 보인다. 사르트르가 베르그손의 이미지 이론을 비판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베르그손은 이미지를 타성적인 사물과 같은 것으로 간주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사르트르에게서 상상적 대상의 본성은 ‘비실재성(irréalité)’이다. 상상적 대상은 의식이 그것을 겨냥하기를 그만두는 순간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린다. 상상적 대상은 타성(inertie)을 가지지 않는다. 그것을 지탱하는 것은 온전히 의식의 자발성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이미지란 지각적 대상과 같은 ‘사물’이 아니라 의식이 대상을 지향하는 하나의 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베르그손에게 이미지는 단지 그 외양에 있어서 정태적인 사물로서 드러나는 것이다. 사물은 부단한 운동·변화의 외관일 뿐이다. 즉 베르그손-들뢰즈에게 이미지는 사물인 동시에 운동이다. 운동-이미지로서의 사물은 사르트르가 의식에 외부적인 것으로 규정한 사물의 개념과 구분되는 것이며, 따라서 베르그손이 이미지를 즉자적인 사물로 강등시킴으로써 이미지-의식의 활동성을 잃어버렸다는 사르트르의 비판은 무력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사르트르와 들뢰즈의 이미지 이론 사이의 긴장은 대자적 의식 대 즉자적 사물이라는 이분법이 아니라, 현실적인 것 대 잠재적인 것이라는 새로운 이분법의 틀 속에서 조망될 수 있다. 이처럼 ‘이미지’란 사르트르와 들뢰즈가 각기 현상학과 베르그손주의로부터 받아들인 핵심을 보여주는 열쇠이다. 사르트르에게서 이미지는 의식의 고유한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상한다는 것은 의식의 자발성의 가장 극적인 표현으로서, 세계와 거리를 두고 세계를 무화하는 부정성의 힘이다. 상상은 의식이 세계 내의 사물과 같이 타성적인 양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알려준다. 상상이란 실재를 거부하는 부정성의 표현이며, 실재로부터 벗어나는 초월의 역량, 곧 자유이다. 이처럼 사르트르에게서 이미지가 비실재로서의 본성을 가지는 의식의 힘이라면, 이와 반대로 들뢰즈에게서 이미지는 실재로서 규정된다. 들뢰즈에게서 이미지들의 총체로서 실재란 현전의 차원에 나타나는 현실적인 것과 그것 배후의 존재론적인 차원의 잠재적인 것을 모두 포괄한다. 상상적인 것이란 바로 이 실재, 잠재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이 식별 불가능한 모습으로 뒤섞여 있는 결정체를 의미한다. 들뢰즈의 이미지 이론은 더 이상 의식 주관에 제한되지 않는 탈중심화된 운동·변화를 그려내 보이며, 우리의 일상적 경험 및 이를 위한 초월적 조건으로 전제된 의식 주관은 이 이미지들로부터 발생하는 효과의 차원에 놓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오래전 들뢰즈가 흄으로부터 발견했던 경험론의 기획, 상상적인 것으로부터의 주체의 탄생을 기술하고자 하는 과제였던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image and imagination. In this paper I want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image?” Traditional philosophy regarded image and imagination as epistemological illusion, and negative capacities making up such illusions. Images have been understood as inferior replicas that imitate real objects. Likewise, imagination, as the capacity to create such images, has often been criticized as a root of error that leads us into confusion and delusions.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image and imagination from preconceived negative notions of the concept of image as an epistemological illusion. Sartre and Deleuze, however, try to restore the meaning of the imaginary from a contrary standpoint to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at regarded the image as a source of error. For them, the image is no longer a shadow flickering on the walls of a Platonic cave, something that is merely an insufficient imitation of reality. They reveal instead a hidden dynamic feature from the image that traditional philosophy has never discovered. In Sartre, it is the spontaneous activity of consciousness, and in Deleuze, it is the constant movement and change of reality as its original form. Both theories of imagination mov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 to the notion of nothingness(néant) and becoming(devenir), while resisting the notion of a static absolute Being(Être) in common. As such, “image” is the key to demonstrating the essence that Sartre and Deleuze received from phenomenology and Bergsonism. For Sartre, the concept of image reveals the intrinsic capacity of consciousness. To imagine is the most dramatic expression of the spontaneity of consciousness; it means the power of negativity that distances itself from the world and annihilates it. Imagination tells us most directly that consciousness does not exist in an inertial fashion, like things in the world. Imagination is an expression of negativity that rejects reality, and it is the ability to transcend reality—in other words, freedom. In this way, for Sartre, the image is defined as a force of consciousness that has the nature of non-reality, whereas for Deleuze, the image is defined as the real. For Deleuze, the real, as the totality of images, encompasses both the actual that appears in the present dimension and the virtual which is the ontological dimension behind it. The imaginary means this very reality, a crystal in which the actual and the virtual are intermingled in an indistinguishable form. Deleuze's image theory depicts a decentralized movement and change that is no longer limited to the subjectivity of consciousness; as a result,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transcendent condition for our ordinary experiences, is newly defined as the effect that arises from these images. This was the task Deleuze had discovered from Hume—that is, the project of “transcendantal empiricism” which describe the birth of the subject from the imagina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