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bout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현장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며 문제점 도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교육 과정 자체에 대한 인식’, ‘교육과정 실태 및 현장 적용에 대한 인식’,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인식’ 세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을 고찰한 결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개정된 내용들을 숙지하는 등 개정 전 교육과정과의 차이를 인지하고 있었다. 이에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했을 때 변화된 교육과정이라 느끼고 있으며 특히 핵심역량을 도입한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한 전인교육을 위한 통합적인 교육과정,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있어 적절한 교과라고 인지하고 있다. 반면, 변화된 교육과정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체감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의견보다는 사회적인 요구 반영이 주축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스포츠 클러스터를 활용하여 정과 수업과 정과외 수업을 연계시키는 수업, 체육 수업 안에서의 인문적 활동과 간접체험 등 전체적으로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반영해 수업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을 통한 수업에서 심동, 인지, 정의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만큼 교사들도 세 영역을 골고루 다루려는 노력을 하였다. 동시에 교사들의 의견에 의하면 문서 내용 그대로 교육과정을 실제 수업에서 풀어내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우선, 새롭게 생성된 안전 영역 수업에 대한 부담감을 느낀다. 또한 다양한 수업을 구상하는데 있어 동료교사와의 의견수렴이 어렵고,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교육과정의 많은 부분이 수업에 활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향후 개정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에서는 현장의 요구를 더욱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을 혼란 없이 수행하기 위해서 인문수업 등 간접체험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가이드라인을 요구하고 더욱 세밀하게 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모든 의견을 종합해보면 교육과정 개정 시 사회적인 요구보다는 현장 교사들의 요구가 더욱 반영되어야 교육과정을 보다 정확하게 이행할 수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urthermore, it is to find out how it is applied to the actual field of a school and explore possible drawbacks and suggest solutions for improvement. The study demonstrates the results that teachers are aware of the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and further aware of the revised contents generally. Moreover, participants especially took a positive stance on introducing core competencies. It is also recognized that it is an appropriate curriculum for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and integrated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opinion that documented curriculum could not completely realized in actual fiel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revising the curriculum was mainly based on social needs rather than opinions from the field. Next, teachers generally try to reflect the curriculum, such as classes linking regular and extracurricular classes using local sports clusters, and humanistic activities and indirect experienc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t the same time, teachers claim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curriculum in real classes as the document states, since majority of teachers feel pressured by the newly created safety contents included in core competencies. Thus, it is hard to gather opinions from fellow teachers for planning classes and consider students' interests. Lastly, research participants argued that future curriculum improvements should reflect on site needs. They also requested specific guidelines for teachers’classes and training. Therefore, it seems that the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more accurately when the demands of teachers engaged in actual field are reflected more than social demands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