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종목 선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경쟁상태 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기계체조 선수들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on Performance of individual athletes: Focusing on Gymnasts
- 주제(키워드) 기계체조 , 심리적안녕감 , 경쟁상태 불안 , 경기력 , gymnastics , psychological well-being , anxiety about competition , athletic abil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수미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UCI I804:11029-00000006617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기계체조 선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경쟁상태 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되어있는 기계체조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고등학생 100명, 대학교와 실업팀 10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설문지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묻는 배경 변인과 독립변인은 심리적 안녕감, 경쟁상태 불안을, 종속 변인은 경기력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SPSS Window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가설에 따라 독립표본 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 사후검증, 상관관계 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기계체조 선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경쟁상태 불안, 경기력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경쟁상태 불안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상태 불안(p<.001)과 상태 자신감(p<.01)과 경기력(p<.01)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기계체조 선수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목적(p<.01)과 개인적 성장(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5년 이상. 10-15년 미만, 5-10년 미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쟁상태 불안의 하위요인과 경기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팀 유형에 따른 기계체조 선수의 심리적 안녕감 영역에서는 하위요인 중 삶의 목적(p<.01)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업팀, 고등학교, 대학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성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쟁상태 불안과 경기력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계체조 선수의 심리적 안녕감은 경쟁상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목적은 경쟁상태 불안의 하위요인인 상태 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인지적 상태 불안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인 개인적 성장도 경쟁상태 불안의 하위요인인 상태 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인지적 상태 불안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기계체조 선수의 심리적 안녕감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삶의 목적은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개인적 성장도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기계체조 선수의 경쟁상태 불안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 불안의 하위요인인 상태 자신감은 경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인지적 상태 불안은 경기력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계체조 선수들의 긍정적인 경기력을 위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경쟁상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ymnasts and the effect of anxiety on athletic performance. The population of this research is gymnasts who are registered in The Korea Gymnastics Association, and 100 high school students and 100 college and business teams are set as subjects of research. When implementing the survey, for the background and independent variabl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mpetitive anxiety were used, and athletic performance was used as dependent variable. The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with SPSS Window 23.0. Based on research hypothesis, the conclusion is deriv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hoc,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xiety about competition, and performance. In perspective of gender, although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cognitive anxiety(p<.001), state confidence(p<.01) and athletic ability(p<.01), psychological well-being fig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thletic experience,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gymnasts, purpose of life(p<.01) and personal development(p<.05)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order of more than 15 years, less than 10-15 years, less than 5-10 years and less than 5 years. It display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factors of anxiety of competitive state and perform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ymnasts depends on the type of team they belong to,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objectives(p<.01), followed by business teams, universities, and high schools. There were mere differences in personal growth, competitive anxiety and performance. Seco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ymnasts affects the anxiety of competition. The research shows that the purpose of life, which is the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ositive impact on state confidence, which is the sub-factor of anxiety of competitive state, but a negative impact on cognitive anxiety(p<.001). Personal growth, which is a sub-factor in psychological well-being, has positive impact on state confidence, and negative impact on cognitive anxiety(p<.001). Thir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ymnasts affects athletic 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 purpose of life,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ositive impact on athletic ability(p<.001), and personal growth has a positive impact on athletic ability(p<.001). Fourth, anxiety of gymnasts of their competitive status has an effect on their performance. The state confidence, which is the sub-factor of state of competitive anxiety has a positive (+) effect on competitive performance(p<.001), and cognitive anxiety has a negative (-) effect on competitive performance(p<.001). Based on these results, a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gymnasts and ease the anxiety of competi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