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강의에서 자막이 학습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선 추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aptions on learning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 Focused on the eye tracking methodology
- 주제(키워드) 시선분석 , 자막 , 학습이해도 , 온라인강의 , 영상요소 , Gaze analysis , Captions , Learning comprehension , Online lectures , Video element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현대원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영상대학원 영상예술
- UCI I804:11029-00000006617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초기 무성영화에서 시작된 자막은 영상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위치와 표시 방법이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고정된 장소에서의 영상 시청이 움직이는 영상 시청으로 바뀌면서 영상 콘텐츠 제작자들은 시청자 시선을 잡기 위한 다양한 부가 콘텐츠 연출을 시도하고 있으며, 그 중 영상 자막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소리와 음으로 이루어진 문자를 의사소통 매체로 삼은 우리사회는 문화 담론에서 이제 영상을 빼놓고 이야기 할 수 없다. 새로운 영상 요소로써 자막 변화는 각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가 영상을 보면서 무엇에 집중하는지가 연구자의 화두(話頭)였다. 영상과 온라인 강의는 큰 범위에서 동일한 이미지 형식을 지니고 있어 영상에서 시청자 주목도가 검증된다면, 온라인 강의에서 학생 주목도와 이해력을 돕는 학습도구를 검증 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 시청 시 시청자들은 무엇에 집중하는지와 온라인 강의 시 자막 사용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주의 깊게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선행 문헌에서 자막의 근원인 문자에 대한 인식과 미디어 환경 변화, 온라인 교육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를 기반으로 사전 연구를 시행하였다. 사전 연구 목적은 영상에서 시청자가 주목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 확인하는 것으로 사전 실험 결과에서는 자막에 집중하는 시선을 확인하였다. 사전 실험 결과를 확장시켜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2종을 실험을 측정하여 온라인 강의에서 학생들이 자막의 유무에 따라 학습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 실험 1에서 온라인 강의 시청 시 학생의 시선 집중 분야를 실험하기 위하여 A그룹, B그룹으로 나누어 동일한 조건에서 자막 있는 영상과 자막 없는 영상을 시선 추적 실험하였다. A그룹은 가장 전통적인 영상 시청 방법인 영상과 내레이션만 있는 강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B그룹은 영상, 내레이션, 자막을 함께 제공하여 강의 영상에 대한 학생의 집중과 이해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문제 실험 2에서는 제시된 연구 문제를 증명하기 위한 이해도 측정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을 위해 사용한 착용 형 시선 추적기는 1인칭 시점으로 실제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피험자의 자연스러운 시선을 측정할 수 있어 고정 형에 비해 더 정확한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 시선 추적 연구는 인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여러 형태 중에 가장 객관적으로 인간의 욕구를 이해하고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해되어 왔다. 연구 문제 실험 1에 대한 실험 방법인 시선 추적은 시청자의 무의식(無意識)적 의식의 실험이었으며, 연구 문제 실험 2에서는 그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함께 진행하여, 과학적 검증과 이론적 검증의 상호보완적 분석으로 실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영상 측정은 시선추적의 Heat Map과 Scan path의 분석 항목으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한 분석을 사용하였다. 여러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은 학습 이해력에 대한 요인은 온라인 수업에서 중요한 항목이 되는 만큼 결과 분석의 오류를 줄이고자 하였다. 2종의 실험 결과, 자막을 사용한 온라인 강의를 시청한 그룹이 이해도 평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온라인 강의에서 자막이 학습이해도를 돕는 요소로 작용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자기 주도적 학습 성향이 강한 온라인 강의에서 자막이 소리 청취와 더불어 복습 형태로 우리의 뇌에 저장되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상업적인 영상은 빠르게 지나가기에 자막 사용 한계가 있으나, 강의 영상은 시선이 프레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 자막 사용 부담이 적다. 그리고 장애 학생의 학습 편의를 위해서라도 자막은 필수적으로 강의 영상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그동안 영상에서 자막 역할에 대한 평가는 부가 콘텐츠 역할로 연구되고 있기에 자막의 역할이 영상 요소로 바뀌게 됨을 검증하는 것은 새로운 연구 범위를 확장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more초록/요약
Captions, which started in early silent movies, are being used at various locations and in changed display methods with the development of video technology. As video viewing in a fixed place is replaced by video viewing in motion, video content producers are trying to produce various additional content to catch viewers' attention, and among them video caption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our society, which has used letters made up of sounds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talk in cultural discourse without mentioning the video. As a new video element, the change of captions has a special meaning, and the researchers’ topic was what we focus on while watching the video. Since videos and online lectures have the same image format in a large range, it was determined that learning tools that help students with attention and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can be verified if the viewer's attention is verified in the video.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arefully examine what viewers focus on when watching videos and the effect of using captions on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First, recognition of letters that are the source of captions,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online education were reviewed in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m. The purpose of the preliminary study was to find and confirm what the viewers were paying attention to in the video, and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confirmed the gaze focused on the captions. By extending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nd two types of experiment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ptions on students' learning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In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1, in order to test the field of concentration of students' eyes when watching online lectures,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A and B, and eye 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videos with and without captions under the same conditions. Group A used the most traditional video viewing method, a lecture video with only video and narration, and group B was provided with video, narration, and captions to measure students' concentration on and comprehension of the lecture video.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2 conducted a survey as well to measure comprehension to prove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 The wearable gaze tracker used for verification in this study can measure the natural gaze of the subject in real time in the actual environment with a first-person view, enabling more accurate data extraction than the fixed type. Eye tracking research has been understood as the most objective way to understand and measure human needs among various forms of expressing human emotions. Eye tracking, which is an experimental method for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1, was an experiment with the viewer's unconscious consciousness, and in the Research Question Experiment 2,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results an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experiment by complementary analysis of scientific verification and theoretical verification. Video measurement was analyzed by heat map of eye tracking and analysis items of scan path, and analysis using Mann-Whitney U Test was used for the survey. The use of several analysis programs was intended to reduce errors in the analysis of results, as factors for learning comprehension were an important item in online classes. As a result of two types of experiments, the group who watched the online lecture using captions showed high scores in the evaluation item of comprehension, verifying that captions act as a factor to help learning comprehension in online lectures. This proves that captions have the ability to be stored in our brains in the form of reviews along with listening to sounds in online lectures which has a strong tendency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Commercial videos have limitations in the use of captions because they pass quickly, but lecture videos allow eyes to stay for a long time in each frame, which makes using captions less burdensome. And even for the conveni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ptions must be considered in lecture videos. Since the evaluation of the role of captions in video has been studied as an additional content role so far, verifying that the role of captions is changed to a video element can be evaluated as expanding the scope of new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