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평생교육현장의 성인학습상담에 관한 연구 : 평생학습도시 평생교육기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Adult Learning Counseling in Lifelong Education Practice : Focusing 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Lifelong Learning Cities

초록/요약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 개인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평생교육체제의 발전은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공헌을 하고 있다. 1999년 평생교육법이 제정되고 성인학습이 구체화되면서 평생교육은 양적 팽창을 이루어왔다. 특히 지역사회 중심의 평생학습도시 활성화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학습 과정을 조력하는 상담자의 역할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러한 양적 팽창과 더불어 평생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질적 향상도 동시에 추구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성인학습상담이 활성되어야 함에 주목하였다. 이에 평생교육현장에서 성인학습상담의 현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이며, 성인학습상담이 어떠한 기반이 구축되어 있으며, 성인학습상담자의 양성 과정 현황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된 지방정부 평생교육기관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평생학습도시의 평생교육기관에 근무하는 11명의 평생교육사와 성인학습상담자를 대상으로 성인학습상담의 기반과 필요성에 대한 다문항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를 위한 전문적인 상담이 결여되어 있으며 상담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이와 관련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방향이 교육에만 집중될 것이 아니라 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욕구를 파악하는 쪽으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성인학습상담을 프로그램 관련 정보제공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맞는 인력의 양성,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성인학습자의 내면적 준비, 목표의 재설정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평생교육현장에서 성인학습상담을 구체화하기 위해 상담 규정과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상담매뉴얼 등 기반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평생교육기관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상담자를 고용하되, 그 분야의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지역활동가 등을 활용하여 상담에 있어 개방적 사고를 갖추어야 한다. 성인학습상담의 규정과 학습상담 매뉴얼 개발 등 지원과 관련된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에서도 적극적인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셋째, 전문적인 성인학습상담을 위한 성인학습상담자 양성과정이 내실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양성과정 프로그램에서 성인학습상담과 관련된 이론과 실습을 통해 상담에 필요한 과정을 충분히 이수한 인력을 성인학습상담자로 전문적인 자격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전문적인 자격 취득 후 보수교육과 전문가 심화 과정 교육을 통해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이상적인 인력양성체계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도시의 확대와 지역 평생학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생 교육기관이 성인학습상담을 전문화된 영역으로 인식하고, 법령 근거를 실효화하는 정책 제안이 필요하다. 평생교육현장에서 성인학습상담이 제도화되어 사회정책으로 정착할 수 있는 국가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성인학습상담자의 고용이 창출될 수 있는 법과 규정이 마련되어 경쟁력을 키우고 인적·물적 자원과 정보자원을 교류하고 활용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e improved lifelong education system aimed at allowing individuals to adjust themselves to the social changes and realize their potential also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communities in South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1990 and the development of adult learning have led to quantitative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In particular, as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city promotion has increased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diverse types of lifelong education that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the roles of counselors assisting the course of learning began to draw attention. The idea that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made substantial through qualitative improvement as well as through the quantitative expansion spread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need to promote adult learning counseling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lifelong education qualitativel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adult learning counseling in lifelong education practice, the basis for adult learning counseling, and the present course of adult learning counselor training were reviewed. The literature from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of designated lifelong learning cities was reviewed;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11 lifelong education providers and adult learning counselors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lifelong learning cities by using multiple items concerning the basis and need for adult learning counseling. This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 and implications: First, there was a lack of professional counseling for adult learners in addition to poor awareness of counseling. In this context, governmental policies need to focus on the efforts to determine the general needs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 as well as on education itsel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nking with the aim of cultivating manpower to cope with social changes and needs and extending adult learning counseling into the area that can help adult learners make inner preparation and reestablish their goals in preparation for the changes and needs, instead of confining it to program-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counseling regulations and counseling manuals, taking adult learners'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with the objective of embodying adult learning counseling in lifelong education practice. Lifelong education centers need to employ counselors with expertise and utilize community workers with accumulated experiences and knowhow in the area and open-mindedness in counseling. They also need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cooperation with many different stakeholders in relation to adult learning counseling regulations and support for learning counseling manual develop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n adult learning counselor training course substantial in pursuit of professional adult learning counseling. To do thi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a plan for giving adult learning counseling qualification to those completing the full courses required for counseling through theories and practice related to adult learning counseling in the training course program. An ideal manpower cultivation system can be built by running a systematic program so that they can perform their duties as a professional through supplemental education and intensive course training after qualification. Lastly, lifelong education centers need to regard adult learning counseling as a professional discipline and suggest policies for making a legal foundation effective with the aim of extending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promoting local lifelong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mpile a national budget that enables adult learning counseling to be institutionalized and settled as a social policy in lifelong education practic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legislations that enable adult learning counselors to be employed and build a network that makes them more competitive and exchange and use personal, material, and information resour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