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드밀 운동 중 시청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른 심박수, 혈압 및 운동자각도의 차이
Differences in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video watched during treadmill exercise
- 주제(키워드) 트레드밀 운동 , 영상 시청 , 영상 종류 , 심박수 , 혈압 , 운동자각도(RPE) , Treadmill exercise , Video viewing , Video type , Heart rate , Blood pressure ,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수미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UCI I804:11029-00000006616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트레드밀 운동 중 시청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른 심박수, 혈압 및 운동자각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유산소 운동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20대 남성 9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운동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30분 운동으로 설정하였고, 영상 없음, 코미디, 스포츠(축구), 영화(청소년 관람 불가)를 시청하며 총 4회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심박수는 5분 단위로 안정시 심박수부터 회복기 10분 후까지, 혈압은 운동 전 ‧ 후, 그리고 운동자 각도는 운동 중 5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기록은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트레드밀 운동 중 시청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른 심박수의 차이는 운- 80 -동 20분 구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그중 사후검정을 통해 ‘영화’에서 심박수가 유의하게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외의 구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트레드밀 운동 중 시청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른 혈압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5). 셋째, 트레드밀 운동 중 시청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른 운동자각도(RPE)의 차이는 10, 15, 20(p<.01), 25, 30분(p<.001) 구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후검정을 통해 확인한 결과 10~30분 구간 전체에서‘영상 없음 > 코미디 > 스포츠 > 영화’순으로 높은 운동자각도를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를 종합 요약하자면 영화를 시청하며 트레드밀 운동을 하였을 때 20분 구간에서 심박수는 유의한 차이로 높았으나 운동자각도가 대체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트레드밀 운동 중 영화를 시청하는 것이 힘듦을 덜 느끼게 되므로 개인의 기존 역량보다 더 높은 강도로 운동 수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환경 조건이 갖춰져 있다는 전제하에 트레드밀 운동을 수행한다면 영화를 시청하면서 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심박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코미디, 스포츠도 운동자각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운동 시 이와 같은 영상을 시청한다면 일반적인 트레드밀 운동보다 효율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mage viewed during treadmill exercise,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aerobic exercise. To this end, nine adult men in their 20s in Seoul were tested for treadmill exercises. The experiment was set to 30 minutes of exercise, and a total of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out watching the video, watching comedy, sports(soccer), and movies(not allowed for teenagers to watch). At this time, the heart rate was measured in five minutes, 10 minutes after the recovery period, blood pressure was measured in five minutes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th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was measured in five minutes. The data processing was carried out with SPSS Window 23.0. Based on research hypothesis, the conclusion is derived by the independent sample one-way ANOVA and Post-hoC. First, the difference in heart rate depending on the type of video viewed during treadmill exercise was significant in the 20-minute interval(p<.01). Among them, post-tests showed that the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ovi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depending on the type of image viewed during treadmill exercise(p>.05). Third, the difference in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 according to the type of images viewed during the treadmill exercise was significant in the 10, 15, 20(p<.01), 25, 30-minute(p<.001) interval. According to the post-test, th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No Video, Comedy, Sports, and Movies throughout the 10-30-minute perio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0-minute interval, but th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was the lowest. Borg(1970) was developed on a scale of 15(6~20) based on the fact that the heart rate of the rotor angle was approximately 60~200. In other words, an increase in heart rate means an increase in th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Howev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heory was not valid. If the purpose of the study is related, it can be argued that it is difficult to feel the difficulty of watching movies during treadmill exercise, so it can be carried out at a higher intensity than the individual's existing ability. Therefore, if you perform a treadmill exercise on the premise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in place, it is the most efficient way to exercise while watching a movie. Comedy and sports, whic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so watching these images during exercise would make aerobic exercise more efficient than normal treadmill exercis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