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고학년의 유튜브 이용이 자기표현능력과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Tube Usage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유튜브 이용빈도와 유튜브를 이용 동기를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이 자기표현능력과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초등학교 1곳의 4, 5, 6학년 총 12학급을 대상으로, 유튜브 이용빈도 및 이용 동기, 자기표현능력, 또래 관계 척도를 통해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각 반의 담임선생님을 통해 연구의 목적과 작성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후 학생들에게 전달하였으며, 연구대상이 미성년자임을 고려하여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만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후 설문에 성실히 응답한 227명(남학생 111명, 여학생 11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유튜브 이용빈도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유튜브 이용 동기는 성별과 학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튜브 이용빈도는 자기표현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표현능력 중에서도 내용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튜브를 이용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자기표현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튜브 이용빈도는 또래 관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튜브 이용 동기는 하위요소에 따라 자기표현능력, 또래 관계 간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유튜브를 재미추구 동기로 이용할 경우 자기표현능력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래 관계와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를 관계추구 동기로 이용할 경우 자기표현능력에서는 내용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또래 관계에는 부정적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를 정보추구 동기로 이용할 경우에는 또래 관계 긍정적 요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유튜브 이용현황, 이용빈도 및 이용 동기를 파악하여 초등학생들의 유튜브 이용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유튜브 이용이 자기표현능력과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냄으로써 추후 유튜브의 이용 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motivation of YouTube use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YouTube usage on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in 12 classes of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rough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frequency and motivation of YouTube use,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based on a numerical scal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fter sufficiently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instructions for completing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homeroom teacher of each class. Considering tha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no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y for students with parental consent. After that, the data from 227 students (111 male students, 116 female students) who full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YouTube use by th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ween grades, as well as in the motivation to use YouTube between both genders and grades. Second, it was found that use of YouTub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xpression ability, and especially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ontent and voice elements. This means that the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frequently use YouTube have higher self-expression ability than those who rarely use YouTube. However, YouTube usage frequency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was different according to sub-factors for YouTube usage motivation. when YouTube was used as a motivation for pursuing fu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ability, and there was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er relationship. When it was used as a motivation for pursuing a peer relationship,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ntent and phonetic elements of self-expression ability. In peer relationship, negative factors and negative (-)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When using YouTube as a motivation for information seeking,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factor of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as a basic resource that helps understand the use of YouTube by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frequency, and motivation of using YouTube.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to derive the additional effects of using YouTube on stud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