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上古時期祭祀演變研究 : 以《說文解字》“示”部爲中心

상고시기 제사 변천 연구 : ≪설문해자≫ “示”部 글자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설문해자》(《說文解字》, 이하 《설문》)는 동한(東漢)의 경학자이자 문학자인 허신(許愼)의 저서이다. 《설문》은 한자 자형과 기원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사서로 허신은 540개 부수를 중심으로 글자들을 분류하고 부수들의 연관 관계에 따라 글자들을 정리하였다. 《설문》은 “方以類聚,物以群分,同牽條屬,共理相貫,雜而不越,據形系聯”의 원칙을 따르고 있는데, 《설문》의 “示”部 글자는 대부분 제사와 관련되어 있다. 본 논문은 《설문》의 “示”部 글자를 중심으로 “示”部 글자가 반영하는 제사 문화 변천에 대해 연구하였다. 갑골문, 금문, 소전 등 고문자 자형을 기반으로 “示”部 글자 형성에 담긴 의도, 자형과 의미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였으며 “示”部 글자에 담긴 제사 문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사료와 문헌을 통해 “示”部 글자에 담긴 제사 문화를 제사 목적, 제사 대상, 제사 주체, 제사 활동, 제사 의례, 제사 용품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고 시대 제사 풍속 변천 과정과 변천 규율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연구 의의를 설명하고 본 논문의 연구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관련 연구 현황에 대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먼저 《설문》의 “示”部 글자와 관련된 연구 논문, 서적 등을 정리하고 상고 시대 제사 문화 및 종교와 관련된 연구 논문, 서적 등을 정리 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사의 발생과 발전 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옛 자형과 문헌 내용을 기반으로 “示”자 형성에 담긴 의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示”자의 본의, “示”部 글자와 제사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示”部 글자가 반영하는 제사 문화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사와 관련된 관념의 변화를 제사 목적과 제사 대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제사를 지내는 목적은 “禳祓” 중심에서 “祈福”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단기적이고 구체적인 것에서 장기적이고 추상적인 목적으로 발전하였다. 제사 대상은 “自然神” 중심에서 “祖先神” 중심으로 바뀌어 최종적으로 “至上神”이 출현하고 왕권과 결합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사 주기, 제사 집행자, 제사 용품, 제사 의례를 통해 제사 활동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래 제사 주기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추후에 제사 주기가 생겨나며 제도화 되었고 제사 집행자 “祝”은 “巫”에서 분화한 것임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사 용품과 제사 의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간을 희생물로 하는 제사 풍습은 사라지고,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를 희생물로 하는 제사 풍습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음을 분석하였다. 제사 의례는 원시의 소박한 형태에서 화려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제6장에서는 “示”部 글자 연구를 통해 상고 시대 제사 풍속 변천에 대해 정리하고 결론을 맺었다.

more

초록/요약

《說文解字》(以下簡稱《說文》)是東漢經學家、文字學家許愼的著作,《說文》是目前最早系統地分析漢字字形和考究字源的語文辭書。《說文》首創540部,以部首統攝眾字,遵循著“方以類聚,物以群分,同牽條屬,共理相貫,雜而不越,據形系聯”的原則。《說文》“示”部所收錄的漢字大都與祭祀有關。 本文嘗試以《說文》“示”部字爲中心,對其所反映的祭祀文化的演變進行研究。並結合甲骨文、金文、小篆等古文字形體,探究“示”部字的構形理據以及形義關係。同時,對“示”部字中所蘊含的祭祀文化信息進行考察,並結合其他史料對“示”部字所反映的祭祀目的、祭祀對象、祭祀主體、祭祀活動、祭祀禮儀、祭祀用品等進行研究,進而探究上古時期祭祀風俗的演變過程和規律。 本論文分爲六章。主要內容如下: 第一章,緒論。闡明研究目的及意義,闡述本論文的研究範圍和方法。 第二章,相關研究綜述。將與《說文》“示”部字有關的論文,專著等進行整理,總結有關祭祀類字以及上古祭祀文化的研究現狀。 第三章,對祭祀的產生及發展進行考察並結合古文字字形及文獻對“示”字的構意進行探究。探討“示”字的本義以及“示”部字與祭祀的關係,對“示”部字所反映的祭祀文化進行研究。 第四章,從祭祀的目的和祭祀的對象兩個方面探討與祭祀有關的觀念的變化。分析得知,隨著社會的發展,人們舉行祭祀的目的從禳祓爲主向祈福爲主的變化,祭祀目的由短期具體向長期且抽象的目的發展。人們的祭祀對象由自然神爲主向祖先神爲主轉變,最終,“至上神”出現並王權結合。 第五章,從祭祀週期、祭祀者、祭祀用品與祭儀三個方面探討祭祀活動的變化。通過研究可知,祭祀週期從無到有,反映出祭祀逐漸制度化的趨勢。祭祀者“祝”的出現則是“巫”的職能分化的結果。通過對祭祀用品和祭儀的考察,可以清晰的看到人體犧牲的祭祀風俗逐漸消失,其他犧牲的要求往往隨著朝代的改變而發生改變,祭祀的禮儀由原始質樸向顯貴風度發展。 第六章,結論。通過《說文》“示”部字的整理,探討上古祭祀風俗的演變,對論文的研究結果進行總結。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