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유권자의 지지정당 결정 요인 연구 :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중심으로

Ambivalent sexism and party identification in South Korea

초록/요약

이 논문은 2020년 한국에서 유권자의 성차별주의가 지지정당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다. 2016년 이후 한국 사회에서 젠더 이슈를 둘러싼 갈등이 가장 주요한 사회적 갈등 중 하나로 떠올랐고, 특히 젊은 세대 내에서 이러한 성평등 및 성차별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지지정당을 결정하는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한 경험적 검증은 부족하고, 기존 연구들은 개인차 변인인 성차별주의를 집단 간 평균치로만 비교하거나 타당성이 부족한 성차별주의 척도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가적 성차별주의 척도를 사용하여 2020 년 한국에서 성차별주의가 유권자의 지지정당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는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또한, 성차별주의 요인이 지지정당을 결정하는 영향력이 다른 세대보다 20대 유권자들에게 훨씬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한다. 분석 결과,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높을수록 민주계 정당 지지에 비해 무당파가 될 확률은 증가하였고, 진보계 정당을 지지할 확률은 감소하였다. 또한,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높을수록 무당파가 될 확률은 약간 감소하였다. 다만, 온정적 성차별주의 변수를 통제했을 때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높을수록 민주계 정당에 비해 보수계 정당을 지지하는 확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지지 않았다. 또한, 유권자의 성차별주의가 지지정당을 결정하는 영향력이 30대 이상 유권자에 비해 20대 유권자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교차항 가설을 분석한 결과, 20대가 30대 이상 유권자에 비해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높아질수록 민주계 정당에 비해 보수계 정당을 지지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20 대 유권자는 적대적 성차별주의가 높아질수록 민주계 정당을 지지할 확률이 크게 감소하고, 보수계 정당을 지지할 확률이 증가하고 무당파가 될 확률 역시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젠더 이슈를 둘러싼 갈등과 함께 성차별주의 요인이 유권자의 지지정당 결정을 설명하는 요인이 되었을 수 있으며, 동시에 20대 유권자에게서는 이러한 영향이 더욱 강하고 분명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sexism on votersʼ party identification in 2020, South Korea. It has been argued that 20s male votersʼ increased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is for their conservative ideologies or their hostile attitudes towards women. However, prior works have used inappropriate sexism scales or mean values of gender and generation groups to infer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ʼ sexism and their party identification. Using the cross-sectional survey data conducted in August 2020, I examine the effect of sexism on votersʼ party identification empirically using ambivalent sexism inventor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20s generation dummy variable. The result shows that sexism factor predicted votersʼ party identification with controlling confounding variables. Higher hostile sexist attitude is related to higher identification with the conservative parties or higher probability to be nonpartisan and lower identification with the liberal parties compared to the democratic parties. Higher benevolent sexist attitude is related to higher identification with the conservative parties and lower probability to be nonpartisan.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20s generation dummy variable is significant as sexism factor predicted 20s votersʼ party identification more powerfully than older genera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xism factor explains the new political phenomena in 20s generation and its effect on voters-party system would increase with the generational chang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