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톨릭 청년 신자들의 종교생활과 종교적 정체성 : 직무 봉사를 통한 의미와 행위의 재구성

Religious Life and Religious Identity of Catholic Young Adults: Restructuring of Meaning and Behavior through Lay Leaders' Experience

초록/요약

한국 사회 20-30대 청년 무종교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사목 현장에서도 청년 이탈 현상은 중요한 사목적 과제로 대두되어왔다. 이를 두고 기존의 연구는 교회 이탈자를 ‘냉담자’라는 동일 집단으로 판단하여 원인과 처방에 접근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후기 근대사회를 사는 청년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그들의 종교생활에 기반한 해석으로부터 왜 가톨릭교회를 떠나게 됐는지를 살피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청년 평신도들의 냉담의 원인 중 하나로 교회 조직 경험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 평신도 중 교회 조직 문화와 특성을 밀접하게 체험한 직무 봉사 경험이 있는 16명과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이 직무 봉사를 수행하며 체험한 조직 경험 구성 요소인 사제 리더십과 평신도 구성원과의 관계 요소를 정리하였고, 조직 경험에 대한 의미 해석과 행위 전략의 역동성을 분석하였으며, 직무 수행 이후의 종교적 정체성 변화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종교생활 전반에 관한 종교경제론적 접근과 조직 경험을 아우르는 사제 리더십과 이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행위 전략을 구분하기 위한 조직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재구성되는 종교적 정체성의 요소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종교의 문화적 배태성과 다면적인 종교적 정체성에 집중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공동합의성과 진정성을 겸비한 사제 리더십과 평신도 구성원으로부터 체감하는 자기효능감은 청년 직무 봉사자의 교회 내 친교 작용을 상승시켰다. 이와 반대로 하향식 의사소통과 권위주의적 사제 리더십, 평신도 구성원 간의 관계 갈등은 청년 직무 봉사자의 조직 갈등 문제를 야기했다. 둘째, 친교 혹은 갈등 상황에 따라 청년 직무 봉사자는 자신이 대면한 교회의 조직 요소들을 해석하고 이에 따라서 만족과 몰입 또는 항의 및 의견 개진, 다양한 방식의 침묵과 머무름의 행위 전략을 선택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갈등 문제 심화 체험에도 불구하고 사제의 도움과 과거의 만족-몰입 경험 및 기존의 교회 조직 중심의 통합과 몰입의 종교적 자기 정체성을 유지했을 경우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회로의 몰입을 택했다. 셋째, 직무 봉사 이후 청년 평신도는 직무 봉사 경험에 따라 새롭게 구성한 교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종교적 정체성을 재구성했다. 친교 증진을 체험한 청년 평신도는 신앙, 수행, 소속 차원의 종교성이 교회 조직으로 통합-몰입되는 정체성을 공고히 하였다. 반대로 갈등 심화를 체험한 청년 평신도는 신앙, 수행, 소속 차원의 종교성을 자율적이고 성찰적인 의미 해석에 따라 유동적이고 임계적으로 재구성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에게 냉담은 자신의 고유한 교회 조직 경험을 통해 탈규범적 의미로 재해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 평신도 집단의 교환구조와 교환비 조정과정을 세분화였다. 둘째, 사제 리더십을 의사소통과 사목 주안점을 기준으로 대별하여 제시하였으며 윤리적이고 신앙적인 침묵을 선택하면서 교회 조직 갈등 심화에도 불구하고 이탈하지 않는 행위 선택을 유형화할 수 있었다. 셋째, 냉담자로 구분되는 청년 평신도의 자율적인 종교적 정체성의 재구성 과정과 그 변화 요소 및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more

초록/요약

In Korean society, the population of ‘religious nones’ in 20s and 30s young adults is increasing. Even in the pastoral field of Catholic Church, the phenomenon of church exit in young adults has also emerged as an important pastoral task. Existing researches on this have often approached to find cause and solution by dealing with unchurched people as the homogeneous tepid Christian. However,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s living in the postmodern society, studies on why they exit Catholic Church from interpretations based on their religious life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paper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church as a reason of young adult lay people’s church exit. Therefore, in this pap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young adults lay people who closely experienc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church in ministerial assisting. Thus, this paper classified the organizational experience which they have undergone while they were lay leaders as various factors of priesthood leadership and relationship with subgroup member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meaning interpretation of organizational experience and the dynamics of behavior strategies, and paid attention to changes in religious identity after ministerial experience. For data analysis,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priesthood leadership with synodality and authenticity, and self-efficacy felt through lay people members made increase communion. On the other side, top-down communication and authoritarian priesthood leadership, the relationship conflict between lay people made organizational conflict issue of young adults lay leaders. Second, according to communion or conflict situation, they interpreted organizational elements of church they faced. After that they also selected behavior strategies between satisfaction-commitment, voice and suggesting opinions, diverse types of silence and staying. Moreover, in this process, despite the experience of worsening conflict issue, they overcame difficulties and chose to commitment to the church if they have several overcoming mechanisms. Third, after the ministerial experience, they restructured their religious identity with it, centered on a newly restructured relationship with church. Young adult lay leaders who had experience of increasing communion strengthened their identity. Their religiosity of dimensions of faith, performance, and belonging make them committed and integrated to church organization. Conversely, young adult lay leaders who had experience of worsened conflict problem restructured their religiosity fluidly and liminalitely, according to autonomous and reflective meaning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epid situation was reinterpreted in a denormative sense through their own organizational experience of church.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exchange structure and exchange cost adjustment process of the active lay group were subdivided. Second, this paper classified priesthood leaderships based on communication and pastoral main focus, also, was able to additionally categorize ethical and religious silence as behavior strategies that does not make young adults lay leaders exit despite the worsening conflict in the church. Third, this paper was able to identified the reasons, factors, restructurization process of autonomous religious identity of tepid young adults Catholic lay peop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