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농업인으로 살아남기 : 대안적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How to Survive as a Young Farmer: A Focus on Alternative Community
- 주제(키워드) 농촌 , 귀농 , 청년농업인 , 사회자본 , 수직적 사회자본 , 대안적 커뮤니티 , 커뮤니티의 폐쇄성 , rural area , young farmers , social capital , vertical social capital , alternative community , social closure of commun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철승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UCI I804:11029-00000006609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o address the issue of high barriers to entry in rural areas, existing studies emphasize horizontal social capital formed around local communities; their overall solution to the problem is to build relationships with local members. However, young people entering rural areas were being affected more by vertical social capital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an horizontal social capital. In this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6 young farm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experienced by young farmers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rural areas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formed by their parents. First of all, young people entering rural areas were under great influence of their parents’ social capital. By virtue of their inherited social capital, young inherited farmers were able to settle stably in local networks and start farming with ease. However, young beginning farmers faced difficulties in settling in local networks due to the territoriality of local members. Moreover, the lack of parents’ social capital further hindered them i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local members. Accordingly, they had difficulties gathering information about agriculture and applying for various support projects. On the other hand, such information and support projects were more accessible to young inherited farmers, since well-established social capital around local members were inherited to th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young people form alternative communities as a way to settle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the interviewees were members of Korean Young Farmers’ Association (KYFA) or Korean Young Lady Farmers’ Association (KYLFA). For young farmers, these alternative communities are functioning as a means of settling in rural areas through information sharing, consensus building, and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while KYFA had no specific limitation to rule out any young farmers, KYLFA had joining conditions that excludes young beginning farmers and married female farmers; it is mostly made up of young inherited farmers. This result shows that even in alternative communities, young inherited farmers are taking more advantages; they are becoming even more influential in the local network due to a combined synergy between the alternative communities and their parents’ social capital. Therefore, alternative communities of young farmers show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closure, the limit that a community has no choice but to have, even though it functions as a survival strategy in rural areas.
more초록/요약
현재 농촌의 높은 진입장벽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연구들은 공동체 중심으로 형성된 수평적 사회자본을 강조하며, 마을 구성원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농촌에 진입하는 청년들은 수평적인 지역 사회의 사회자본보다도 부모-자녀 간의 수직적 사회자본에 더욱 큰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농업인 1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농촌에서 부모가 형성하고 있는 사회자본의 영향에 따라 청년들이 농업을 시작하여 농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이 겪는 차별과 배제는 매우 상이하였다. 먼저 부모의 사회자본은 농촌에 진입하는 청년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승계농 청년들은 부모의 사회자본으로 인해 지역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농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반면 새로운 지역에서 농업을 시작하는 창업농 청년들은 마을 구성원들의 텃세로 인해 지역 네트워크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어서 부모의 사회자본 영향이 부족한 창업농 청년들은 마을 구성원들과 관계 형성이 제한되어 있어 지원 사업과 정보를 공유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창업농 청년들과 달리 승계농 청년들은 부모의 사회자본으로 인해 마을 구성원과 주변 농업인에게 지원사업과 농업과 관련한 정보를 쉽게 전달받지만, 창업농 청년들은 정보 소외와 지원사업에서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농촌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속에서 청년들은 농촌에 정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안적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농촌에 진입한 청년들은 청년농업인의 대안적 커뮤니티인 청연과 청여농에 진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청년농업인의 대안적 커뮤니티에서 청년들은 정보 공유, 공감대 형성, 사회 참여를 통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청여농 커뮤니티는 청연 커뮤니티와 달리 승계농 청년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가입제한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혼 여성 농업인과 창업농 청년들을 배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안적 커뮤니티와 부모의 사회자본이 더해져 승계농 청년들의 영향력이 더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년농업인의 대안적 커뮤니티는 농촌에서 생존전략으로 기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뮤니티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인 폐쇄성을 보여주고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