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조직사회화에 대한 사례연구 : 영화 <어린 의뢰인>과 <게이브리얼의 죽음 : 누구의 책임인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 Focused on Movies <My First Client> and <The Trials of Gabriel Fernandez>
- 주제(키워드) 한국과 미국 아동학대 비교 ,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 , 아동학대 사례판단 , 아동학대 사망사례 , 아동보호정책 및 시스템 , 조직사회화 , A Comparison of the Child Abuse in Korea and USA ,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 Child Maltreatment Substantiation , Child Abuse Deaths , Child Protection Policy and the Services ,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강선경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UCI I804:11029-00000006608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아동학대 관련 업무의 본질을 이해하고 아동학대 사망사례에 대해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잘못으로만 돌리려는 사회적 태도에 의혹을 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아동보호정책 및 시스템의 모델이 되는 미국에서조차 아동보호기관이 개입했음에도 불구하고 학대피해아동이 사망에 이르는 사례들이 연이어 발생하는데, 심지어 한국과 미국에서 발생한 다수의 아동학대 사망사례들은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아동학대 관련 업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비단 사회복지사 개인이나 정책, 시스템에만 국한시킬 수 없다는 것을 내포한다. 따라서 아동학대 관련 업무 중 첫 발단이 되는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아동학대 사례판단에서 이루어지는 심리 과정을 분석하여 아동학대와 그 관련 업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3년 한국과 미국에서 일어났던 실제 아동학대 사망사례를 바탕으로 한 영화 <어린 의뢰인>과 <게이브리얼의 죽음 : 누구의 책임인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그 안에서 나타나는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조직적인 심리 과정인 조직사회화를 분석했다.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Chao와 동료들(1994)이 제시한 ‘직무수행 숙련성’, ‘사람’, ‘정치’, ‘언어’, ‘조직 목표와 가치’, ‘역사’의 6가지 조직사회화 차원을 분석틀로 사용하였으며, 조직사회화 이론 외에도 관찰학습(모방)이론, 집단 동조 이론 등을 사례분석에 적용하였다. 두 편의 영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는 업무를 처음 시작하는 신입 사회복지사 시절부터 교육 및 훈련, 업무 관리감독 등 직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선임 사회복지사의 무기력과 관성적인 태도를 습득하고 이를 자신의 업무에 무의식적으로 적용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학습(모방) 이론에서 제시하는 대리강화 개념에 따르면,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것들을 반드시 직접 겪지 않아도 선임이나 동료 사회복지사와 상호작용을 통해 무기력과 관성적인 태도를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행동은 조직 체계의 말단에 위치한 존재로서 집단적인 움직임을 거부할 수 없는 집단 동조 현상의 결과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아동학대 관련 업무는 해당 직무에서 오는 모호함, 아동학대에 대한 증거 및 증언 확보의 어려움, 학대피해아동의 진술 번복, 학대행위를 제재해야 할 대상인 동시에 클라이언트라는 이중적 위치의 학대행위자, 아동학대 현장조사나 부모와의 분리 조치에 대한 부정적 사회 인식 등 매우 복합적인 어려움을 동시에 안고 있으며 여기서 파생하는 허탈감이나 패배감, 무력감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 사회복지사 개인을 넘어 조직 전반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6가지에 걸쳐 분석된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조직사회화는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며 상승효과를 낸다. 한 가지 차원이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게 아니라 다른 차원과 밀접하게 맞물려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업무 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의 사례 개입에 대한 면책권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학대 관련 업무에 대한 예산이 확충되어야 한다. 셋째,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에게 아동학대의 특수성을 반영한 세부적이고 본질적인 교육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아동학대 담당 사회복지사에 대한 개별적인 심리상담 및 치료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아동보호조직의 체계와 업무 과정을 공개하여 조직의 관료적인 성격이나 보신주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work involved in child abuse and to raise a question of the social attitude that tend to attribute the cause of child abuse fatalities to a social worker. Although United of South America is a model of child protection policy and the system in Korea, it is also suffering from child abuse fatalities in which a social worker already intervened like Korea does. This phenomenon implies limitation of individual social worker, policy, or system for the main reason of problems occurred in child abuse-related tasks. Therefore, the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ild abuse and related tasks through psychological process analysis of child maltreatment substantiation as a primary work of social worker involved in child abuse. For the study,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s analyzed to expres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social worker in organization from movies <My First Client> and <The Trials of Gabriel Fernandez> based on real-child abuse fatalities occurred in both Korea and USA in 2013. In order to systematic research, six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Performance Proficiency’, ‘People’, ‘Politics’, ‘Language’, ‘Organizational Goals and Values’, and ‘History’-suggested by Chao et al.(1994) are applied as a analytic frame to case analysis with observational learning(imitation) theory and the group conformity theory beside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ory. Result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wo movies showed that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s would acquire a feeling of helplessness and inertial attitude from a senior social worker by direct and indirect way, then would apply to their own tasks unconsciously started in the early days of new-coming member. According to the content of vicarious reinforcement presented from observational learning(imitation) theory, it is not only required that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would be directly experienced the trouble of child abuse-related tasks, but also it is possible that could acquire a feeling of helplessness and inertial attitude by the interaction with a senior or a co-worker. Such a behavior of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is also the result of group conformity which is irresistible to organized movements as a junior of organizational system. Furthermore, negative emotions, such as letdown, a sense of defeat, or a feeling of helplessness, is developed not only among the individual social worker but also among the organization in general. These feelings derive from child abuse-related tasks of complicated problems in ambiguity of work, difficulty of secure the evidence or record about child abuse, overturned deposition from child abuse victim, the double position of abuser between sanctioning target to prevent child abuse and the client. On this wise,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ith six dimensions of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is shown as synergy effect nearly at the same time. A dimension is not just applied one by one, but is closely interlinked and appeared with another dimen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could be presented in solving the problems among the tasks of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First, judicial immunity is necessary for social worker to intervene in the case. Second, the budget for child abuse must be expanded. Third, the detailed essential training reflected uniqueness of child abuse is required for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Fourth, psychological counselling or psychotherapy is necessary for individual anti-child abuse social worker. Lastly, child protection system and the work processes should be opened to public to block the bureaucratic conditions and self-protection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