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교과와 통합된 미디어교육 수업 개발 및 효과 측정 : 대안학교 중학교 2학년의 가면예술제를 통한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EFFECTIVENESS OF MEDIA EDUCATION CLASS INTEGRATED WITH ART SUBJECTS: FOCUSING ON CHARACTER EDUCATION THROUGH MASK FESTIVAL FOR EIGHTH-GRADE STUDENTS IN ALTERNATIVE SCHOOL
- 주제(키워드) 미디어교육 , 청소년 , 인성교육 , 예술교육 , 융합수업 , 대안학교 , 예술교과통합 , 가면예술제 , media education , adolescences , character education , art education , convergence education , alternative school , art integrated class , mask festival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조재희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UCI I804:11029-00000006608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국내 미디어 교육의 역사가 짧지 않으나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미디어 활용 능력 증진, 미디어 이해와 비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주로 목적을 두었다면 미디어의 기능과 영향력은 세대가 지날수록 더욱 확장되어가기 때문에 미디어 교육 또한 변화에 따라 세대의 특성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중학교의 시기는 신체와 지식이 성장함에 따라 예술적 지식과 지각이 발달하게 된다. 특히 감수성이 발달하는 사춘기에 나와 타인, 그리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이해하고 관계 맺는 훈련은 매우 중요하다. 교육부의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도 창의융합형 인재 교육을 새로운 교육 핵심으로 제시하였는데, 미디어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더욱 다양하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특히 어렸을 때부터 미디어 환경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성장한 요즘의 청소년들은 미디어를 기성세대와 다른 방식으로 소비하고 있으며, 미디어는 기성세대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게 실제 인간관계나 삶에 큰 영향을 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교육적 틀에서 벗어나 프로젝트형 교과통합 수업을 통해서 미디어 교육 및 예술교과에 새로운 시도를 제안해보고, 학생들의 협동 활동 능력, 상상력과 독창성의 증진을 기대해볼 수 있다. 새롭게 시도되는 수업 모델인 만큼 교과 통합수업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안학교에서 이루어지지만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하는 공교육에서도 실행 가능성이 높은 수업 모델이다. 미디어 교육을 진행하는 교사는 학생들에게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매체로서의 특징뿐만 아니라 예술적 도구로서의 특징 또한 이해한 후 교육해야 하며 청소년들은 미디어의 기초적 이해, 접근, 그리고 활용까지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져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수업연구로 예술적 도구로서의 미디어를 다른 예술 교과와 통합된 방법으로 확장된 개념의 미디어 교육을 제안, 본 연구를 통해서 미디어교육의 다양한 사례를 제안해보고 창의적 미디어 교육으로서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고 있다. 본 연구는 수업 효과 측정을 위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로 양적연구와 함께 심층 인터뷰, 수업관찰 일지, 피드백의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history of media education in Korea is not short, thus discussions on the diversity and professionalism of media education programs are continually discussed. Since the existing media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improving media utiliz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of understanding and criticizing the media, the media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 should be taugh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 as generations rapidly change. The knowledge and perception of art progress as the body and knowledge of students develop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In particular, the training to understand and relate to themselves, others, and their communities is very important for adolescences as their sensitivity develops.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vised curriculum in 2015 also presented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as the essential new education, by suggesting the need of more divers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media. In particular, adolescences these days, who have grown up with excessive exposure to the media environment since their childhood, consume media in different way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media has a grater impact on their real-life or relationships than the older generation assumes. In this study, I propose new attempts in media education through project-type curriculum integrated with art subjects as Theatre and Art, and expect students to promote cooperation, imagination, and originality. As it is a new program, various possibilities for integrated classes can be present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an alternative school, but it is also a highly viable media education program in public education aiming to foster students with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eachers conducting media education should educate students after understanding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tools, and the environment to learn basic understanding, access, and utilization of media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pose an expanded concept of media education in a way that integrates media as an artistic tool with other art subjects for a class for eighth grade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Through this, the research goal is to propose various examples of media education an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media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studies such as pre-survey and post-survey in class for measuring class effectiveness, as well as qualitative studies such as in-depth interviews, records of class observation, and feedbacks from stud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