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노인 삶의 질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between Formal Care and Informal Care
- 주제(키워드) 공식 돌봄 , 비공식 돌봄 , 장기요양 , 삶의 질 , 성향점수매칭 , 커뮤니티케어 , 지역사회 계속 거주 , formal care , informal care , long-term care , quality of life , propensity score matching , community care , ageing in pla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문진영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가톨릭사회복지학
- UCI I804:11029-00000006607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e study sought to confirm whether long-term care adequately addresses the elderly's desire for achieving 'aging in place' by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between formal care and informal care. Long-term care has become a representative formal care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f care due to new social risks. In previous studies, formal care has been discussed and evaluated mainly focusing on easing the burden on families, such as care time and care costs. However, the purpose of the socialization policy of care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so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needs to be more concerne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policy's performance. The purpose of formal care is to alleviate the burden on families and to maintain o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 recipients by supplementing or substituting informal care. Therefore, it is reasonable way to evaluate the policy’s performance by ensuring that formal care is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s much as informal car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2017 Survey of the Elder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analysis tool was Stata 14.2, and the main analysis methods were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Model I analysis, the formal care group has lower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informal care group among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in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found in mental health (depression), physical health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ubstitute for informal care.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health characteristics such as chronic disease numbers, ADL, and cognitive health have been shown to b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 both groups. It has been reaffirmed that effort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health of older people are a major factor in performance in both formal and informal care. According to Model II analysis, the elderly who received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received informal ca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depression), physical health (subjective health), social relations (social activities), and living environment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for the elderly substitutes informal care in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living conditions. These results show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as a result contrary to the previous study's findings that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receiving long-term care is lower than that of non-recipient. Looking at the factors that affect, "relationships" in long-term care groups was an variable that affected all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except mental health. In other words, a good relationship between care providers and care recipients can be a major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cheme. Economic characteristics in informal care groups affect all sub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except physical health. Institutional support for informal care shows that the focus should be on easing the economic burden. Through this work, the researcher derive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esent policy suggestions. First,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 propose the need to add the quality of life in care recipients as a metric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care. As a policy suggestion, firstly I proposed a policy approach to mana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care providers and care recipi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prepare conditions for the rights of each caregiver to be protected so that reliable relationships between formal care providers and caregiver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Secondly, I propose policy support for informal care givers. By providing policy support to informal care providers, the economic burden on care recipients will be alleviated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ll be improved. Finally,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quality of life subcomponents of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ong-term care and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 so that the opinions of care recipients can be further reflected.
more초록/요약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eing In Place)’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노인의 돌봄 욕구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있는지를 공식 돌봄인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받는 노인과 가족, 친지 등 비공식 돌봄을 받는 노인의 삶의 질 비교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신사회적 위험으로 인한 돌봄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장기요양제도(long-term care)는 대표적인 공식 돌봄으로 자리 잡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돌봄시간, 돌봄비용 등 주로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공식 돌봄에 대한 논의와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돌봄의 사회화 정책은 돌봄수급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이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점에서, 정책의 성과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돌봄수급자인 노인 삶의 질에 좀 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공식 돌봄은 비공식 돌봄을 보완․대처함으로서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수급자의 삶의 질을 유지 및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에서 공식 돌봄이 비공식 돌봄만큼 노인의 삶의 질을 유지 및 개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합리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이며, 분석은 전체 공식 돌봄집단과 비공식 돌봄집단을 비교하는 모형Ⅰ과 공식 돌봄 중 장기요양 재가급여를 받는 집단과 비공식 돌봄 집단을 비교하는 모형Ⅱ로 구성되어 이루어졌다. 분석도구는 Stata 14.2였으며,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성향매칭분석(PSM)과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모형Ⅰ 분석결과 노인 삶의 질 하위요소 중 공식 돌봄집단은 비공식 돌봄집단보다 주거환경만족도가 낮고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정신건강(우울감),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사회관계(사회활동)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공식 돌봄이 비공식 돌봄을 대체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노인 삶의 질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만성질환수, ADL, 인지적 건강 등 건강특성은 두 집단 모두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노인의 건강유지와 개선 노력이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 모두에서 성과의 주요한 요소임이 재확인되었다. 모형Ⅱ 분석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받는 노인은 비공식 돌봄을 받는 노인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정신건강(우울증), 신체건강(주관적 건강상태), 사회관계(사회활동), 생활환경(주거환경만족도) 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는 정신건강, 신체건강, 사회관계, 생활환경 등에서 비공식 돌봄을 대체하고 있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장기요양 수급 노인의 삶의 질이 비수급 노인보다 낮다라는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제도의 성과를 보여준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장기요양 돌봄집단에서 ‘관계’는 정신건강을 제외하고 모든 삶의 질 하위요소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의 좋은 관계는 제도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주요한 요인이다. 비공식 돌봄집단에서 경제특성이 신체건강을 제외하고 모든 삶의 하위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식 돌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은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먼저 이론적 함의로서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돌봄수급자의 삶의 질을 측정기준으로 추가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 먼저 재가급여를 제공하는 공식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의 관계 관리를 위한 정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공식 돌봄제공자와 돌봄수급자 간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과 돌봄수급자와 돌봄제공자 각각의 권리가 지켜질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비공식 돌봄제공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비공식 돌봄제공자에게 정책적 지원을 함으로서 돌봄수급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이를 통해 노인 당사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성과 평가에서 수급자 및 수급자 가족의 삶의 질 요소를 확대하고 돌봄수급자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