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에 대한 교육훈련과 슈퍼비전이 업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Training and Supervision of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rs on their Work Self-Efficacy
- 주제(키워드)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 , 교육훈련 , 슈퍼비전 , 업무효능감 ,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r , Training , Supervision , work self-efficac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강선경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UCI I804:11029-00000006607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에서는 가족을 지원하기 위하여 배움지도사, 키움보듬이, 지지리더라는 활동가를 파견한다. 활동가가 각 가정에 주 1회 이상 파견이 되어 다양한 영역에서 가족의 어려움 해소를 지원하고 있다.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이 확대되면서 활동가의 인원도 증가하고 있으며, 사업 영역에서 활동가 파견의 비중이 커지면서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가 전문가로서 역량을 발휘하고, 높은 업무효능감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의 인적자원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며, 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훈련, 슈퍼비전 등이 활동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의 교육훈련과 슈퍼비전이 업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활동가의 업무효능감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의 질적인 업무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 파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정에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서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을 진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활동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2020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응답한 140명 중 불성실한 응답 5개를 제외한 135명의 응답을 토대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활동가의 대부분은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9.2세였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 활동 경력은 2년 4개월이었으며 활동가의 평균 활동 시간은 16시간이었다. 활동가 55.6%가 20만 원 미만의 활동보수를 받고 있었다. 가족역량강화지원사업 활동가의 교육훈련 평균은 45.95, 슈퍼비전 평균은 111.2로 모두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인 업무효능감 평균 점수로 88.24점으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활동가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 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 확인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훈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슈퍼비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슈퍼비전은 업무효능감에 24.7%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활동가에게 제공되는 슈퍼비전이 적절할수록 활동가의 업무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more초록/요약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s involve the dispatching of service providers. There are three types of service providers: Learning Instructors, Care Assistants, and Support Leaders. Service providers are dispatched to eligible households at least once a weak to help them deal with challenges in various aspects of their lives. As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s grow in scale, the number of service providers increased as well, along with the share of the provider dispatch service in the overall services. As such, each institution providing Family Empowerment Services need to improve their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to help service providers maximize their competency and improve their work self-efficacy. However,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rs have not been studied in any previous literature. We are still in the dark as to whether training and supervision at the institutions dispatching service providers have positive impact on the service providers. In light of the abov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training and supervision of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rs on their work self-efficacy, and how it can be improved. Ultimately,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qualitative improvement of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rs, as well as provision of higher-quality services to the households using the Family Empowerment Services. This study analyzed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rs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heathy family/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2020 and March 2021. A total of 140 responses were received, of which 135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five poor responses. The respondents mostly consisted of women, and the mean age was 49.2 years. The respondents have worked as service provider for two years and four months on average, and the mean working hours was 16 hours. 55.6% of the responding service providers received compensations below KRW 200 thousand. The respondents reported good scores for service provider training and supervision at 45.95 and 111.2,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for the dependent variable, work self-efficacy, was also high at 88.24.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factors to verify the causality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The finding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supervision, whereas training was not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work self-efficacy. Specifically, supervision was found to have 24.7% of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providers’ work self-efficacy. The findings suggest that more appropriate supervision of Family Empowerment Service providers increases their work self-efficac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