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제3자의 문제제기 행동의도 예측모형 : 계획된 행동이론(TPB)의 적용

Predicting model for bystander' voice intention in workplace bullying: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TPB)에 근거해 직장 내 괴롭힘 상황에서 문제제기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및 예기된 자의식 정서(죄책감과 자긍심)가 제3자의 문제제기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국내 정규직 직장인 300명들을 대상으로 문제제기에 관한 TPB의 세 변인과 예기된 자의식 정서 (죄책감과 자긍심)을 측정하였고, 1주 뒤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제3자의 문제제기 행동의도를 조사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태도, 지각된 행동통제력, 및 예기된 죄책감이 제3자의 문제제기 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추가로 남녀 성차를 분석하였는데, 제3자의 문제제기 행동에 대한 태도에 있어 차이가 유의하였고, 행동의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남녀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자의 경우 태도가, 여자의 경우는 예기된 죄책감이 제3자의 문제제기 행동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고,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dicting effect of TPB variables on bystander’s voice intention for workplace bullying including anticipated self-conscious emotion(guilt and pride). Data were collected from its 300 employees working at organizations located in Korea. We measure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ticipated guilt and pride, after 1 week bystander’s voice intention was measured for the same employees.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nticipated guilt are positively related to voice intention. Additionally, gender perspective in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attitude for bystander’s voice intention. Especially attitude in male group and anticipated guilt in female group significantly predict voice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as well as operational implication. Also, it suggests limitation of study and establish future research dire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