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기술 불확실성과 과제 비정형성이 디자인지배구조와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duct Technology Uncertainty and Task Atypicality on Design Governance Structure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 주제(키워드) 신제품 혁신성 , 제품기술 불확실성 , 과제 비정형성 , 디자인지배구조 , 제품혁신성과 , new product innovation , product technology uncertainty , task atypicality , design governance structure ,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임채운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UCI I804:11029-00000006604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termination of corporate boundaries and efficient organization structure, such as vertical integration of front end functions and back end functions in manufacturing and marketing channel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core framework of Transaction Cost Analysis (TCA), which has triggered research on the governance structure, to extend and apply it to lateral functions such as design organization.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s of organization, task, and process, which are areas that were lacking in the field of theories on new product development and innovation, by investigating how they affect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through design governance structure, manager's flexibility of decision making, and the efficiency of execution departments such as manufacturing and marketing,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mechanism that creates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Since there have been few prior studies on design governance structure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by defining and classifying notions and types of design governance structure in detail. In particular, the existing theory of transaction cost economics does not cope with changes to the governance structure after vertical integration, and so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by exploring the types of design governance structures after vertical integration. In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about the effect of variables related to new product development and innovation such as task atypicality on the design governance structure was adopted, but the hypothesis on the effect of variables of environmental dimensions such as product technology uncertainty and product market uncertainty on the design governance structure was rejected. In addition, this study defined variables related to inter-functional relationships such as degree of collaboration and decision making flexibility that affect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ried to clarify the effect on the mechanism related to the variables of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esign governance structure. In the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as it is possible to create innovative concepts by participating from the initial stage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case of a company with a leading and integrated design governance structure, this study managed to adopt the hypotheses that the decision making flexibility of the top management can be increased, that inter-functional inform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can be improved and that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more초록/요약
본 연구는 제조 및 유통 등 전후방 기능들의 수직통합과 같은 기업의 경계와 효율적인 조직 구조 결정에 관한 연구 분야로서 지배구조에 관한 연구를 촉발시킨 거래비용이론(TCA: transaction cost theory)의 핵심 프레임워크를 디자인조직과 같은 측면(lateral) 기능으로 확장하여 적용하는 것이 핵심 주제이다. 특히 신제품개발과 혁신을 위한 기존 연구의 부족했던 영역들인 조직, 과제, 프로세스 관점에서 디자인조직을 매개로 정보공유 및 협력, 경영자의 의사결정 유연성, 그리고 제조 및 마케팅과 같은 실행부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제품혁신성과를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디자인지배구조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재하였으므로, 디자인지배구조에 대한 개념 및 유형을 상세히 정의하고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다. 특히 기존 거래비용이론은 수직통합 이후의 지배구조에 대한 변화는 다루지 않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직통합 이후 디자인지배구조의 유형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기존 연구 내용의 확대를 시도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과제 비정형성(task atypicality)과 같은 신제품개발과 혁신에 관련된 변수들이 디자인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채택되었으나, 제품기술 불확실성 및 제품시장 불확실성과 같은 환경차원의 변수들이 디자인지배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기각되었다. 또한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협력 정도 및 의사결정의 유연성 등 부서 간 관계에 관한 변수들을 정의하였는데, 디자인지배구조에 따라 제품혁신성과의 변수들과 관련한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신제품개발의 초기 단계부터 참여하여 새로운 혁신개념을 창출이 가능하여, 선도적이고 통합적인 디자인지배구조를 보유한 기업의 경우에는 경영자의 의사결정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능 부서 간 정보공유 및 협력을 증진시키고 제품혁신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