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선주민과 이주민의 분절과 공생 : 종족, 계층, 네트워크의 역학관계 분석
Fragmentation versus Conviviality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in Local Communities : Analyzing the dynamics of ethnicity, class, and networks
- 주제(키워드) 이주민 , 사회통합 , 동화이론 , 관계동화 , 집단관계 , 계층 , 종족 , 네트워크 , 사회조직 , 지역사회 , 선주민이탈 , 이주민밀집지역 , 분절 , 공생 , 접촉이론 , 이주의 정치화 , immigrant , social integration , assimilation theory , relational assimilation , ethnic relations , social class , ethnicity , networks , social organization , local community , native flight , immigrant enclaves , fragmentation , conviviality , contact theory , politicization of migr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오세일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UCI I804:11029-00000006600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연구는 이민자의 지역밀집으로 선주민집단에서 이주민집단으로의 주민구성의 변화를 경험한 지역사회의 집단 간 역학관계에 주목한다. 한국의 이민자통합 연구는 동화이론의 주된 흐름 속에서 이민자의 이주과정과 사회적응, 정착에 초점을 둠으로써 이민자를 한국사회에 동화, 편입시키는 문제에 주로 관심 가져왔다. 사회통합의 문제를 이민자 측면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춘 단선적 연구로 진행되어 온 것이다. 하지만 이민자만이 한국사회에 일방적으로 동화되는 것이 아니라 선주민 역시 이민자의 존재에 반응하며 상호작용을 경험한다. 즉,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관계는 양방향의 ‘관계적 동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주민과 이주민의 집단관계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지역의 맥락을 심층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논문에서는 이주민이 밀집한 서로 다른 두 지역의 참여관찰과 면담자료를 바탕으로 선주민과 이주민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한다. 특히, 중간계층 지역과 취약계층 지역으로 구분하여 두 지역의 이주민 이웃에 대한 집단의 인식에 대한 차이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맥락은 어떻게 집단 간 인식을 달리 형성하는지, 지역사회는 어떤 ‘공유된 삶’의 형태를 보유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결과, 지역의 특성에 따른 3가지 요인이 종족관계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계층의 요인은 집단의 인식과 종족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중간계층 지역은 이민자의 존재를 열악한 동네 수준에 대한 시그널로 인식하거나 이민자에게 우월적 특권의식을 보였다면, 취약계층 지역은 그러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이민자의 존재는 동일성을 지닌 단일 집단으로 집단화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개별 이민자는 사회경제적 노선에 따라 다르며 집단 간 접촉 범위와 정도에 따라 종족관계의 인식이 다르게 형성되었다. 셋째, 지역의 사회조직 네트워크는 이민자를 배제・분리시키거나 흡수・통합하느냐에 따라 종족관계의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즉, 종족관계에 있어서 지역 사회조직의 ‘교량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지역 내 계층, 이민자의 특성, 사회조직 네트워크에 따라 선주민과 이주민의 관계는 분절되거나 공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focuses on the dynamics of social class, ethnicity, and social networks in local communities transitioning from native to immigrant populations due to the presence of immigrant enclaves. Prior studies on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have mainly approached the issue of community assimilation and incorporation of immigrants with a focus on the process of immigration,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settlement of immigrants through the lens of mainstream assimilation theory. In other words, scholarship on the problem of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has taken a unilateral approach, solely focusing on the changes experienced by immigrants. However, as immigra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adjustment and assimilation into Korean society, natives also interact with and react to the presence of immigrants. Relations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entail a process of relational assimilation for both. Therefore, to better understand relations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pertinent research must reflect the in-depth context of different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of relations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t two immigrant enclav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how groups in two different localities – one disadvantaged community and one middle-class community – collectively perceive immigrants different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natives and immigrants perceive each other, and what form of shared life they have developed in their local communities. Findings suggest that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community, three different factors exert different effects on ethnic relations. First is the factor of social class: natives in middle-class communities perceive the presence of immigrants as the signal of a poor neighborhood, and they respond by strengthening their exercise of ethnic privilege and authority over immigrants, while natives in underprivileged communities do not show such a response. This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of ethnic rela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social class of people in the local communities. Second is the factor of immigrants’ distinct ethnic characteristics: immigrants are not united into a homogenous group. Each individual immigrant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ethnicity and socioeconomic status, and perceptions of ethnic relations ar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cope and rate of contact with natives. Third is the factor of social organizations: networks that form within the social organizations of local communities affects perceptions of ethnic rel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y exclude and segregate immigrants, or absorb or integrate them.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local social organizations in playing a “bridge role”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can develop into one of either conviviality or fragmentation, depending on social class, ethnic characteristics of immigrants, and networks within social organizations in the local community contex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