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족 3세대 청년의 종족정체성에 관한 한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on the Ethnic Identity of the Third Generation of Korean-Chinese Youth
- 주제(키워드) 조선족 , 청년 , 정체성 , 민족 , 국가 , 종족 , 동화 , 네트워크 , 문화 , Korean-Chinese , youth , identity , nation , country, ethnic , assimilation , network , cultur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오세일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99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다룰지는 다민족 국가가 외면할 수 없는 중대한 역사적 과제이며 그 동안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변화무쌍한 국제사회에서 조선족은 끊임없이 유동하였고 이로 인해 생활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실제로 조선족은 자신의 사회적 관계와 집단의 귀속의식을 전환하며 소속감, 가치관, 정체성을 계속 재구성해 나가고 있다. 조선족은 한국에 이주해온 다른 이민자들과 달리 역사 문화적으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한다. 조선족은 중국 국적을 가지고 있지만 한반도에서 이주한 역사를 가지고 있어 민족적으로는 한국인과 같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두 가지이다. 첫째, 중국 사회와 한국 사회에서 국가와 민족이 다를 때, 3세대 조선족 청년은 어떤 민족정체성을 갖게 되는가? 조선족의 민족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있어 사회, 문화, 교육, 경제 등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국 사회나 한국 사회에서 3세대 청년 조선족은 소수자로서 어떻게 두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가? 특히, 중국 사회와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차이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에 거주하는 20대 조선족 청년을 대상으로 인터뷰함으로써 거주 국가, 성별, 거주 기간에 따라 민족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조선족 3세대 청년의 민족정체성은 사회생활과 취업생활, 그리고 생활문화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실천방식을 통해 형성해가고 있다. 같은 조선족 내 교류 및 타자와의 상호작용, 과거와 역사에 대한 재해석, 나아가 여러 상징적 행위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조선족이라는 민족정체성보다 중국인이라는 국가정체성이 더 강했고 이는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에게서 더 확연히 나타났다. 둘째, 교육배경이 한족학교인 조선족들은 오히려 한국 사회에 더 잘 동화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조선족의 문화와 생활양식, 즉 음식, 언어 습관(중국어, 조선어), 한국어 실력에 따라 민족정체성의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한국에서 조선족으로 살면서 대부분 차별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한국 사회에서 국적을 취득했거나 국적을 취득 중인 연구 대상자들은 정체성의 갈등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초록/요약
How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is a significant historical task that multi-ethnic countries cannot ignore, and research has been ongoing steadily. Amid the ever-changing international trends, the Korean people were constantly in flux and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ir living environment. In fact, the Joseon people continue to reconstruct their sense of belonging, values, and identity by changing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sense of belonging. Unlike other immigrants who moved to Korea, ethnic Koreans occupy a special place in history and culture. The ethnic Koreans have Chinese nationality, but they are also ethnic Koreans who im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is paper. First, what kind of ethnic identity will the third generation of ethnic Koreans have when the country and ethnicity are different in Chinese society and Korean society? How does it affect society, culture, education, and economy in forming ethnic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Second, how do third-generation young Koreans live in two societies as minorities in Chinese and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what are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society? To this end, by interviewing young Koreans in their 20s living in Korea and China, they compared and analyzed how ethnic identity was formed according to the country of residence, gender, and period of residence. The ethnic identity of the third generation of Korean-Chinese youths is being formed through various practices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social life, career life, and living culture. The identity was formed through exchanges within the same ethnic Korean people, interaction with others, reinterpretation of the past and history, and further symbolic a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identity of Chinese was stronger than the ethnic identity of ethnic Koreans, which was more pronounced among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Second, ethnic Koreans, whose educational background is a Han Chinese school, showed better assimilation into Korean societ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ethnic identity depending on the culture and lifestyle of the Korean people, namely, food, language habits (Chinese, Korean), and Korean language skills. Fourth, those who live as ethnic Korean in Korea ha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in most of the time. Fifth, those who have acquired or are acquiring nationality in Korean society feel a greater conflict of ident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