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 여성 결연설화 연구
Korea Folktales About Elderly Women’s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s
- 주제(키워드) 노년 여성 결연설화 , 노년 여성 , 노년 , 여성 , 결연 , 결혼 , 성(性) , 설화 , 결연설화 , folktales about elderly women’s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 , elderly women , old-age , women ,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 , folktales , sex , sexuality , desire , marriag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송효섭
- 발행년도 2021
- 학위수여년월 2021.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UCI I804:11029-0000000659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고는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체계를 수립하고, 체계 내부의 다양성이 지니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설화 속에서 노년 여성 인물이 통념을 벗어나는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된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그 유형을 분류한다는 점을 밝히고, 로트만의 이론을 토대로 유형을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로트만은 인물에게 어떤 궤도가 주어지는지, 인물이 궤도 위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따라 텍스트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고 말한다. 로트만의 기준을 활용하면 노년 여성 인물이 직면한 다양한 결연의 상황과 그 속에서 인물이 내리는 다채로운 선택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에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유형을 분류할 때 로트만이 제안한 기준을 채택하되, 세밀한 분류를 위해 결연이 자의에 의한 것인지, 결연에 조력이 개입하는지도 함께 고려하였다. Ⅱ장에서는 각 기준을 토대로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유형을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한다. 노년 여성 결연설화는 ‘독립의 공간’과 ‘결연의 공간’으로 이분된 공간 구조를 지니는데, 궤도가 두 공간 중 어느 공간을 지향하는지, 결연의 구체적인 특징이 어떠한지에 따라 각 유형이 구분된다. 첫 번째 유형인 ‘결연을 가로막는 설화’는 여타 유형과 달리 궤도가 독립의 공간을 지향하는 유형이다. 두 번째 유형인 ‘타인이 주도하는 결연설화’는 궤도가 결연의 공간을 지향하는 유형으로, 타인에 의해 노년 여성 인물의 결연이 계획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세 번째 유형인 ‘조력이 개입하는 결연설화’도 궤도가 결연의 공간을 지향하는 유형으로, 결연 과정에 타인의 조력이 개입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마지막 유형인 ‘노년 여성이 주도하는 결연설화’ 또한 궤도가 결연의 공간을 지향하지만, 노년 여성 인물이 스스로 자신의 결연을 주도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각 유형은 모두 노년 여성 인물이 궤도 위에서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는가에 따라서 다시 세 가지 하위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인 ‘결연을 가로막는 설화’는 인물이 궤도에 순응하는 유형, 인물이 궤도를 이탈하는 유형, 인물의 순응과 이탈이 모두 드러나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나머지 유형인 ‘타인이 주도하는 결연설화’, ‘조력이 개입하는 결연설화’, ‘노년 여성이 주도하는 결연설화’는 노년 여성 인물이 궤도대로 이동하는 유형, 인물이 궤도의 절반만 이동하는 유형, 인물이 궤도를 이탈하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로 대조를 이루는 다양한 유형과 하위 유형은 새로운 변이를 탄생시키며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다양성을 심화시킬 가능성을 내포한다. Ⅲ장에서는 각 유형을 구성하는 설화의 내용을 비교하며 설화의 구체적인 분포 양상을 나타내고, 결연설화 속에서 노년 여성 인물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살펴본다. 동일한 유형에 속하는 설화는 일견 동질적으로 보이지만, 결연의 배경, 결연 양상, 결연 결과, 결연을 대하는 노년 여성 인물의 태도와 관점, 노년 여성 인물의 특성, 결연에 대한 향유집단의 반응 등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채록 시기, 향유집단의 특성, 향유 맥락의 차이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빚어지는 것으로 추론된다. 설화 속에 나타난 다양한 노년 여성 인물과 결연의 상황은 노년 여성과 그녀의 성과 사랑, 결연을 바라보는 향유집단의 관점이 복합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각기 다른 설화와 향유집단의 관점은 서로 충돌하며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질적·양적 발전을 이끌 가능성을 지닌다. 그간 노년 여성 결연설화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기에 그 수나 내용이 거의 검토되지 못하였고, 전반적인 체계도 논의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설화 유형 분류를 통해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체계를 수립하고, 체계 내부의 다양성이 의미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더불어 구체적인 설화의 내용을 살펴보며 노년 여성 인물이 통념을 벗어나는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된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최초로 노년 여성 결연설화의 체계를 수립하고, 설화 속에서 노년 여성 인물이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된다는 점을 드러낸 데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classifies Korea folktales about elderly women’s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s and identifies the diversity of this folktales. In addition, it reveals that elderly women characters are portrayed in various forms that escapes from the conventional ideas. Chapter I presents a standard for classifying folktales based on Lotman’s theory. Lotman argu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 can distinguished depending on what space does the orbital that is given to the character in the text aim for and in what direction the character actually moves. Using Lotman’s criteria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compare the various situations of relationships faced by elderly female characters and the choices they make in various situations. Thus, the criteria proposed by Lotman were used in this study; consideration was also given to whether forming a relationship was voluntary and whether assistance was involved. Based on each criterion, Chapter II classifies four types of the folktales. The first type, “folktales that block the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 by elderly women”, is a type in which the orbit aims for the “space of independence”. The second type, “folktales featuring an unwilling relationship” is a type in which the orbit aims for a “space of unity”, characterized by other people leading and planning elderly women’s sexual relationships or marriage. The third type, “folktales that treat relationship featuring assistance from other people” is a type in which the orbit aims for a “space of unity”, but it features the involvement of other people’s assistance in the relationship process. The last type, “folktales of elderly woman-led relationships” also involves orbit that aims for a “space of unity”, although they feature an older women character leading her own relationship. Each type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types, depending on how elderly female characters move in their orbit. Chapter III compares the contents of folktales that make up each type, reveals the specific distribution of tales, and examines how elderly female figures are shaped. Folktales belonging to the same type seem homogeneous at first glance, but each has significant unique details. Each folktale usually differs depending on when it is collected but there are also considerable differences are observed among folktale collections within similar periods. Thus, we can infer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folktales result from the complex combination of the unique factors of each, including the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hat inherited the folktale, and the differences in the contexts. Furthermo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s of elderly women and the difference in the aways these characters form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s imply that the perspectives surrounding elderly women and their romantic and sexual relationships are also complex. In the meantime, folktales about elderly women’s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nd the number and content of them have not been thoroughly reviewed. There was a misunderstanding that the number of these folktales were extremely small and that the contents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response, this paper classifies 63 folktales in 4 types and figure out the content of these folktales. Additionally,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reveals that the characters of elderly females take various forms and shapes that escape from conventional ideas in this time at the folktales.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e classification of folktales about elderly women’s sexual and romantic relationship, and the revelation that elderly women figures are in shap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ktales.
more